다음 ㉠~㉣에 들어갈 말을 바르게 배열한 것은? ○ 기원전 8~7세기 무렵에 ㉠ 도 본격화되기 시작했다. ○ 일반적으로 ㉡ 은 식량 채집 단계로부터 식량 생산 단계로의 변화를 낳은 농업혁명을 말한다. ○ ㉢ 과 뒤를 이은 ㉣ 을 대표적인 유물로 하는 청동기 문화는 황하나 내몽골 지역의 것과는 구별되는 독자적인 개성을 지닌 것이었다. {=벼농사 신석기혁명 비파형동검 세형동검 ~벼농사 청동기혁명 세형동검 비파형동검 ~보리농사 신석기혁명 세형동검 비파형동검 ~보리농사 청동기혁명 비파형동검 세형동검} 삼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정일치의 사회였다. ~저수지가 축조되고 벼농사가 발달하였다. ~철이 많이 생산되어 낙랑과 왜 등에 수출하였다. ~5월과 10월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 다음 글에 해당하는 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처음으로 소를 이용한 밭갈이가 시작되었다. ○ 국호를 한자식 표현인 ‘신라’로 바꾸었다. {=우산국을 복속시켜 영토로 편입하였다. ~왕호를 이사금에서 마립간으로 바꾸었다. ~이차돈의 순교를 계기로 불교를 공인하였다. ~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유역을 확보하였다.} 발해의 대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당과 신라를 견제하기 위해 돌궐과 외교관계를 맺기도 하였다. =일본과는 서경 압록부를 통해 여러 차례 사신이 왕래하였다. ~당에 유학생을 보냈는데 빈공과에 급제한 사람이 여러 명 나왔다. ~일본은 발해에 보낸 국서에서 발해왕을 ‘고려왕’으로 표현하기도 하였다.} 위정척사운동의 전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대원군의 쇄국정책을 뒷받침하였다. =동도서기론과 문명개화론을 주장하였다. ~영남 유생들의 만인소 운동이 일어났다. ~일본과 관련하여 왜양일체론을 내세웠다. } 밑줄 친 ‘국왕’의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국왕께서 왕위에 즉위한 첫 해에 맨 먼저 도서집성 5천여 권을 연경의 시장에서 사오고, 또 옛날 홍문관에 간직했던 책과 강화부 행궁에 소장했던 책과 명에서 보내온 책들을 모았다. … 창덕궁안 규장각 서남쪽에 열고관을 건립하여 중국본을 저장하고, 북쪽에는 국내본을 저장하니, 총 3만권 이상이 되었다. {~통치규범을 재정리하기 위하여 대전통편을 편찬하였다. =당파와 관계없이 인물을 등용하는 완론탕평을 실시하였다. ~당하관 관료의 재교육을 위해 초계문신제도를 시행하였다. ~왕권을 강화하기 위해 장용영이라는 친위부대를 창설하였다.} 다음 자료를 통해 알 수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삼사에서 말하기를 “지난 해 밀성 관내의 뇌산부곡 등 세 곳은 홍수로 논 밭 작물이 피해를 보았으므로 청컨대 1년치 조세를 면제하십시오.”라고 하니, 이를 따랐다.○ 향 부곡 악공 잡류의 자손은 과거에 응시하는 것을 허락하지 않는다. ○ 익안폐현은 충주의 다인철소인데, 주민들이 몽고의 침입을 막는데 공이 있어 현으로 삼아 충주의 속현이 되었다. -고려사- {~소의 주민은 주로 농사를 지었다. ~부곡민은 조세를 부담하지 않았다. ~부곡민은 과거에 응시하여 관리가 될 수 있었다. =소의 주민이 공을 세우면 소가 현으로 승격될 수 있었다. } 다음 글은 다산 정약용이 당시 농민들의 실태를 지적한 것이다. 이 시기의 각 지역 호적대장에서 급증하는 호구는? 지금 호남의 백성들을 볼 때 대략 100호가 있다고 한다면, 그 중 다른 사람에게 토지를 빌려주고 지대를 받는 자는 불과 5호에 지나지 않고, 자기 토지로 농사짓는 자는 25호이며, 타인의 토지를 빌려 지으면서 지대를 바치는 자가 70호나 된다. {=양반호 ~상민호 ~노비호 ~양반호, 상민호} 다음 주장에서 강조하고 있는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러면 지금의 조선 민족에게는 왜 정치적 생활이 없는가? 일본이 조선을 병합한 이래로 조선에게는 모든 정치활동을 금지한 것이 첫째 원인이다. … 지금까지 해 온 정치적 운동은 모두 일본을 적대시하는 운동뿐이었다. 이런 종류의 정치 운동은 해외에서나 할 수 있는 일이고, 조선 내에서는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일대 정치적 결사를 조직해야 한다는 것이 우리의 주장이다. {~무장 투쟁을 통해 독립을 이루어야 한다. ~농민, 노동자를 단결시켜 일제를 타도해야 한다. =일제의 식민 지배를 인정하고 그 밑에서 정치적 실력 양성을 해야 한다. ~국제적인 외교를 통해서 일제의 만행을 알리고 우리나라의 독립을 알려야 한다.} 밑줄 친 ‘그’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는 함경도 단천 출신으로 한성으로 올라와 무관학교에 입학하였고, 졸업 후 시위대 장교로 군인생활을 시작하였다. 강화도 진위대 대장시절에는 공금을 횡령한 강화부윤이 자신을 모함하자, 군직을 사임하기도 하였다. 그는 군인이 면서도 계몽운동을 중요하게 생각하여 강화읍에 보창학교를 세워 근대적 교육을 시작하였다. 그러나 고종황제의 강제퇴위와 군대해산을 전후하여 무력항쟁과 친일파 대신 암살 등을 계획하였으며, 강화 진위대가 군대 해산에 항의하여 봉기하자 이에 연루되어 체포되기도 하였다. {~비밀결사조직인 신민회에 참여하였다. ~하바로프스크에서 한인사회당을 결성하기도 하였다. =대동보국단을 조직하고 진단이라는 잡지를 발간하기도 하였다. ~블라디보스토크에 대한광복군정부라는 임시정부를 수립하였다.} 다음과 같은 혼인 풍습이 있었던 나라의 사회상으로 옳지 않은 것은?혼인하는 풍속을 보면, 구두로 약속이 정해지면 신부집에서 본채 뒤에 작은 별채를 짓는데, 이를 서옥(婿屋)이라 한다. 해가 저물 무렵, 신랑이 신부집 문 밖에 와서 이름을 밝히고 꿇어앉아 절하며 안에 들어가 신부와 잘 수 있도록 요청한다. 이렇게 두세 번 청하면 신부의 부모가 별채에 들어가 자도록 허락한다. … 자식을 낳아 장성하면 신부를 데리고 자기 집으로 간다. -삼국지- {~건국 시조인 주몽과 그 어머니 유화부인을 조상신으로 섬겨 제사를 지냈다. =남의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소나 말 등으로 변상하는 책화 라는 풍습이 있었다. ~왕 아래에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이 있었으며,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렸다. ~10월에 동맹이라는 제천행사를 치르고, 아울러 왕과 신하들이 국동대혈에 모여 함께 제사를 지냈다.} 다음에서 묘사하고 있는 시기의 역사적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허생은 안성의 한 주막에 자리 잡고서 밤, 대추, 감, 귤 등의 과일을 모두 값을 배로 주고 사들였다. 그가 과일을 도고하자, 온 나라가 제사나 잔치를 치르지 못할 지경에 이르렀다. 따라서 과일값은 크게 폭등하였다. 그는 이에 10배의 값으로 과일을 되팔았다. 이어서 그는 그 돈으로 곧 호미, 삼베, 명주 등을 사 가지고 제주도로 들어가 말총을 모두 사들였다. 말총은 망건의 재료였다. 얼마 되지 않아 망건 값이 10배나 올랐다. 이렇게 하여 그는 50만 냥에 이르는 큰 돈을 벌었다. {=보부상들을 보호할 목적으로 혜상공국이 설치되었다. ~특정 상품들을 독점 판매하는 도고상업이 성행하였다. ~상업이 활성화되면서 선박을 이용한 운수업도 발전하였다. ~전국적으로 발달한 장시를 토대로 한 사상들이 성장하였다.} 다음과같이왕명을 받아 편찬한 책에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 부식은 아뢰옵니다. 옛날에는 여러 나라들도 각각 사관을 두어 일을 기록하였습니다. … 해동의 삼국도 지나온 세월이 장구하니, 마땅히 그 사실이 책으로 기록되어야 하므로 마침내 늙은 신에게 명하여 편집하게 하셨사오나, 아는 바가 부족하여 어찌할 바를 모르겠습니다. {~현존하는 우리나라의 역사서 가운데 가장 오래된 것이다. ~기전체로 서술되어 본기, 지, 열전 등으로 나누어 구성되었다. ~고구려 계승 의식보다는 신라 계승 의식이 좀 더 많이 반영 되었다고 평가된다. =몽골 침략의 위기를 겪으며 우리의 전통 문화를 올바르게 이해하려는 움직임에서 편찬되었다.} 삼국시기의 고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구려 돌무지무덤:백제 초기 무덤에 영향을 미쳤다. ~백제 벽돌무덤: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 =신라 돌무지덧널무덤:나무덧널을 설치하고 그 위에 돌만 쌓았다. ~굴식 돌방무덤:삼국은 모두 굴식 돌방무덤을 조영했다. } 다음과 같은 상황을 극복하기 위해 조선 정부가 시행한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을 거치면서 농촌 사회는 심각하게 파괴되었다. 수많은 농민이 전란 중에 사망하거나 피난을 가고 경작지는 황폐화되었다. 그러나 농민의 조세부담은 줄어들지 않았다. 양난 이후 조선 정부의 가장 큰 어려움은 농경지의 황폐와 전세 제도의 문란이었다. {=양전 사업 실시 ~군적수포제 실시 ~연분 9등법 실시 ~오가작통제 실시} 공민왕의 정책으로 옳은 것은? {~만권당을 설립하여 문물교류를 진흥하였다. =성균관을 부흥시켜 유학 교육을 강화하였다. ~명의 철령위 설치 요구로 인해 요동정벌을 단행하였다. ~정치도감을 설치하여 국가 재정수입의 기반을 확대하였다. } 조선시대 향촌 사회의 모습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향소는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하기 위한 기구였다. ~향안은 임진왜란 전후 시기에 각 군현마다 보편적으로 작성되었다. ~경제적으로 성장한 일부 부농층은 향회를 장악하며 상당한 지위를 확보하기도 하였다. =세도정치기에 향회는 수령과 향리들을 견제하고 지방통치를 대리하는 기구로 성장하였다. } 조선후기 과학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클리드 기하학을 중국어로 번역한 기하원본이 도입되기도 하였다. =지석영은 서양의학의 성과를 토대로 서구의 종두법을 최초로 소개하였다. ~곤여만국전도 같은 세계지도가 전해짐으로써 보다 과학적이고 정밀한 지리학의 지식을 가지게 되었다. ~서호수는 우리 고유의 농학을 중심에 두고 중국 농학을 선별 적으로 수용하여 한국 농학의 새로운 체계화를 시도하였다.} 밑줄 친 ‘그’의 저술로 옳은 것은? 그는 당나라에 유학하여 지엄의 문하에서 수학하고 돌아와 영주에 부석사를 창건하고 문무왕의 정치적 자문도 맡았다. 그는 모든 우주만물이 대립적인 존재가 아니라 서로 조화하고 포용하는 관계를 가졌다고 주장해 유명한 ‘일즉다 다즉일(一卽多多卽一)’이라는 독특한 논리를 폈다. 즉 하나가 전체요 전체가 하나라는 것이다. {~십문화쟁론 ~해심밀경소 ~천태사교의 =화엄일승법계도 } 1960년대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1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추진되었다. ~베트남 파병을 계기로 베트남 특수를 누리게 되었다. =미국의 무상 원조가 경제 개발의 주요 재원으로 활용되었다. ~경제 건설에 필요한 재원 조달을 위해 한․일협정이 체결되었다.} 붓이 출토되어 문자를 사용한 사실이 있음을 알려주는 유적지는? {~여주 흔암리 =창원 다호리 ~부여 송국리 ~순천 대곡리 } 조선시대에 건축된 문화재로 바르게 묶은 것은? {~숭례문, 경천사 10층 석탑 ~봉정사 극락전, 법주사 팔상전 ~수덕사 대웅전, 부석사 무량수전 =무위사 극락전, 원각사지 10층 석탑} 우리나라 초기 국가의 사회풍속을 설명한 내용으로 바르게 묶은 것은?ㄱ. 삼한 사회에서는 제사장인 천군이 주관하는 소도라는 별읍에 죄인이 들어가면 잡아가지를 못하였다. ㄴ. 부여는 12월에 영고라고 하는 제천행사를 지냈으며, 전쟁이 일어났을 때에는 이 행사를 지내지 않았다. ㄷ. 고구려에서는 남녀가 혼인을 하면 신부 집 뒤꼍에 서옥이라는 집을 짓고 살다가, 거기서 자식을 낳아 장성하면 처가에 많은 재물을 주고 아내와 자식을 자기 집으로 데리고 갔다. ㄹ. 동예는 지극히 폐쇄적인 혈연중심의 씨족사회이나, 결혼의 경우 그 상대를 다른 씨족에서 구해야 했다. {~ㄱ, ㄷ =ㄱ, ㄹ ~ㄴ, ㄷ ~ㄷ, ㄹ} 삼국시대 및 통일신라시대의 유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백제에는 박사 제도가 있었으며, 일본에 유교경전을 전해주었다. ~삼국시대에는 유교의 충효 논리를 전통적인 공동체 윤리와 조화시키고자 하였다. =신문왕대에는 당나라로부터 공자와 그 제자들의 화상(畵像)을 들여와서 국학에 안치시켰다. ~고구려에서는 사기, 한서 등의 역사책과 사전인 옥편, 문학서인 문선을 이해하고 있었다. } 고려시대의 향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향리의 세력을 억제하기 위해 그 지방 출신의 중앙관리를 사심관으로 임명하였다. =향리의 자제들을 인질로 상경 숙위케 하는 상수리제도를 설정하였다. ~향리의 자손을 중앙 관인으로 뽑는 향공진사의 제도가 확립되었다. ~향리와 귀족과의 신분적 차이를 나타내기 위하여 향리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고려시대의 신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척, 재인, 양수척을 호적에 올려 그들에게 역을 부담시켰다. ~죄를 지어 관직에 나갈 수 없는 자들을 귀향시키는 형벌이 있었다. ~본관제가 사회적 의미를 가지게 되는 시기이다. ~군반, 남반 등과 같이 일정한 정치적 기능을 나타내는 몇 개의 반(班)이 설정되었다. } 다음 글에서 언급하고 있는 시대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큰 산과 깊은 골짜기가 많고 넓은 들은 없어 산골짜기에 의지하여 살면서 산골의 물을 식수로 한다. 좋은 전지(田地)가 없으므로 부지런히 농사를 지어도 식량이 충분하지 못하다. … 그 나라 사람들의 성질은 흉악하고 급하며 노략질하기를 좋아한다. … 그 나라의 대가(大家)들은 농사를 짓지 않으므로, 앉아서 먹는 인구(坐食者)가 만 여 명이나 되는데, 하호들이 먼 곳에서 양식, 고기, 소금을 운반하여 그들에게 공급한다.” -삼국지 동이전- {~옥저를 정복하고 공물을 받는 공납적인 지배를 하였다. ~장발미인으로 유명한 관나부인은 질투죄로 처벌을 받았다. =흉년이 들면 그 책임을 왕에게 돌려 교체하고자 하든지 혹은 죽이자고 하였다. ~대가(大加)들 또한 자체적으로 사자․조의․선인을 두는데, 그 명단은 왕에게 보고한다. } 다음 내용과 관련된 군사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외방 곳곳에서 도적들이 일어났다. … 나는 청하기를 “당속미 1천석을 군량으로 하되, 한 사람당 하루에 2승씩 급료를 준다면 사방에서 군인으로 응하는 자가 모여들 것입니다.” 라고 하였다. … 얼마 안 되어 수천 명을 얻어 조총 쏘는 법과 창․칼 쓰는 기술을 가르치고 초관과 파총을 세워 그들을 거느리게 하였다. 또 당번을 정하여 궁중을 숙직하게 하고, 국왕의 행차가 있을 때에 이들로써 호위하게 하니 민심이 점차 안정되었다. -서애집- {~양반에서부터 노비에 이르기까지 편제 대상이 되었다. ~진도와 제주도 등을 중심으로 몽골군에 항쟁을 하였던 부대이다. ~서리, 잡학인, 신량역천인 등이 소속되어 유사시에 동원되었다. =이 군인들은 면포와 수공업제품의 판매를 통해 난전에 가담 하였다.} 다음의 내용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숙종 4년 1월 을미, 대신과 비변사의 여러 신하들을 접견하고 비로소 돈을 사용하는 일을 정하였다. 돈은 천하에 통행하는 재화인데, 오직 우리나라에서는 예부터 누차 행하려 하였으나 행할 수 없었다. … 시중에 유통하게 되었다. -숙종실록- {~위의 화폐 이전에는 팔분체 조선통보가 주조 유통되었다. ~화폐의 유통이 원활하지 않아 전황현상이 일어났다. ~평안도와 전라도의 감영과 병영에서도 이 화폐의 주조가 허락되었다. =이익은 화폐 사용이 백성들의 삶에 크게 유익하다는 주장을 제기하였다.} 다음과 같은 주장을 한 단체가 결성된 해에 전개된 사건은? 민족주의 세력에 대하여는 그 부르주아 민주주의적 성질을 분명히 인식함과 동시에 과정상의 동맹자적 성질도 충분하게 승인하여, 그것이 타락되지 않는 한 적극적으로 제휴하여 대중의 개량적 이익을 위해서도 종래의 소극적인 태도를 버리고 싸워야 할 것이다. {~근우회 발족 =6․10 만세 운동 ~광주학생 항일운동 ~홍커우공원 폭탄 투척} 다음의 선언문이 나오게 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오늘 우리는 전 세계의 이목이 주시하는 가운데 … 독재정치를 청산하고 희망찬 민주 국가를 건설하기 위한 거보를 전 국민과 함께 내딛는다. 국가의 미래요 소망인 꽃다운 젊은이를 야만적인 고문으로 죽여 놓고 그것도 모자라서 뻔뻔스럽게 국민을 속이려 했던 현 정권에게 국민의 분노가 무엇인지를 분명히 보여주고 … 민주장정을 시작한다. {~정부가 대통령중심제에서 내각 책임제로 헌법을 개정하였다. ~정부가 긴급조치권을 발동하여 헌법 개정논의를 탄압하였다. ~마산의 중앙부두에서 김주열군의 시신이 발견되었다. =정부가 대통령 간선제 헌법의 고수를 천명하였다. } 일제의 경제수탈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910년에 시작된 토지조사사업에서 신고된 토지에 대한 지주의 권리만을 인정하고, 농민이 오랫동안 누려왔던 관습적인 경작권은 부정되었다. =1920년대 일본 자본의 조선 진출 요구가 커지자, 조선총독부는 회사의 설립과 해산을 신고제에서 허가제로 강화하였다. ~1920년대 일제는 자국의 식량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산미증식계획을 시행하였는데, 한국인 지주도 이에 편승하여 토지를 크게 늘렸다. ~1930년대 이후 일제는 대륙 침략을 위하여 공업화정책을 추진 하였는데, 이 과정에서 일본의 대자본이 활발하게 투입되었다.} 다음의 독립투쟁을 일으킨 인물과 당시 소속단체가 일치하지 않은 것은?ㄱ. 조선총독부에 폭탄을 던진 다음 수십 겹의 포위망을 뚫고 중국으로 탈출하여, 이듬해 중국 상하이에서 일본 육군대장을 저격하였다. ㄴ. 조선총독의 마차를 겨냥하고 영국제 수류탄을 던져 총독부 요인과 관리들에게 큰 부상을 입혔다. ㄷ. 동양척식주식회사에 들어가 폭탄을 투척하였으나, 터지지 않자 권총으로 일본 간부를 사살하고 경찰과 시가전을 벌였다. ㄹ. 도쿄에서 황궁으로 들어가는 이중교에 폭탄을 던져 일제에게 두려움을 안겨 주었다. {~ㄱ:김익상-의열단 ~ㄴ:강우규-노인(동맹)단 ~ㄷ:나석주-의열단 =ㄹ:이봉창-한인애국단} 독립군의 활동을 시대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양세봉이 이끌던 조선혁명군은 중국의용군과 한중연합 작전을 전개하였다. ㄴ. 소련 내 한인 부대들 간에 군사 지휘권 분쟁이 일어났으며, 이 과정에서 독립군들의 무장해제를 요구하는 적색군으로 부터 공격을 받아 피해를 입었다. ㄷ. 만주로 돌아온 독립군은 일제와 만주 군벌의 탄압 속에서도 조직의 재건에 착수하여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를 조직하였다. ㄹ. 김좌진이 이끌던 북로 군정서군과 홍범도가 이끈 대한 독립군의 연합부대는 청산리 일대에서 6일간 10여 차례의 전투를 통해 일본군을 대파하였다. {~ㄱ→ㄴ→ㄷ→ㄹ ~ㄴ→ㄹ→ㄷ→ㄱ =ㄹ→ㄴ→ㄷ→ㄱ ~ㄹ→ㄷ→ㄴ→ㄱ} 다음 글은 어떤 책의 서문이다. 이 책이 편찬된 왕대에 일어난 내용으로 옳은 것은?천하의 떳떳한 다섯 가지가 있는데 삼강이 그 수위에 있으니, 실로 삼강은 경륜의 큰 법이요 일만 가지 교화의 근본이며 원천입니다. … “간혹 훌륭한 행실과 높은 절개가 있어도, 풍속습관에 옮겨져서 보고 듣는 자의 마음을 흥기시키지 못하는 일도 또한 많다. 내가 그 중 특별히 남달리 뛰어난 것을 뽑아서 그림과 찬을 만들어 중앙과 지방에 나누어 주고, … .”고 하시고 … (후략) {~궁궐에 신문고를 설치하여 반란음모를 알리게 하였다. ~역대 시와 산문의 정수를 모은 동문선을 편찬하였다. ~군사제도를 익군체제에서 진관체제로 바꿈으로써 지방군제의 기본체제가 완성되었다. =일본과 계해약조를 맺어 1년에 50척으로 무역선을 제한하였다.} 19세기 말 이후 전개된 해외 이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감부는 교민의 통제와 영토의 편입을 위해 북변도관리 (北邊島管理)를 설치하였다. ~시베리아의 연해주로 이주한 한인들은 해조신문을 발행하였다. ~만주로 이주한 한인들은 1918년에 ‘대한독립선언서’를 발표하였다. ~미국으로 이주한 한인들은 신민회, 공립협회, 대한인국민회 등을 조직하였다.} 다음의 정책을 시행한 왕대에 편찬된 서적은?대유둔전이라는 국영농장을 설치하고, 만석거, 만년제 등의 수리시설을 정비하였다. {~동국여지도 ~속대전 =동문휘고 ~고금도서집성} 다음은 삼국시대 어느 나라의 사회 모습에 대한 내용이다. 이 나라의 지배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이 나라 사람은 상무적인 기풍이 있어서 말 타기와 활쏘기를 좋아하고, 형법의 적용이 엄격했다. 반역한 자나 전쟁터에서 퇴각한 군사 및 살인자는 목을 베었고, 도둑질한 자는 유배를 보냄과 동시에 2배를 물게 했다. 그리고 관리가 뇌물을 받거나 국가의 재물을 횡령했을 때에는 3배를 배상하고, 죽을 때까지 금고형에 처했다. {=간음죄를 범할 경우 남녀 모두를 처벌하였다. ~투호와 바둑 및 장기와 같은 오락을 즐겼다. ~중국의 고전과 역사책을 읽고 한문을 구사하였다. ~대표적인 귀족의 성으로는 여덟 개가 있었다.} 발해의 선왕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5경 15부 62주의 지방 제도가 완비되었다. =수도를 동경용원부에서 상경용천부로 옮겼다.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지역으로 진출하였다. ~남쪽으로 신라와 국경을 접할 정도로 넓은 영토를 차지하였다. } (가)~(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가) 남치근이 많은 군마를 이끌고 산 아래로 접근하며 1명도 내려오지 못하게 하니 적의 모사꾼 서림이 산에서 내려 와 항복하였다. 군사를 몰아 숲을 샅샅이 뒤지며 올라가 니 여러 적이 다 항복하되 대여섯 명이 꺽정을 따르므로 서림을 시켜 유인하여 다 죽였다. (나) 홍경래는 괴수요, 우군칙은 참모였으며, 이희저는 소굴의 주인이요, 김창시는 선봉이었다. 김사용과 홍총각은 손발 의 역할을 하였다. 그 졸개로는 의주부터 개성에 이르는 지역의 거의 대부분 부호ㆍ대상들이 망라되었다. (다) 사노 만적 등 6인이 북산에서 나무하다가 공사 노비들을 불러 모의하였다. “요즈음 고관이 천민과 노비에서 많이 나왔다. 장수와 재상이 어찌 씨가 따로 있으랴, 때가 오면 누구나 할 수 있다. 우리가 왜 근육과 뼈를 괴롭게 하며 채찍 밑에서 고통을 겪어야 하는가?” 여러 노비가 그렇게 여겼다. {~(가) - 진주에서 시작된 전국적인 농민 항쟁이었다. =(나) - 지배층의 수탈과 서북민 차별이 봉기 원인이었다. ~(다) - 천주교의 평등 사상을 배경으로 하였다. ~(가)-(나)-(다)의 순서로 발생하였다. } 상소문의 밑줄 친 부분에 해당되는 정책으로 옳은 것은? 선왕은 정종의 유명(遺命)을 받고 아우로서 왕위를 계승한 후 예로써 아랫사람을 접하며 밝은 관찰력으로 사람을 잘 알아 보았습니다. 종친과 귀족이라 해서 사정을 두지 않고 항상 호 족과 공신 세력을 억제하였으며 소원하고 미천한 사람이라 해서 버리지 않고 의탁할 데 없는 백성들에게 혜택을 베풀었 습니다. 그가 즉위한 해로부터 8년간 정치와 교화가 청백 공평하였고 형벌과 표창을 남용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쌍기 (雙冀)를 등용한 후로부터 문사를 존중하고 대우하는 것이 지나치게 풍후하였습니다. {~국자감을 정비하였다.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였다. ~정계와 계백료서를 편찬하였다. ~지방에 경학 박사를 파견하였다. } 다음 칙령에 의해 성립된 내각에서 추진했던 개혁으로 옳은 것은? 제1호 내가 재가한 공문 식제(式制)를 반포하게 하고 종전의 공문 반포 규례는 오늘부터 폐지하며 승선원, 공사청도 아울러 없애도록 한다. 제3호 내가 동지날에 백관들을 거느리고 태묘(太廟)에 나아가 우리나라가 독립하고 모든 제도를 이정(釐正)한 사유를 고하고, 다음 날에는 태사(太社)에 나아가겠다. 제4호 박영효를 내무대신으로, 서광범을 법무대신으로 …(중략)… 삼도록 하라고 명하였다. - 이상은 총리대신 김홍집, 외무대신 김윤식, 탁지대신 어윤중, 학무대신 박정양이 칙령을 받았다. {~과거 제도를 폐지하였다. =전국을 23부로 재편하였다. ~재정을 탁지아문으로 일원화시켰다. ~서울에 친위대, 지방에 진위대를 설치하였다. } 다음 법령의 시행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제2조 국어를 상용하는 자의 보통 교육은 소학교령, 중학교령 및 고등여학교령에 의함. 제3조 국어를 상용치 아니하는 자에 보통 교육을 하는 학교 는 보통학교, 고등보통학교 및 여자고등보통학교로 함. 제5조 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은 6년으로 함. 보통학교에 입학 하는 자는 연령 6년 이상의 자로 함. 제7조 고등보통학교의 수업 연한은 5년으로 함. 고등보통학교 에 입학하는 자는 수업 연한 6년의 보통학교를 졸업한 자 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바에 의하여 이와 동등 이상의 학력이 있다고 인정된 자로 함. {~치안 유지법이 제정되었다. ~경성 제국 대학이 설립되었다. =조선어학회 사건이 발생하였다. ~브나로드 운동과 문자 보급 운동이 전개되었다.} (가)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좌의정 박세채(朴世采)가 상소를 올려, “해서(=황해도) 일대는 부역이 번다하고 무거워 백성들이 제대로 살아가지 못합니 다... 신이 이 고장을 왕래한 지가 거의 30년이나 되는데, 다른 여러 도에서 실시하는 (가) 을/를 시행하지 못하는 것을 한탄하는 말을 많이 들었습니다. 대개 그 법의 기원은 율곡 이이에게서 시작된 것인데, 그 동안에 선혜청(宣惠廳)을 두었으며, 먼저 관동(=강원도)과 경기에 시행했는데, 명칭은 달랐지만 실속은 같았습니다. 그 뒤에 호남(湖南)과 영남(嶺 南)에도 시행하였으니, 백성들이 모두 신뢰하였습니다.”라고 하였다. {~지주에게 결작을 부담시켰다. ~전세를 1결당 4두로 고정시켰다. ~연분9등법에 따라 세금액수를 정하였다. =공물 대신에 쌀, 삼베 등을 납부하게 하였다. } 다음 조항이 발표되었을 당시의 사실로 옳은 것은? 제1조 북위 38도선 이남의 조선 영토와 조선 인민에 대한 통치의 모든 권한은 당분간 본관의 권한하에 시행한다. 제2조 정부 등 모든 공공 사업 기관에 종사하는 유급ㆍ무급 직원과 고용인, 그리고 기타 중요한 제반 사업에 종사 하는 자는 별도의 명령이 있을 때까지 종래의 정상 기능과 업무를 수행할 것이며, 모든 기록 및 재산을 보 호, 보존하여야 한다. 제5조 군정 기간 동안 영어를 모든 목적을 위해 사용하는 공 용어로 한다.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이 일어났다. ~서울에서 미ㆍ소 공동 위원회가 개최되었다. ~카이로 회담에서 한국의 독립을 약속하였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가 치안과 행정을 담당하였다.} 밑줄 친 ‘대씨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옛날에는 고씨가 북에서 고구려를, 부여씨가 서남에서 백제를, 박ㆍ석ㆍ김씨가 동남에서 신라를 각각 세웠으니, 이것이 삼국이다. 여기에는 반드시 삼국사가 있어야 할 것인데, 고려가 편찬한 것은 잘한 일이다. 그러나 부여씨와 고씨가 멸망한 다음에 김씨의 신라가 남에 있고, 대씨의 나라가 북에 있으니 이것이 남북국이다. 여기에는 마땅히 남북사가 있어야 할 터 인데, 고려가 편찬하지 않은 것은 잘못이다. {~골품제로써 관료제를 운영하였다. =인안, 대흥 등 연호를 사용하였다. ~2성 6부제의 중앙 정치 조직을 운영하였다. ~사심관과 기인제도로써 호족세력을 견제하였다.} ㉠, ㉡에 들어갈 붕당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김효원이 알성 과거에 장원으로 합격하여 이조 전랑의 물망에 올랐으나, 그가 윤원형의 문객이었다 하여 심의겸이 반대하였다. 그 후에 심의겸의 동생 심충겸이 장원 급제하여 전랑으로 천거되었으나, 외척이라 하여 김효원이 반대하였 다. 이 때 이들을 지지하는 세력이 서로 상대방을 배척하여 붕당이 형성되었다. 심의겸을 지지하는 기성 사림을 중심으 로 ㉠ 이 형성되고, 김효원을 지지하는 신진 사림을 중심으로 ㉡ 이 형성되었다. {~㉠은 이황ㆍ조식ㆍ서경덕의 문인이 가담하였다. =㉡은 정여립 모반 사건을 계기로 분열하였다. ~㉠과 ㉡의 대립으로 예송 논쟁이 발생하였다. ~㉠은 광해군 때, ㉡은 인조 때 정권을 장악하였다. } (가)에 들어갈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적전(籍田)을 가는 쟁기를 잡으시니 근본을 중시하는 거동이 아름답고, 혹독한 형벌을 없애라는 명을 내리시니 살리기를 좋아하는 덕이 성대하였습니다. …(중략)… 정포(丁布)를 고루 줄이신 은혜로 말하면 천명을 받아 백성을 보전할 기회에 크 게 부합되었거니와 위를 덜어 아래를 더하며 어염세(魚鹽稅)도 아울러 감면되고, 여자ㆍ남자가 기뻐하여 양잠ㆍ농경이 각 각 제자리를 얻었습니다. - (가) 대왕 시책문 - {=서원을 대폭 정리하였다. ~초계문신 제도를 실시하였다. ~청에서 사용하는 시헌력을 채택하였다. ~청과 국경을 확정하여 정계비를 세웠다.} 다음과 같이 기록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토질은 비옥하며, 산을 등지고 바다를 향해 있어 오곡이 잘 자라며 농사짓기에 적합하다. 그들은 장사 지낼 적에는 큰 나 무 곽을 만드는데, 길이가 10여 척이나 되며 한쪽 머리를 열어 놓아 문을 만든다. 사람이 죽으면 시체는 모두 가매장을 하되 겨우 형체만 덮일 만큼 묻었다가 가죽과 살이 다 썩은 다음에 뼈만 추려 곽 속에 안치한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신지, 읍차 등의 지배자가 사람들을 다스렸다. =일종의 매매혼인 민며느리제의 풍속이 있었다. ~특산물로 단궁이라는 활과 과하마, 반어피가 유명하였다. ~남의 물건을 훔치면 물건 값의 12배를 배상하게 하였다. } 밑줄 친 회원들이 소속된 단체의 개혁 활동으로 옳은 것은? 회원 김정현이 급히 배재학당으로 가서 교사 이승만 및 학도 40∼50인과 함께 경무청 앞에 갔고 다른 회원들은 백목 전 도가(都家)*에 모여 윤시병을 만민공동회 회장으로 삼아 경무청 앞으로 갔다. 이때 인민들이 다투어 모인 자가 수천 인이었다. <대한계년사> *도가: 상인들이 모여 의논하는 집 {~해외 독립군 기지 건설 운동을 벌였다. =헌의 6조를 결의하고 국왕에게 건의하였다. ~을사조약 체결을 비판하는 사설을 발표하였다. ~일본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거부 운동을 벌였다. } 자료의 피고가 벌였던 활동으로 옳은 것은?피고는 일본 군대가 대궐에 들어갔다는 말을 듣고 필시 일본 인이 우리나라를 병합하고자 하는 뜻인 줄 알고 일본병을 물리치고 그 거류민을 국외로 쫓아낼 마음으로 다시 기병(起兵) 을 도모하였다. 9월경 태인을 출발하여 삼례역에 이르러 그곳을 기병하는 핵심 본부로 삼았다. {~영남 만인소를 주도하였다. ~한반도의 중립화론을 집필하였다. =전주성을 점령하고 정부와 전주화약을 맺었다. ~단발령과 왕비 시해를 계기로 의병 운동을 일으켰다. } 시기적으로 (가), (나) 사이에 일어났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거란 군사가 귀주를 지나니 강감찬 등이 동쪽 들에서 맞아 크게 싸웠는데 …(중략)… 넘어져 죽은 적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사로잡은 군사와 말, 낙타, 갑옷, 투구, 병기는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었다. (나) 윤관이 여진을 쳐서 적을 크게 패퇴시켰다. 여러 장수들을 보내어 경계를 정하고 웅주, 영주, 복주, 길주의 4개 주에 성을 쌓았다. {=북쪽 국경 일대에 천리장성이 축조되었다. ~새로운 군사 기구로 만호부가 설치되었다. ~처인성에서 김윤후가 적장 살리타를 사살하였다. ~강동 6주를 얻어 압록강 유역까지 국경을 넓혔다.} 밑줄 친 ‘나’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아침 일찍 프랑스 공무국에서 비밀리에 통지가 왔다. 과거 10년간 프랑스 관헌이 나를 보호하였으나, 이번에 나의 부하가 일왕에게 폭탄을 던진 것에 대해서는 일본의 체포 및 인도 요구를 거절할 수 없다는 것이다. 중국 국민당 기관지 <국민 일보>는 “한국인이 일왕을 저격했으나 불행히도 맞지 않았다.”고 썼다. {~유교 구신론을 저술하였다. =한인 애국단을 결성하였다. ~조선 혁명 선언을 집필하였다. ~신한촌에서 대한 광복군 정부를 수립하였다. } 다음 국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원년 8월 - 김흠돌, 흥원, 진공 등이 반역을 모의하다가 참형 을 당하였다. 2년 4월 - 위화부령 두 명을 두어 선거 사무를 맡게 했다. 5년 봄 - 완산주를 설치하였다. 거열주를 승격시켜 청주를 설치하니 비로소 9주가 갖추어졌다. 서원과 남원 에 각각 소경을 설치하였다. {=문무 관리에게 관료전을 지급하였다. ~거칠부에게 국사를 편찬하게 하였다. ~시장 감독 관청인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밑줄 친 ‘이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국 한커우[漢口]에서 이 부대가 조직되었다. 부대는 1개 총대, 3개 분대로 편성되었는데 100여 명의 대원은 대부분 조선 민족혁명당원이다. 총대장은 황포 군관 학교 제4기 출신인 진국빈이며, 부대는 대일 선전 공작과 대일 유격전을 수행함을 목적으로 하였다. {~자유시 참변으로 피해를 입었다. =일부 대원이 한국 광복군에 편입되었다. ~3부 통합으로 성립된 국민부 산하의 군대였다. ~쌍성보, 대전자령 등에서 일본군을 격파하였다.} 다음 (가), (나) 고분 양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한강 유역에 있던 초기 한성 시기에 (가)계단식 돌무지무덤을 만들었는데, 서울 석촌동에 일부가 남아 있다. 웅진 시기의 고 분은 굴식 돌방무덤 또는 널방을 벽돌로 쌓은 (나)벽돌무덤으로 바뀌었다. 벽돌무덤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은 것이다. 사 비 시기에는 규모는 작지만 세련된 굴식 돌방무덤을 만들었다. {~(가) - 도굴이 어려워 많은 껴묻거리가 발굴되었다. ~(가) - 봉토 주위를 둘레돌로 두르고 12지 신상을 조각하였다. =(나) - 벽과 천장에 사신도 등을 그렸다. ~(나) - 무덤의 천장을 모줄임 구조로 만들었다.} 다음은 어느 관리의 이력이다. 밑줄 친 (가)~(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목종 8년 과거에 장원으로 급제 현종 4년 국사수찬관으로 (가)《칠대실록》을 편찬 정종 1년 지공거(知貢擧)가 되어 과거를 주관 문종 1년 (나)문하시중이 되어 율령서산(律令書算)을 정함 문종 4년 도병마사를 겸하게 되자 (다)동여진에 대한 대비책을 건의함 문종 9년 퇴직 후 학당을 설립, (라)9개의 전문강좌를 개설 {~(가) -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관찬 역사서이다. =(나) - 재신과 낭사로 구성된 최고 기관의 장이었다. ~(다) - 동북 9성을 건설한 계기가 되었다. ~(라) - 양현고의 지원을 받아 번성하였다. } (가) 인물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내가 비록 부덕하더라도 일국의 국모 노릇을 한 지 여러 해가 되었다. (가) 은(는) 선왕(先王)의 아들이다. 나를 어미로 여기지 않을 수 없는데도 내부모를 죽이고 품속의 어 린 자식을 빼앗아 죽였으며, 나를 유폐하여 곤욕을 치루게 했다. 어디 그뿐인가, 중국이 우리나라를 다시 일으켜 준 은혜 를 저버리고, 속으로 다른 뜻을 품고 오랑캐에게 성의를 베풀었다. - 「계축일기」- 〈보 기〉 ㄱ. 북벌 운동을 전개하였다. ㄴ. 이괄의 난을 진압하였다. ㄷ. 동의보감을 편찬하게 하였다. ㄹ. 경기도에 대동법을 시행하였다. {~ㄱ, ㄴ ~ㄱ, ㄷ ~ㄴ, ㄹ =ㄷ, ㄹ } 고인돌을 많이 만들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추수용 도구로 반달 돌칼을 사용하였다. ~대표적인 토기는 빗살무늬 토기이다.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제천 창내 유적, 서울 암사동 유적 등이 있다. ~무리 가운데 경험이 많은 사람이 지도자가 되었으나 정치권력을 갖지는 못하였다. } 각 나라별 생활과 풍속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조선-남에게 상처를 입힌 자는 곡식으로 갚게 하였다. ~동예-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노비와 소, 말로 변상하게 하였다. =부여-길흉을 점치기 위해 소를 죽였고, 매년 10월에 제천행사를 열었다. ~고구려-신부 집 뒤에 집을 짓고 살다가 자식을 낳아 장성하면 아내를 데리고 신랑 집으로 돌아가는 제도가 있었다.}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고구려의 흥안령 일대 장악 ㄴ. 백제의 사비 천도 ㄷ. 신라의 마운령비 건립 ㄹ. 전기 가야 연맹의 약화 {~ㄱ→ㄹ→ㄷ→ㄴ ~ㄱ→ㄹ→ㄴ→ㄷ ~ㄹ→ㄱ→ㄷ→ㄴ =ㄹ→ㄱ→ㄴ→ㄷ } 밑줄 친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문무왕 8년(668) 김유신에게 태대각간의 관등을 내리고 ㉠식읍 500호를 주었다. ○ 신문왕 7년(687) 문무 관리들에게 ㉡관료전을 차등 있게 주었다. ○ 신문왕 9년(689) 내외 관료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주었다. ○ 성덕왕 21년(722) 처음으로 백성에게 ㉣정전을 지급하였다. {=㉠-조세를 수취하고 노동력을 징발할 권리를 부여하였다. ~㉡-하급관료와 군인의 유가족에게 지급하였다. ~㉢-전쟁에서 큰 공을 세운 사람에게 공로의 대가로 지급하였다. ~㉣-왕권이 약화되는 배경이 되었다.} 밑줄 친 ‘갈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성계는 즉위 직후 명에 사신을 보내어 조선의 건국을 알리고, 자신의 즉위를 승인해줄 것과 국호의 제정을 명에 요청하였다. 명으로부터 승인을 받아 국내의 정치상황을 안정시키기 위함이었다. 그러나 이후 조선은 명과 외교적 갈등을 빚었다. {~조선으로 넘어온 여진인의 송환을 명이 요구함으로써 생긴 갈등 ~조선이 명에 보낸 외교문서에 무례한 표현이 있다는 명의 주장에 따른 갈등 ~이성계가 이인임의 아들이었다는 중국 측 기록을 둘러싼 갈등 =조선의 조공에 대해 명 황제가 내린 회사품의 양과 가치가 지나치게 적은 데 따른 갈등 } 고려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지방의 모든 군현에 지방관이 파견되어 행정을 담당하였다. ~중앙군은 2군 6위, 지방군은 주현군.주진군으로 편성되었다. ~발해의 유민들을 받아들였으며, 발해 세자 대광현을 왕족으로 대우하였다. ~광종은 황제라 칭하였고, 개경을 황도(皇都)라 불렀으며, 독자적 연호를 사용하였다.} 고려시대의 건축과 조형예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초기에는 광주 춘궁리 철불 같은 대형 철불이 많이 조성되었다. ~지역에 따라서 고대 삼국의 전통을 계승한 석탑이 조성되기도 하였다. =팔각원당형의 승탑이 많이 만들어졌는데, 그 대표적인 예로 법천사 지광국사 현묘탑을 들 수 있다. ~후기에는 사리원의 성불사 응진전과 같은 다포식 건물이 출현 하여 조선시대 건축에 큰 영향을 끼쳤다.} 민족적 자주 의식을 반영한 고려 후기의 역사서로 옳지 않은 것은? {~해동고승전 ~제왕운기 ~삼국유사 =해동역사 }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ㄱ. 노리사치계는 일본에 불경과 불상을 전하였다. ㄴ. 최승로는 시무 28조 개혁안을 올려 유교를 치국의 근본으로 삼을 것을 주장하였다. ㄷ. 김부식은 기전체 역사서인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 ㄹ. 원효는 일심 사상을 바탕으로 다른 종파들과의 사상적 대립을 조화시키고자 노력하였다. {~ㄱ→ㄹ→ㄷ→ㄴ =ㄱ→ㄹ→ㄴ→ㄷ ~ㄹ→ㄱ→ㄴ→ㄷ ~ㄹ→ㄱ→ㄷ→ㄴ} 후삼국시대의 정치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견훤은 900년에 무진주에서 후백제를 건국하였다. ~궁예는 901년에 송악에서 후고구려를 건국하였다. ~궁예는 국호를 마진으로 바꾸고, 도읍을 철원으로 옮겼다. ~견훤은 후당(後唐), 오월(吳越)과도 통교하는 등 대중국 외교에 적극적이었다.} 다음 조선전기의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가) 지방 관청에서 그 해의 생산량을 조사하고 조(租)를 거두어 관리에게 나누어 주었다. (나) 국가 재정과 관직에 진출한 신진 사대부의 경제적 기반을 확보하기 위해 만들었다. (다) 과전의 세습 등으로 관료에게 지급할 토지가 부족 해지자 현직 관리에게만 토지를 지급하였다. {~(가)가 실시되어 국가의 토지 지배권이 한층 강화되었다. ~(나)에서 사전은 처음에 경기지방에 한정하여 지급하였다. =(다)가 폐지됨에 따라 지주전호제 관행이 줄어들었다. ~시기 순으로 (나), (다), (가)의 순서로 실시되었다.} 조선시대 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신해통공으로 육의전의 금난전권이 폐지되었다. ~경시서를 두어 시전과 지방의 장시를 통제하였다. ~시전은 보부상을 관장하여 독점판매의 혜택을 오래 누렸다. =국역의 형태로 궁중과 관청에 필요한 물품을 조달할 의무가 있었다.} 다음은 조선시대에 편찬된 어떤 책의 서문이다. 이 책이 편찬된 국왕 때에 일어난 일이 아닌 것은?전하께서는 … 신 서거정 등에게 명해 제가(諸家)의 작품을 뽑아 한 질을 만들게 하셨습니다. 저희들은 전하의 위촉을 받아 삼국시대로부터 지금에 이르기까지 사(辭), 부(賦), 시(詩), 문(文) 등 여러 문체를 수집하여 이 중 문장과 이치가 순정하여 교화에 도움이 되는 것을 취하고 분류 하여 130권을 편찬해 올립니다. {=유향소를 다시 설치하고, 사창제를 도입하였다. =서울의 원각사 안에 대리석 10층탑을 건립하였다. ~재가녀 자손의 관리 등용을 제한하는 법을 공포하였다. ~정읍사, 처용가 등이 한글로 수록된 악학궤범이 편찬되었다.} 밑줄 친 ‘공(公)’이 속한 신분 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공(公)은 열일곱에 사역원(司譯院) 한학과(漢學科)에 합격하여, 틈이 나면 성현(聖賢)의 책을 부지런히 연구하여 쉬는 날 없었다. 경전과 백가에 두루 통달하여 드디어 세상에 이름이 났다. … 공은 평생 고문(古文)을 좋아하였다. -완암집- {~조선 초기-개시 무역에 종사하여 많은 부를 축적하였다. ~조선 중기-서원 건립을 주도하고 성현들의 제사를 받들었다. =조선 후기-소청 운동을 통해 신분 상승 운동을 전개하였다. ~개항 전후-외세 침략에 맞서 위정 척사 운동을 주도하였다.} 조선시대 각 시기별 대외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5세기:류큐에 불경이나 불종을 전해주어 그곳 불교문화 발전에 기여하였다. ~16세기:을묘왜변이 일어나자 비변사로 하여금 군사문제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17세기:정묘호란과 병자호란의 패배로 인해 청에 대한 문화적 열등감이 팽배해졌다. ~18세기:청과 국경분쟁이 일어나 양국 대표가 백두산 일대를 답사하고 정계비를 세웠다. } 밑줄 친 ‘상(上)’의 재위 시에 있었던 일로 옳은 것은?이 책이 완성되었다. … 곤봉 등 6가지 기예는 척계광의 .기효신서.에 나왔는데 … 장헌세자가 정사를 대리하던 중 기묘년에 명하여 죽장창 등 12가지 기예를 더 넣어 도해(圖解)로 엮어 새로 신보를 만들었고, 상(上)이 즉위하자 명하여 기창 등 4가지 기예를 더 넣고 또 격구, 마상재를 덧붙여 모두 24가지 기예가 되었는데, 검서관 이덕무. 박제가에게 명하여 … 주해를 붙이게 했다. {=민(民)의 상언과 격쟁의 기회를 늘려주었다. ~대전회통을 편찬하여 통치 체제를 재정리하였다. ~군역의 부담을 줄이기 위해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5군영 대신 무위영과 장어영 등 2영을 설치하였다.} (가), (나)를 주장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내정 독립이나 참정권이나 자치를 운운하는 자 누구이냐? 너희들이 ‘동양 평화’, ‘한국 독립 보전’ 등을 담보한 맹약이 먹도 마르지 아니하여 삼천리강토를 집어 먹힌 역사를 잊었느냐? … 민중은 우리 혁명의 대본영이다. 폭력은 우리 혁명의 유일한 무기이다.(나) 나라는 없어질 수 있으나 역사는 없어질 수 없으니 그것은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이기 때문이다. … 정신이 보존되어 없어지지 않으면 형체는 부활할 때가 있을 것이다. {~(가)-대한민국 임시 정부에서 처음으로 대통령을 역임하였다. =(가)-독사신론을 연재하여 민족주의 사학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나)-조선 불교 유신론을 통해 새로운 사회의 방향을 추구하였다. ~(나)-낭가 사상을 강조하여 민족독립의 정신적 기반을 만들려고 하였다. } 밑줄 친 ‘그’가 일으킨 사건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일제는 1월 28일 일본승려사건을 계기로 전쟁을 도발하였다. 일본은 이때 시라카와(白川) 대장을 사령관으로 삼아 중국과의 전쟁을 승리로 이끌었다. 그는 이해 봄 야채상으로 가장하여 일본군의 정보를 탐지한 뒤, 4월 29일 이른바 천장절 겸 전승축하기념식에 폭탄을 투척하기로 하였다. 식장에 참석하여 수류탄을 투척함으로써 파견군사령관 시라카와, 일본거류민단장 가와바다 등은 즉사하였다. {~이를 계기로 신간회가 결성되었다. =한국 광복군 형성의 기초가 되었다. ~민족 유일당 운동의 계기가 되었다. ~미쓰야 협정이 체결되는 계기가 되었다. } (가), (나) 발표 시기의 사이에 있었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가)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인 방법 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사상과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나) 남과 북은 나라의 통일을 위한 남측의 연합제안과 북측의 낮은 단계의 연방제 안이 서로 공통성이 있다고 인정하고, 앞으로 이 방향에서 통일을 지향 시켜 나가기로 하였다. {=경의선 철도가 다시 연결되었다. ~북한에서 국가 주석제가 도입되었다. ~남북 이산가족이 서울과 평양을 처음 방문하였다. ~한반도 비핵화에 관한 공동 선언이 채택되었다.} 다음 호소문을 발표한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현재 나의 유일한 염원은 3천만 동포와 손잡고 통일된 조국을 위하여 공동 분투하는 것이다. 조국이 필요하다면 이 육신을 당장에라도 제단에 바치겠다.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에 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조선사편수회에 참가하여 조선사를 편찬하였다. =의열투쟁을 목적으로 한인애국단을 창단하였다. ~조선민족전선연맹을 결성해 민족단일전선에 노력하였다. ~선임정.후신탁 이념을 담은 좌우합작 7원칙에 합의하였다.} 다음과 같은 주장이 제기된 시기의 사회 현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지금의 불교계를 보면 아침 저녁으로 행하는 일들이 비록 부처의 법에 의지하였다고 하나, 자신을 내세우고 이익을 구하는 데 열중하며 세속의 일에 골몰한다. 도덕을 닦지 않고 옷과 밥만 허비하니, 비록 출가하였다고 하나 무슨 덕이 있겠는가? … (중략) … 마땅히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산림에 은둔하여 항상 선(禪)을 익히고 지혜를 고르는 데 힘쓰면서 예불하고 경전을 읽으며 힘들여 일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각자 맡은 바 임무에 따라 경영하도록 하자. {~변발, 호복, 조혼 등의 풍습이 유행하였다. ~가묘를 세워서 제사하는 예제가 확산되었다. ~지방에서는 호족이라 불리는 새로운 세력이 성장하였다. =김사미.효심의 봉기를 비롯한 농민과 천민의 봉기가 자주 일어났다. } 선사시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구석기 시대 사람들은 동굴이나 바위그늘, 막집 등에서 살았다. ~신석기 시대에는 가락바퀴나 뼈바늘을 이용하여 옷이나 그물을 만들었다. ~빗살무늬토기보다 앞서 덧무늬토기, 이른 민무늬토기 등을 사용하였다. =청동기 시대부터 청동제 농기구를 본격적으로 사용함에 따라 농경이 더욱 발전하였다. } 밑줄 친 ‘왕’이 남긴 업적으로 옳은 것은?영락 9년(399)에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하므로 왕은 남쪽으로 순수해 내려갔다.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말하기를 “왜인이 국경에 가득 차 성을 부수었으니 왕께 도움을 청합니다.”고 하였다. 영락 10년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도읍을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불교를 공인하고 태학을 설립하였다. =후연을 공격하여 요동을 차지하였다. ~백제 수도 한성을 함락하고 개로왕을 죽였다. } 다음의 내용과 가장 관련이 깊은 일제의 정책은?조선총독부는 옷감을 절약하고 노동력을 쉽게 동원하기 위하여 여성들에게 ‘몸뻬’라는 이름의 바지를 입게 하였다. 이 옷은 일본의 농촌 여성들이 주로 입던 작업복으로, 긴 윗옷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허리와 허벅지까지 통이 넓고 바지 아랫단은 좁았다. {=산미 증식을 위하여 보국대를 동원하였다. ~헌병 경찰과 보조원을 전국에 배치하였다. ~문화 통치를 표방하고 한글 신문을 발간하였다. ~호남선 철도를 개통하여 농산물 반출을 확대하였다. } 다음의 토지제도 개혁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여(閭)에는 여장(閭長)을 두며 여민들이 공동으로 경작한다. 내 땅 네 땅의 구분이 없으며 오직 여장의 명령만 따르며, 개인별 노동량은 매일 여장이 기록하고, 수확물은 모두 여장의 집에서 모은다. 분배할 때는 공세(公稅)와 여장 녹봉을 빼고서 일역부(日役簿) 기록에 따라 공정하게 분배 한다. -.전론(田論).- {~균전제 시행에는 비판적이었다. ~병농일치의 군사제도가 함께 제안되었다. =정전제를 이상적 모델로 삼은 개혁론이었다. ~놀고 먹는 양반 사회에 대한 비판 의식이 담겼다. } 다음 상소문에 나타난 역사의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군신, 부자, 부부, 붕우, 장유의 윤리는 인간의 본성에 부여된 것으로서 천지를 통하는 만고불변의 이치이고, 위에 존재하는 것으로서 도(道)에 해당됩니다. 반대로 배, 수레, 군사, 농사, 기계 등 편민이국(便民利國)하는 것은 외형적인 것으로서 기(器)에 해당합니다. 신이 변혁을 꾀하자고 주청드리는 대상은 기이지 도가 아닙니다. {~왜양 일체론을 계승하였다. =온건 개화파의 현실관을 반영하였다. ~인물성이론을 사상적 연원으로 삼았다. ~갑신정변 주도 세력의 입장을 대변하였다.} 다음 제도를 제정한 왕과 관련된 사실로 옳은 것은? 처음으로 역분전(役分田)을 정했다. 통합 때의 조신과 군사에게 관계(官階)를 논하지 않고 인성과 행실의 선악, 공로의 대소를 보고 차등있게 지급하였다. -.고려사.- {~광군을 조직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광덕, 준풍 등의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북진정책을 추진하여 서경을 경략하고 압록강까지 영토를 넓혔다. =정주 유씨, 충주 유씨 등 유력한 지방 호족들과 정략적 혼인관계를 맺었다. } 다음 글을 집필한 역사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옛 사람들이 말하기를 나라는 멸망할 수 있지만 역사는 멸망할 수 없다고 하였으니, 나라는 형(形)이고 역사는 신(神)이기 때문이다. 지금 한국의 형은 허물어졌으나 신만이 홀로 남을 수는 없는 것인가. -○○○○ 서문- ○ 무릇 역사는 국가의 정신이요, 영웅은 국가의 원기라. 국민의 수준이 높을수록 역사를 더욱 존중하고 영웅을 숭배하니 그 역사를 존중함과 영웅을 숭배함이 곧 그 국가를 사랑하는 사상이라. -고구려 영락대왕 묘비 등본을 읽고- {=국가의 구성 요소를 국혼과 국백으로 나누었다. ~역사 연구의 목표를 ‘조선 얼’의 유지에 두었다. ~아와 비아의 투쟁으로 역사가 전개된다고 하였다. ~기자조선-마한-통일신라로 이어지는 정통론을 주장하였다. } 신라 민정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람은 연령에 따라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5년마다 토지의 변화를 중심으로 작성되었다. ~호는 상상호에서 하하호까지 9등급으로 나누어 파악하였다. ~토지와 인구뿐만 아니라 소와 말의 수, 뽕나무.잣나무. 호두나무의 수까지 기록하였다. } 다음 ‘민요’가 나타난 시기의 역사적 사건으로 옳은 것은?남문을 열고 파루를 치니 계명산천이 밝아온다. 석수장이 거동보소. 방 망치를 갈라 잡고 눈만 꿈벅거린다. 도편수란 놈 거동보소. 먹통 들고 갈팡질팡한다. 우리 나라 좋은 나무, 이 궁궐 짓는 데 다 들어간다. {=정족산성에서 프랑스 군을 격파하였다. ~상평통보를 발행하여 전국적으로 유통시켰다. ~나라 이름을 조선으로 하고 수도를 한양으로 옮겼다. ~일본군이 경복궁을 점령하고 청.일 전쟁을 일으켰다.} 다음과 같은 사실이 있었던 시대의 신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파견하여 지방 세력의 자제를 교육하였다. ○ 문헌공도, 홍문공도 등의 사학이 설립되었다. {=중류층인 남반은 중앙 관청의 말단에서 행정 실무를 관장하였다. ~향리 자제들이 과거를 통해 중앙 관리가 되는 길이 열려 있었다. ~관청의 잡역에 종사한 공역노비는 60세가 되면 역이 면제되었다. ~향, 부곡의 주민은 군현의 주민에 비해 여러 가지 차별 대우를 받았다.} 밑줄 친 ‘난’의 주체들이 주장했을 구호로 거리가 먼 것은? 최근 남쪽에서 일어나는 난은 양민이 일으키는 것이 아니라 궁민(窮民)이 일으킨다. 이들은 생활할 만한 자산이 없으므로 밤낮 원망하고 난을 생각한 지 오래되었다. 비록 의리를 말하면서 그들을 타일러도 따르지 않는다. 요사이 남쪽 농민들의 소란은 대개 이들이 주동한 것이며 양민은 단지 협조자일 뿐이다. -.고환당수초.- {~잡역세 부과를 반대한다. =토지는 농민에게 넘겨라. ~과중한 결세를 해결하라. ~군포 부담을 고르게 하라.} 다음 (가), (나)와 관련하여 나타난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가) 시위대 참령 ○○○이 … (중략) … “내가 몇 해 동안 군사를 거느리고 있었는데, 갑자기 해산을 당하고 말았으니 차마 내 병정들을 대할 면목이 없다.”라고 말하고 차고 있던 군도를 빼어 스스로 목을 찔러 죽으니 병정들이 분기를 이기지 못하였다고 한다. (나) 용병(用兵)의 요체는 고립을 피하고 일치단결하는 데 있다. 각 도의 군사를 통일하여 뚝이 무너질 듯 근기 (近畿) 지방으로 밀려들어가면 온 천하를 우리 보물로 하기는 불가능하더라도 한국 문제를 해결하는 데 유리하게 될 것이다. {~(가)-의병과 연계하여 일본군과 접전을 벌였다. ~(나)-13도 창의대진소가 설치되고 이인영을 창의대장으로 뽑았다. =(가)-고종이 퇴위하고 정미조약이 강요되는 계기가 되었다. ~(나)-허위가 이끄는 선발 부대는 동대문 인근까지 진출 하였다.} 다음과 같은 민족 운동을 촉발한 일제의 침략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국채 1,300만원은 나라의 존망과 관계한다. 갚으면 나라가 살고 갚지 못하면 망하는 것은 시대의 대세이다. 현재 국고로는 이 국채를 갚기 어려운 즉, 삼천리 강토가 자칫 우리 나라와 백성의 것이 아니 될 위험에 처하게 되었다. {=화폐 정리 사업과 시정 개선 사업을 강요하였다. ~청국과 간도협약을 맺어 대륙 철도를 부설하였다. ~제1차 한일협약을 강요하여 경찰고문을 파견하였다. ~회사령을 공포하고, 일본 물품의 수입 관세를 유지하였다.} 다음 (가), (나)의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토지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기간 내에 주소, 씨명,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사표, 등급, 지적, 결수 등을 임시토지조사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나) 법령 및 조약에 의하여 몰수 또는 국유로 된 토지나 소유권 명의가 분명하지 않은 농지는 정부에 귀속하며, 농지 분배는 1가구당 총 경영 면적 3정보를 초과하지 못한다. {~(가)-토지세 과세지가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나)-임야 소유권 문제는 제외하였다. ~(가)-국유지는 동양척식회사 등을 통해 일본인에게 불하되었다. =(나)-귀속 농지 분배를 위하여 신한공사를 설치하였다.} 조세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일 신라는 토지 생산량의 10분의 1 정도를 조세로 수취하였다. ~고려는 토지를 논과 밭으로 구분하고, 비옥한 정도에 따라 3등급으로 나누어 조세를 부과하였다. ~조선 세종 때에는 토지의 비옥도에 따라 6등급으로, 풍흉의 정도에 따라 9등급으로 나누어 조세를 부과하였다. =조선 후기에는 영정법을 시행하면서 지주에게 토지 1결당 미곡 12두의 전세를 부담시켰다. } 다음 민중 봉기에 대한 내용을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ㄱ. 경주와 그 주변 지역을 중심으로 신라 부흥을 외친 농민 봉기가 자주 일어났다. ㄴ. 군현에 사자를 보내어 조세를 독촉하자 원종과 애노가 상주에 웅거하여 반란을 일으켰다. ㄷ. 서북지방의 대상인, 향임층, 무사, 농민 등이 연합하여 지방차별 타파를 외치며 봉기하였다. ㄹ. 백정 출신이 몰락한 사림, 아전, 평민 등을 규합하여 구월산을 본거지로 의협 활동을 전개하였다. {~ㄱ→ㄴ→ㄷ→ㄹ ~ㄱ→ㄴ→ㄹ→ㄷ ~ㄴ→ㄱ→ㄷ→ㄹ =ㄴ→ㄱ→ㄹ→ㄷ} 우리나라 구석기시대의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동굴, 바위그늘에서 살거나 강가에 막집을 짓고 살았다. ~동물의 뼈로 만든 뼈도구와 뗀석기를 도구로 사용하였다. ~유적으로는 상원의 검은 모루, 제천 창내, 공주 석장리 등이 있다. =조, 피 등의 곡물을 반달돌칼로 이삭을 추수하는 등 농경을 발전시켰다. } 밑줄 친 ‘이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이들이 받은 교육 내용은 주로 서양의 말과 문장, 탄약 제조, 화약 제조, 제도, 전기, 소총 수리 등이었다. 그러나 이들 가운데에는 자질이 부족하여 교육에 어려움을 느끼다가 자퇴하는 사람들도 있었다. {~갑신정변을 주도하였다. ~일본에 파견되어 활동하였다. ~정부의 재정지원으로 외국에서 3년 간 교육을 받았다. =이들의 활동을 계기로 근대적 병기공장인 기기창이 설치되었다.} 18세기 이후 조선 사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서얼에 대한 차별이 더욱 심화되었다. ~공노비는 사노비보다 더 가혹한 수탈과 사회적 냉대를 받았다. =일반 서민 중에서도 부를 축적하여 지주가 되는 사람이 있었다. ~여자의 지위가 상승하여 딸도 아들처럼 부모의 재산을 상속 받았다.} 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일제의 중국 침략이 가속화되자 우리나라 독립 운동 단체들은 항일 세력을 한 곳으로 모으는 데 힘을 기울였다. 그리하여 민족주의 계열의 세 개 정당을 한국독립당으로 통합하는 데 성공하였다. 한국독립당은 김구가 중심이 된 단체로서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집권 정당의 성격을 가졌다. 한국독립당을 중심으로 한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주석 중심제로 정부 체제를 개편하여 독립 전쟁을 전개할 강력한 지도 체제를 확립하였고, 그 후 ________________________ {~한인 애국단을 조직하였다. ~국민 대표 회의를 개최하였다. =대한민국 건국 강령을 발표하였다.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을 지원하였다. } 다음은 어떤 책의 서문이다. 이 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세조께서 일찍이 말씀하셨다. “우리 조종의 심후하신 인덕과 크고 아름다운 규범이 훌륭한 전장(典章)에 퍼졌으니 … (중략) … 또 여러 번 내린 교지가 있어 법이 아름답지 않은 것은 아니지만, 관리들이 재주가 없고 어리석어 제대로 받들어 행하지 못한다. … (중략) … 이제 손익을 헤아리고 회통할 것을 산정하여 만대 성법을 만들고자 한다.” {=국가 통치 규범을 확립한 경국대전이다. ~국가 행사 때 사용될 의례 규범서인 국조오례의이다. ~후대에 모범이 될 만한 역대 국왕의 행적을 기록한 국조보감 이다. ~효자, 충신, 열녀 등의 사례를 뽑아서 만든 백성들의 윤리서인 삼강행실도이다.} 다음 자료에서 설명하는 나라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서로 죽이면 그 때에 곧 죽인다. 서로 상하게 하면 곡식으로 배상하게 한다. 도둑질 한 자는 남자는 그 집의 가노(家奴)로 삼고 여자는 비(婢)로 삼는다. 노비에서 벗어나기를 원하는 자는 50만전을 내야하는데 비록 면하여 민의 신분이 되어도 사람들이 이를 부끄럽게 여겨 장가들고자 하여도 결혼할 사람이 없다. 이런 까닭에 그 백성들이 끝내 서로 도둑질 하지 않았고 문을 닫는 사람이 없었다. 부인들은 단정하여 음란한 일이 없었다. -한서 지리지- {=삼국사기에 따르면 요임금 때 건국되었다. ~건국 사실이 제왕운기에도 기술되어 있다. ~사람의 생명과 사유재산을 보호하는 사회였다. ~이 나라의 이름이 관자라는 책에도 나오고 있다.} 다음은 어떤 왕의 즉위교서이다. 이 왕의 정책과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지금부터 만약에 종친으로서 동성과 혼인하는 자는 (원의 세조) 성지(聖旨)를 어긴 것으로 논죄할 터인즉, 마땅히 (종친은) 누대의 재상을 지낸 집안의 딸을 아내로 맞고, 재상 집안의 아들은 종실들의 딸들에게 장가들 것이다. … (중략) … 경원 이태후와 안산 김태후 및 철원 최씨, 해주 최씨, 공암 허씨, 평강 채씨, 청주 이씨, 당성 홍씨, 황려 민씨, 횡천 조씨, 파평 윤씨, 평양 조씨는 모두 누대의 공신이요, 재상지종(宰相之宗)이니 가히 대대로 혼인을 하여 아들은 종실의 여자에게 장가들고 딸은 왕비로 삼을 만 하다. -고려사- {~국가가 소금을 전매하는 각염법을 시행하였다. ~북경에서 만권당을 설립하여 학문연구를 지원하였다. ~사림원을 두어 신진학자들과 함께 개혁을 추진하였다. =고려에 내정 간섭을 하던 정동행성 이문소를 혁파하였다.} 다음 주장을 한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카이로, 포츠담 선언과 국제 헌장으로 세계에 공약한 한국의 독립 여부는 금번 모스크바에서 개최한 3국 외상 회의의 신탁 관리 결의로 수포로 돌아갔으니, 다시 우리 3천만은 영예로운 피로써 자주독립을 획득하지 아니하면 아니 될 단계에 들어섰다. 동포여! 8․15 이전과 이후, 피차의 과오와 마찰을 청산하고서 우리 정부 밑에 뭉치자. 그리하여 그 지도하에 3천만의 총역량을 발휘하여 신탁 관리제를 배격하는 국민운동을 전개하여 자주 독립을 완전히 획득 하기까지 3천만 전 민족의 최후의 피 한 방울까지라도 흘려서 싸우는 항쟁 개시를 선언한다. <보 기> ㄱ. 좌우합작위원회를 주도하였다. ㄴ. 신탁 통치 반대 운동을 하였다. ㄷ. 대한민국임시정부의 승인을 요구하였다. ㄹ. 한반도 문제의 처리를 유엔으로 넘기자고 주장하였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ㄱ, ㄹ} 고려시대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이다. ㉠, ㉡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5품 이상 관리의 자손이 공음전시를 받을 수 있었던 것에 대응하여 6품 이하 관리의 자손에게는 ( ㉠ )을 지급하였다. 그리고 자손이 없는 하급관리와 군인 유가족에게는 ( ㉡ )을 지급하여 생활 대책을 마련해 주었다. ㉠ ㉡ {~휼양전 한인전 ~군인전 수신전 ~구분전 한인전 =한인전 구분전 } 고려시대 지방 행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성종은 호장⋅부호장과 같은 향리 직제를 마련하였다. ~퇴직한 관료를 사심관으로 임명하여 출신지역에 거주하게 하였다. ~광종은 처음으로 중요 거점 지역에 상주하는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지방 향리의 자제를 상수리로 임명하여 궁중의 잡역을 담당하게 하였다. } 밑줄 친 ‘그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그 나라는 대군장이 없고 한(漢) 시대 이래로 후(侯)⋅ 읍군(邑君)⋅삼노라는 관직이 있어 하호(下戶)를 다스렸다. … (중략) …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 마시며 노래 부르고 춤추니 이를 무천(舞天)이라고 한다. -삼국지- {~영고라는 제천행사를 하였는데 수렵 사회의 유풍으로 전 국민적인 축제였다. ~천군은 제사장으로서 소도라는 별읍(別邑)에서 농경예식과 종교의례를 주관하였다. =다른 부족의 생활권을 침범하면 책화라고 하여 노비, 소, 말로 변상하게 하였다. ~처녀를 미리 신랑 집에 데려다 놓고 살다가 뒤에 며느리로 삼는 민며느리제가 있었다.} 밑줄 친 ‘두 사람’이 살았던 나라의 교육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임신년 6월 16일에 두 사람이 함께 맹세하여 쓴다. 지금부터 3년 후에 충도(忠道)를 지키고 허물이 없게 할 것을 하늘 앞에 맹세한다. 만일 이 서약을 어기면 하늘에 큰 죄를 짓는 것이라고 맹세한다. 또한 신미년 7월 22일에 크게 맹세한 바 있다. 곧 시경(詩經), 상서(尙書), 예기(禮記), 춘추전(春秋傳)을 3년 안에 차례로 습득하겠다고 하였다. {~유교 경전을 통하여 유학을 공부하였다. =경당에서 유교와 활쏘기 등 무예를 배웠다. ~원광법사가 제정한 세속오계의 윤리를 배웠다. ~화랑도에 소속되어 산천을 돌아다니며 심신을 연마하기도 하였다.} 다음 조약과 직접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제10조:일본인이 조선국 지정의 각 항구에 머무는 동안에 죄를 범한 것이 조선인에 관계되는 사건일 때에는 모두 일본국 관원이 심판할 것이다. {~일본은 조선에 주둔시켰던 군대를 철수하였다. ~개항장에 일본 군인을 주둔하게 하는 규정을 두었다. =일본국 항해자가 자유롭게 조선해양을 측량하도록 허가하였다. ~일본 공사관에 군인을 두어 경비하게 하고 그 비용은 조선이 부담하게 하였다. } 다음 ㉠~㉢에 들어갈 말이 바르게 짝지어진 것은? ○ 박세채는 ( ㉠ )이란 말을 사용하면서 서인과 남인을 서로 조정하여 화합시켜 붕당정치 형태를 회복할 것을 촉구했다. ○ 영조는 법전체계를 수정⋅보완하여 ( ㉡ )을 편찬하였다. ○ 정조는 노비추쇄를 금지하는 등 노비제를 완화하고 나아가 혁파할 뜻이 컸지만 이루지 못하고 순조 1년에 ( ㉢ )의 부분 혁파 조치만이 이루어지게 된다. {~탕평 대전통편 사노비 =탕평 속대전 공노비 ~환국 속대전 사노비 ~환국 대전통편 공노비} 다음 농민봉기의 요구사항으로 옳은 것은?주민 수만 명이 머리에 흰 수건을 두르고 손에 나무 몽둥이를 들고 무리를 지어 진주 읍내에 모여 서리들의 가옥 수십 호를 불사르고 부셔서 그 움직임이 결코 가볍지 않았다. 병사가 해산시키고자 하여 장시에 나가니 흰 수건을 두른 백성들이 땅 위에서 그를 빙 둘러싸고는 … (중략) … 여러 번 문책했는데, 조금도 거리낌이 없었다. 그리고 병영으로 병사를 잡아 들어가서는 이방 권준범과 포리 김희순을 곤장으로 수십 대 힘껏 때리니 여러 백성들이 두 아전을 그대로 불 속에 던져 넣어 태워버렸다. {=환곡의 폐단을 없애라. ~노비 문서를 불태워라. ~과부의 재가를 허용하라. ~토지를 골고루 나누어 경작하게 하라. } 밑줄 친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문무왕이 도읍의 성을 새롭게 하고자 승려에게 문의하였다. 승려는 말하였다. “비록 궁벽한 시골과 띳집(茅屋)이 있다 해도 바른 도(道)만 행하면 복된 일이 영구히 지속될 것이요, 만일 그렇지 못하면 여러 사람이 수고롭게 하여 훌륭한 성을 쌓을지라도 아무 이익이 없을 것입니다.” 왕이 곧 공사를 그쳤다. -삼국사기- {~김제 금산사를 중심으로 미륵불이 지상에 와서 이상사회를 건설한다는 믿음을 가르쳤다. ~십문화쟁론 등 수 많은 저술을 통하여 화쟁사상을 주창하면서 불교를 대중화하였다. ~삼장법사 현장에게 유식학을 배워 서명학파를 이루었으며, 티벳불교에 큰 영향을 주었다. =화엄일승법계도를 지었으며, 부석사, 낙산사 등의 화엄종 사찰을 중심으로 불교의 가르침을 폈다. } 다음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실시한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나라의 100여 년에 걸친 고질 병폐로서 가장 심한 것은 양역이다. 호포니 구전이니 유포니 결포니 하는 주장들이 분분하게 나왔으나 적당히 따를 만한 것이 없다. 백성은 날로 곤란해지고 폐해는 갈수록 더욱 심해지니, … (중략) … 이웃의 이웃이 견책을 당하고 친척의 친척이 징수를 당하고, 황구는 젖 밑에서 군정으로 편성되고 백골은 지하 에서 징수를 당하며 … (후략) {=양반들도 군역을 지는 것으로 개선하였다. ~군역 부담자의 군포 부담을 1필로 정하였다. ~균역청에서 관리하다가 선혜청이 통합하여 관리하였다. ~평안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6도의 토지 1결당 쌀 2두씩을 부과하였다. } 전근대사회의 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려시대에는 귀족이 죄를 지으면 형벌로 귀향을 시키기도 하였다. =조선시대 강상죄는 범죄 중에서 가장 무겁게 취급되었지만, 범인에 한정하여 처벌하였다. ~신라의 골품제도는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은 물론, 복색이나 수레 등 신라인의 일상생활까지 규제하였다. ~백제의 관리는 뇌물을 받거나 국가의 재물을 횡령했을 때 3배를 배상하고, 죽을 때까지 금고형에 처하였다.} 다음 밑줄 친 ‘이들’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이들은 본시 모두 사대부였는데 또는 의료직에 들어가고 또는 통역에 들어가 그 역할을 7~8대나 10여 대로 전하니 사람들이 서울 중촌(中村)의 오래된 집안이라고 불렀다. 문장과 대대로 쌓아 내려오는 미덕은 비록 사대부에 비길 수 없으나 유명한 재상, 지체 높고 번창한 집안 외에 이들 보다 나은 자는 없다. 비록 나라의 법전에 금지한 바 없으나 자연히 명예롭고 좋은 관직으로의 진출은 막히거나 걸려 수백 년 원한이 쌓여 펴지 못한 한이 있고 이를 호소할 기약조차 없으니 이는 무슨 죄악이며 무슨 업보인가? -상원과방- <보 기> ㄱ. 이들도 문과와 생원, 진사시에 응시할 수 있었다. ㄴ. 조선 후기에는 시사(詩社)를 조직하여 문예활동을 하였다. ㄷ. 정조 때 이덕무, 박제가 등이 규장각 검서관으로 기용 되어 활동하였다. ㄹ. 연합상소운동이 성공하여 명예롭고 좋은 관직(청요직) 으로 진출하게 되었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ㄱ, ㄹ} 다음 보기에서 제시한 풍속을 가진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형벌은 엄격하고 각박하여 사람을 죽인 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적몰(籍沒)하여 노비로 삼았다. 도둑질을 하면 (도둑질한 물건의) 12배를 배상하게 하였다. 남녀 간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부인이 투기하면 모두 죽였다. 투기하는 것을 더욱 미워하여 죽이고 나서 그 시체를 나라의 남산에 버려서 썩게 하였다. 친정집에서 (그 부인의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하였다. 『삼국지 위지 동이전』 {~사람을 죽여서 순장을 하는데, 많을 때는 백여 명이나 되었다. ~송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를 중심으로 성장하여 농경과 목축이 성하였다. ~제천행사 기간 동안에 국가의 중요한 문제를 토의하고, 죄인을 재판하여 풀어주었다. =서옥제(婿屋制)라는 데릴사위제 풍속이 있었다.} 다음 보기의 내용을 통하여 공통적으로 추론할 수 있는 역사적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 국학의 설치 ㉡ 독서삼품과의 시행 ㉢ 도당유학생의 파견 {=유학의 보급 ~당과의 교류 확대 ~귀족들의 왕권에 대한 견제 강화 ~풍수지리사상의 유행} 다음 보기 중 발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발해의 주민은 고구려인과 말갈인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 발해는 당과 신라의 위협을 막아내기 위해 처음에는 북으로 돌궐, 남으로 일본과 가까운 관계를 맺었다. ㉢ 발해는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 발해는 9세기 전반의 선왕 때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 지역으로 진출하였다. {~1개 ~2개 ~3개 =4개} 다음 보기의 제도를 실시한 공통적인 목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진대법의 실시 ㉡ 녹읍의 혁파 ㉢ 정전(丁田)의 지급 {~중앙의 지방에 대한 통제 강화 ~귀족의 경제 기반 확대 =농민의 경제 안정 ~귀족 중심 관료체제의 운영 강화} 다음 중 조선후기 심화된 국학연구의 성과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의봉의 『고금석림』에는 방언과 해외언어가 정리되어 있다. =이종휘의 『동사』는 일본 연구를 통해 고대사의 시야를 해외로 확장하는데 기여하였다. ~안정복의 『동사강목』에는 고조선으로부터 고려말까지의 역사가 서술되어 있다. ~정상기의 『동국지도』는 최초로 100리척을 사용하여 정확하고 과학적인 지도 제작에 공헌하였다.} 다음 중 삼국시대 각국의 문화적 상호 영향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백제는 초기에 고구려의 영향으로 계단식 돌무지무덤을 만들었다. =많은 부장품을 남긴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 양식은 고구려로부터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일본의 석상신궁에 있는 칠지도는 백제 근초고왕이 일본왕에게 선사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일본 나라시의 다카마쓰 고분에서 고구려 수산리 벽화고분의 영향을 받은 벽화가 발견되었다.} 다음 중 고려시대 정치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도병마사 : 왕명에 의해 귀족들의 죄를 다스리는 사법기관이었다. ~중추원 : 군사 기밀과 왕명의 출납을 담당하였다. ~상서성 : 6부를 거느리고 정책의 집행을 담당하였다. ~정방 : 최씨 무신정권 때 최우가 설치하였으며, 인사행정을 관장하였다.} 다음 중 고려시대 사회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의창 : 흉년에 빈민을 구제하는 기관이었다. ~상평창 : 물가조절기관으로 개경과 서경, 12목에 설치되었다. ~제위보 : 기금을 마련한 뒤 이자로 빈민을 구제하는 기관이었다. =대비원 : 구료기관으로 개경과 3경에 설치되었다.} 다음 보기와 관련된 조선시대 조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경남 사천에서 발견된 사천 매향비는 향나무를 묻고 세운 것으로, 내세의 행운과 국태민안(國泰民安)을 기원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두레 ~향약 =향도 ~동계} 다음 보기의 시기와 관련된 사회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근래 아전의 풍속이 나날이 변하여 하찮은 아전이 길에서 양반을 만나도 절을 하지 않으려 한다. 아전의 아들, 손자로서 아전의 역을 맡지 않은 자가 고을 안의 양반을 대할 때 맞먹듯이 너, 나 하며 자(字)를 부르고 예의를 차리지 않는다. 『목민심서』 {~전란으로 재정적 타격을 받은 정부가 납속책을 실시하고 공명첩을 발급함으로써, 서얼은 이를 이용하여 관직에 나아갈 수 있게 되었다. =양반은 촌락 단위보다는 군현 단위의 동약을 실시하였다. ~부농층은 종래의 재지 사족(在地士族)이 담당하던 정부의 부세제도에 적극 참여하였다. ~아버지가 노비라도 어머니가 양민이면 자식을 양민으로 삼는 법이 실시되었다.} 다음 중 조선후기 조세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대동법은 집집마다 부과하여 토산물을 징수하던 공물 납부 방식을 토지의 결수에 따라 쌀, 삼베나 무명, 동전 등으로 납부하게 하는 제도였다. ~대동법은 경기도에 시험적으로 시행되고 이어서 점차 전국으로 확대되었다. =인조대에 풍년이나 흉년에 따라 전세를 조절하는 영정법을 시행하였다. ~균역법의 시행으로 감소된 재정은 지주에게 결작이라 하여 토지 1결당 미곡 2두를 부담시켰다.} 다음 중 흥선대원군이 실시한 정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의정부와 삼군부를 통합하고, 비변사의 기능을 확대하였다. ~폐단이 심했던 환곡제를 개혁하여 사창제를 실시하였다. ~종래에 상민(常民)에게만 징수해 온 군포를 양반에게까지 확대·징수하였다. ~법치질서를 정비하기 위해 󰡔대전회통(大典會通)󰡕을 간행하였다.} 다음 중 독립협회의 활동 및 광무개혁 내용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독립협회는 1898년에 대구, 평양 등지에 지회를 설립하고, 서울에서는 만민공동회를 열어 개혁운동을 대중적으로 확산시켰다. ~독립협회는 양전지계사업을 시행하여 농민의 토지소유권을 근대법적으로 인정하고 지주제를 점차 개혁하고자 하였다. ~광무정권은 대한국 국제(大韓國國制)를 공포하여 통치권을 국왕에게 집중시키되 중추원을 개편하여 의회적 기능을 갖도록 하였다. ~독립협회는 궁극적으로 군주제를 폐지하고 대외적으로 자주성을 갖는 공화제를 실시하고자 하였다.} 다음 보기의 사건을 주도했던 세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청나라에 대한 종속관계를 청산하고 인민 평등권의 내용과 능력에 따른 인재의 등용을 표방하였으며 행정 조직의 개편과 조세제도의 개혁을 모색하였다. 우리나라에서 처음으로 근대국가를 건설하려 하였던 사건으로 큰 의미가 있다. 또한 양반 지주층 일부가 중심이 되어 위로부터의 근대화를 꾀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이 사건은 외세의 조선침략을 촉진하는 결과를 가져왔으며, 농민들의 바람인 토지문제의 해결에 적극적이지 않았다는 한계가 있다. {~영은문(迎恩門)과 모화관(慕華館)을 없앴다. ~구본신참(舊本新參)의 원칙 아래 개혁정책을 수행하였다.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인해 와해되었다. =일본에서 차관을 도입하여 국가 재정을 보충하자고 하였다.} 다음 중 3․1운동의 대내외적 배경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910년대 일제의 경제적 약탈과 사회적․정치적 억압으로 인해 일제에 대한 분노와 저항은 전 민족적으로 고조되었다. ~1917년 러시아 혁명 직후 레닌은 자국 내 100여 개 이상의 소수민족에 대해 민족자결의 원칙을 선언하였다. =1918년 미국 대통령 윌슨은 제1차 세계대전 후 지구상의 모든 식민지 처리에 민족자결주의를 적용하자고 주창하였다. ~1919년 신한청년당에서는 독립청원서를 작성하여 김규식을 파리강화회의에 대표로 파견하였다.} 다음 중 일제강점기에 활동한 역사가와 그 업적이 가장 적절하게 짝지어진 것은? {~신채호 : 1915년 근대적 역사인식에 입각한 최초의 한국근대사로 평가되는 『한국통사(韓國通史)』를 저술 ~박은식 : 『조선상고사(朝鮮上古史)』에서 역사는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라고 주장 =백남운 : 한국사의 발전법칙성을 추구하는 사회경제사학을 통해, 식민사학의 정체성론(停滯性論)을 비판 ~정인보 : “국가는 멸할 수 있어도 역사는 멸할 수 없다.”고 하면서 역사를 국혼(國魂)과 국백(國魄)의 기록이라 주장} 다음 중 조선시대 성리학의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도전, 권근 등 관학파는 주례를 국가의 통치이념으로 중요하게 여겼다. =이황을 계승한 남인들은 인간과 사물의 본성에 관한 문제를 두고 호락논쟁을 벌였다. ~서경덕과 조식은 노장사상에 포용적이었다. ~소론 성리학자들은 양명학이나 노장사상 등을 수용하였다.} 다음 보기의 왕과 업적이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된 것은? ㉠ 근초고왕 때에는 산둥 지방과 일본의 규슈 지방에까지 진출하는 등 활발한 대외 활동을 벌였다. ㉡ 법흥왕은 병부의 설치, 율령의 반포, 공복의 제정 등을 통하여 통치 질서를 확립하였다. ㉢ 장수왕은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뒤이어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는 등 세력을 넓혔다. ㉣ 신문왕은 9주 5소경 체제의 지방행정 조직을 완비하였고 녹읍을 폐지하였다. {~㉠㉡㉢㉣ =㉠㉢㉡㉣ ~㉡㉠㉣㉢ ~㉡㉠㉢㉣} 다음 보기의 강령을 내세운 단체의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우리는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진한다. -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한다. -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한다. {=1929년 광주학생운동이 일어나자 ‘민중대회’를 열어 항일(抗日) 열기를 확산시키려고 하였다. ~국민대표기관으로서 임시의정원을 두고, 기관지 󰡔독립신문󰡕을 발간하였다.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독립군은 봉오동에서 일본군 1개 대대를 격파하였다. ~김좌진이 이끄는 북로군정서는 청산리에서 일본군 1200여명을 사살하는 큰 승리를 거두었다.} 다음 중 유네스코에 등재된 우리나라의 세계문화유산은 모두 몇 개인가? ㉠ 석굴암 ㉡ 종묘 ㉢ 해인사 장경판전 ㉣ 수원 화성 ㉤ 경복궁 ㉥ 경주 역사유적지구 {~3개 ~4개 =5개 ~6개} 다음에서 제시한 유적지에 해당하는 시대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상원 검은모루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 단양 수양개 유적 공주 석장리 유적 {~뗀석기를 가지고 사냥과 채집을 위주로 생활하였다. ~무리를 지어 살면서 공동체적 생활을 영위하였다. ~동굴이나 바위그늘에 주로 살았고, 때로는 막집을 짓고 살았다. =조, 기장, 수수 등의 작물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 삼한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게 짝지어진 것은? ㉠ 부전 고원을 넘어 옥저를 정복하여 공물을 받았다. ㉡ 지배자 중에서 세력이 큰 것은 신지, 작은 것은 읍차 등으로 불렸다. ㉢ 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들을 껴묻거리와 함께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 초가지붕의 반움집이나 귀틀집에서 살며, 5월과 10월에 하늘에 제사지냈다. ㉤ 제사장 천군은 신성 지역 소도에서 농경과 종교에 대한 의례를 주관하였다. ㉥ 중대한 범죄자는 제가회의를 통하여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을 노비로 삼았다. ㉦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들은 각기 사자, 조의, 선인 등 관리를 거느리고 있었다. {=㉡㉣㉤ ~㉡㉢㉤ ~㉣㉤㉦ ~㉠㉥㉦} 다음은 삼국시대 고구려가 강성했을 당시의 역사적 사실을 나열한 것이다. 보기의 사실을 시대 순으로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 백제의 웅진천도 ㉡ 나제동맹 결성 ㉢ 광개토왕비의 건립 ㉣ 고구려 평양천도 {=㉢-㉣-㉡-㉠ ~㉡-㉢-㉣-㉠ ~㉣-㉢-㉠-㉡ ~㉢-㉣-㉠-㉡} 삼국시대 대외 진출 또는 영토 확장에 관한 내용이다. 다음에 해당하는 시기의 대외 관계가 가장 적절하게 연결되지 않은 것은? ㉠ 사비로 도읍을 옮기고, 중국의 남조와 활발하게 교류하고일본에 불교를 전하기도 하였다. ㉡ 한강 유역을 장악하여 경제기반을 강화하고, 이후삼국 경쟁의 주도권을 장악하는 계기를 마련하였다. ㉢ 한강 전 지역을 포함하여 죽령 일대에서 남양만을연결하는 선까지 영토를 넓혔다. ㉣ 마한세력을 정복하여 전라도 남해안에 이르렀으며, 낙동강 유역의 가야에 대해서도 지배권을 행사하였다. {~㉠-신라와 연합하여 한강 유역을 부분적으로 수복하였지만, 곧 신라에게 빼앗겼다. =㉡-금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하였다. ~㉢-중국 남북조와 각각 교류하면서, 두 세력을 조정하는 외교정책을 써서 중국을 견제하였다. ~㉣-중국 산둥 지방과 일본의 규슈 지방에까지 진출하는 등 대외 활동을 벌였다.} 다음 보기 중에서 진흥왕대에 세워진 순수비로 가장 옳게 짝지어진 것은? ㉠ 마운령비 ㉡ 영일 냉수리비 ㉢ 임신서기석 ㉣ 북한산비 ㉤ 울진 봉평비 ㉥ 황초령비 ㉦ 창녕비 {=㉠㉣㉥㉦ ~㉡㉢㉣㉦ ~㉡㉣㉤㉥ ~㉠㉢㉤㉥} 다음에서 설명하는 나라와 관련된 사서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상경과 동경의 절터에서는 고구려 양식을 계승한 것으로 여겨지는 불상도 발굴되었다. 이 불상은 흙을 구워 만든 것으로, 두 분의 부처가 나란히 앉아 있는 모습을 하고 있다. 또 벽돌이나 기와무늬는 고구려의 영향을 받아 소박하고 힘찬 모습을 띠고 있다. {~발해고 =동사회강 ~동사강목 ~해동역사} 다음에서 설명하는 고려 정치 세력들을 집권한 순서대로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 자기 근거지에 성을 쌓고 군대를 보유하며 스스로 성주, 장군이라 칭했다. ㉡ 차별에 따른 불만으로 정변을 일으켜 의종을 폐하고 명종을 세워 정권을 장악하였다. ㉢ 여러 세대에 걸쳐 고위 관직자를 배출한 가문으로 중서문하성과 중추원의 재상이 되어 정국을 주도하였다. ㉣ 주로 향리의 자제들로 과거를 통해 관리로 진출한 이들은 성리학을 학문의 기반으로 삼고 새로운 개혁을 시도하였다. ㉤ 원과의 관계를 통해 성장한 기철 세력은 남의 토지를 빼앗아 농장을 확대하고 양민을 노비로 삼는 등의 권세를 부렸다. {~㉠-㉡-㉢-㉣-㉤ ~㉡-㉢-㉠-㉣-㉤ =㉠-㉢-㉡-㉤-㉣ ~㉢-㉠-㉣-㉤-㉡} 중종은 중종반정으로 정권을 장악한 훈구세력을 견제할 목적으로 조광조 등 사림세력을 주요 관직에 임명하였다. 조광조의 개혁정치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현량과 실시 ㉡ 경연 등 언론활동 약화 ㉢ 향약의 보급 ㉣ 소격서(도교기관) 폐지 ㉤ 공납제도 폐단시정 노력 {~2개 ~3개 =4개 ~5개} 다음 보기의 (가), (나)에 들어갈 말로 가장 옳게 연결한 것은? 조선 전기에 실시되던 (가)체제는 많은 외적의 침입에 효과가 없었다. 이에 16세기 후반에 이르러 (나)체제가 수립되었으나 임진왜란 중에 큰 효과를 거두지 못하자 (가)체제를 복구하였다. ㉠ 유사시에 필요한 방어처에 각 지역의 병력을 동원하여 중앙에서 파견되는 장수가 지휘하는 방어체제 ㉡ 좌군, 우군, 초군으로 구성되어 진에 주둔하여 국경 수비를 전담하는 체제 ㉢ 위로는 양반부터 아래로는 노비에 이르기까지 편제되어, 평상시에는 생업에 종사하면서 향촌사회를 지키다가 적이 침입해 오면 전투에 동원되는 체제 ㉣ 지역단위의 방위체제로 각 도에 한 두 개의 병영을 두어 병사가 관할지역 군대를 장악하고, 병영 밑에 몇 개의 거진(巨鎭)을 설치하여 거진(巨鎭)의 수령이 그 지역 군대를 통제하는 체제 {~(가)-㉠, (나)-㉡ ~(가)-㉠, (나)-㉣ ~(가)-㉢, (나)-㉠ =(가)-㉣, (나)-㉠} 조선 후기 중국, 일본과의 관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임진왜란 이후 조선은 일본과의 외교관계를 단절하여 서로 왕래가 전혀 없었다. ~만주 지방에 관한 국경 분쟁으로 조선과 청은 정계비를 세워 국경을 확정하였다. ~조선은 19세기 말 울릉도에 군을 설치하여 관리를 파견하고 독도까지 관할하게 하였다. ~병자호란 이후 조선은 청에 대하여 표면상으로 사대관계를 맺었으나 청에 대한 적개심이 오랫동안 남아 있어서 북벌정책을 추진하기도 하였다.} 다음은 조선 후기 붕당정치와 관련하여 발생한 정치적 사건들이다. 이를 시대 순으로 가장 옳게 나열한 것은? ㉠ 기해예송 ㉡ 무고의 옥 ㉢ 경신환국 ㉣ 신임사화 ㉤ 갑술환국 {~㉢-㉠-㉡-㉤-㉣ ~㉠-㉢-㉤-㉣-㉡ =㉠-㉢-㉤-㉡-㉣ ~㉡-㉠-㉢-㉣-㉤} 다음 글을 쓴 사람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산과 강을 지세 기준으로 구역을 획정하여 경계를 삼고, 그 경계선 안에 포괄되어 있는 지역을 1여로 한다. 여(閭) 셋을 합쳐서 이(里)라 하고 이 다섯을 합쳐서 방(坊)이라 하고 방 다섯을 합쳐서 읍(邑)이라 한다. 1여에는 여장(閭長)을 두며 무릇 1여의 토지는 1여의 인민이 공동으로 경작하도록 하고, 내 땅 네 땅의 구별을 없이 하며 오직 여장의 명령에만 따른다. {=18년간 유배생활을 하면서 󰡔경세유표󰡕를 썼다. ~농촌사회의 현실을 스스로 체험하면서 󰡔반계수록󰡕을 썼다. ~노동하지 않는 양반유학자를 비판하면서 󰡔열하일기󰡕를 썼다. ~토지소유의 상한선을 정하여 겸병 방지를 주장하고 󰡔곽우록󰡕을 썼다. } 동학농민운동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전주성을 점령한 농민군은 토지개혁 등 자신들의 요구를 담은 폐정개혁안을 제출하여 관군과 전주화약을 맺었다. =농민군은 삼남(三南)지역에 자치적 개혁기구인 집강소를 설치하여 해당 지역의 치안을 유지하고 잘못된 행정을 개혁해 나갔다. ~양반, 부호들로 조직된 민보군은 관군과 일본군 등으로 구성된 진압군과 연계하여 동학 농민군을 공격하기도 하였다. ~동학 농민군의 잔여 세력 가운데 일부는 이후 활빈당 등과 같은 반(反)봉건적, 반(反)침략적 민족운동을 지속하기도 하였다. } 다음의 노래가 유행하던 당시의 역사적 사실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에-에헤이야 얼널널 거리고 방에 흥애로다 을축년 4월 초3일에 경복궁 새 대궐 짓는데 헛방아 찧는 소리다 조선의 여덟 도 좋다는 나무는 경복궁 짓노라 다 들어간다 도편수란 놈의 거동 보소 먹통 메고 갈팡질팡한다 남문 밖에 떡장수들아 한 개를 베어도 큼직큼직 베어라 남문 밖에 막걸리 장수야 한 잔을 걸러도 큰 애기 솜씨로 걸러라 에- 나 떠난다고 네가 통곡말고 나 다녀올 동안 네가 수절을 하여라 에- 인생을 살면 몇 백년 사나 생전 시절에 맘대로 노세 남문 열고 바라 둥당 치니 계명 산천에 달이 살짝 밝았네 경복궁 역사가 언제나 끝나 그리던 가족을 만나 볼까 {~신미양요 ~서원정리 ~삼정개혁 =비변사의 기능 강화} 다음의 밑줄 친 조약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조약의 서문 (제1관) 조선국은 자주의 나라이며, 일본과는 평등한 권리를 갖는다. (제2관) 15개월 후에 양국은 서로 사신을 파견한다. (제3관) 이 조약 이후 양국 공문서는 일본어를 쓰되 향후 10년간은 조선어와 한문을 사용한다.(이하 중략) ㉠ 이 조약은 조선이 일본과 불평등하게 맺은 강화도조약(조․일 수호조규)이다. ㉡ 부산․인천․울산 3항구를 개항하여 무역을 허용하였다. ㉢ 영사재판권을 허용하였다. ㉣ 조선 해안의 자유로운 측량권을 부여하였다. ㉤ 일본공사관의 호위를 명목으로 일본군의 서울 주둔을 허용하였다. {~2개 =3개 ~4개 ~5개} 다음 글을 쓴 사람에 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에서 발전하여 공간까지 확대하는 심적 활동 상태의 기록이다. {~간도에 서전서숙이라는 사립학교를 건립하였다. ~발해를 한국사에 포함시켜 남북국시대론을 주장하였다. =고대사 연구에 매진하여 󰡔조선상고사󰡕를 저술하였다. ~󰡔한국통사(韓國痛史)󰡕를 저술하여 일본의 침략과정을 논하였다.} 신민회에 관한 다음 설명 중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만세보󰡕라는 기관지를 발간하였다. ㉡ 데라우치 총독 암살미수사건에 연루되었다. ㉢ 안창호, 양기탁, 신채호, 이동녕 등 인사들이 비밀결사로 조직하였다. ㉣ 고종의 퇴위반대운동을 전국적으로 전개하였다. ㉤ 평양에 대성학교, 정주에 오산학교를 건립하였다. ㉥ 해외에 삼원보와 같은 독립운동 기지를 건설하였다. {~1개 ~2개 ~3개 =4개 } 일본이 상대국에게 필리핀에서의 독점권을 승인하고 한국에서의 독점적 지배권을 인정받은 조약으로 가장 옳은 것은? {~텐진 조약 ~영․일 동맹 =가쓰라․태프트 밀약 ~포츠머스 조약}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3·1운동 이후 일본 통치에 조직적으로 항거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외교를 위해 미국, 이탈리아, 독일에 각각 위원부를 두었다. ~교통국을 두고 연통제를 실시하였다.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간행하였다. ~우리 역사상 최초의 공화제 정부였다.} 울릉도와 독도에 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팔도총도󰡕는 울릉도와 독도를 별개의 섬으로 하여 그림으로 그려놓은 최초의 지도가 되었다. =󰡔세종실록지리지󰡕, 󰡔동국여지승람󰡕 등의 문헌에 의하면 울릉도와 함께 경상도 울진현에 소속되어 있었다. ~조선 숙종 때 안용복은 울릉도에 출몰하는 일본 어민을 쫓아내고 일본에 건너가 독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확인받았다. ~19세기 말 조선 정부에서는 적극적으로 울릉도 경영에 나서 주민의 이주를 장려하였다.} 다음에 제시한 유물과 관계가 깊은 시대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반달 돌칼, 홈자귀, 미송리식 토기, 붉은 간토기 {~이 시대에는 철기로 농기구를 제작하여 사용함으로써 농업생산력이 증대되고 경제기반이 확대되었다. ~이 시대의 대표적인 유적으로서 부산 동삼동 조개더미, 제주도 한경 고산리 유적 등을 들 수 있다. =이 시대에는 생산력의 증가에 따라 잉여 생산물이 생기자 힘이 센 자가 이것을 개인적으로 소유하는 사유재산이 나타났다. ~이 시대의 후기에 이르러 사람들은 석회암이나 동물의 뼈 또는 뿔 등을 이용하여 조각품을 만들었는데, 조각품에는 당시 사람들의 주술적인 기원이 담겨 있었다.} 다음 중 삼국시대의 정치발전과 관련하여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령왕–웅진(공주)으로 도읍을 옮긴 후, 백제의 중흥을 도모하였다. ~고국천왕–왕위 계승이 형제상속에서 부자상속으로 바뀌었다. ~고이왕–6좌평을 두어 업무를 분장시키고, 16품의 관등제와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지증왕–국호를 신라로 바꾸고, 왕의 칭호도 마립간에서 왕으로 고쳤다.} 삼국시대 불교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옳은 것은? {~불교의 전파는 사신도, 산수무늬벽돌 등에서 확인할 수 있다. =신라 진흥왕이 황룡사를 짓고 대규모의 9층탑을 만든 것은 불교의 호국신앙적 성격을 보여준다. ~삼국의 불교는 왕실에 의해 적극 수용되었으나 귀족들의 반대에 부딪쳐 공인되지는 못하였다. ~삼국의 불교는 모두 왕실에서 먼저 받아들여지고 점차 민간에게로 전파되었다.} 다음 자료와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사해점촌(沙害漸村)은 11호인데, 중하 4호, 하상 2호, 하하 5호이다. 인구는 147명인데, 남자는 정(丁)이 29명(노비 1명 포함), 조자 7명(노비 1명 포함), 추자 12명, 소자 10명, 3년간 태어난 소자가 5명, 제공 1명이다. 여자는 정녀 42명(노비 5명 포함), 조여자 11명, 추여자 9명, 소여자 8명, 3년간 태어난 소여자 8명(노비 1명 포함), 제모 2명, 노모 1명, 다른 마을에서 이사 온 추자 1명, 소자 1명 등이다. 논은 102결 정도인데, 관모답 4결, 촌민이 받은 것은 94결이며, 그 가운데 19결은 촌주가 받았다. 밭은 62결, 마전은 1결 정도이다. 뽕나무는 914그루가 있었고, 3년간 90그루를 새로 심었다. 잣나무는 86그루가 있었고, 3년간 34그루를 새로 심었다. -『민정문서』- {~이 문서에는 토지 면적, 호수, 인구수, 나무종류와 수까지 기록하고 있다. ~정부가 조세와 요역부과의 자료로 파악하였다. ~촌민들은 자기의 연수유답을 경작하여 수확을 거둬들이는 대가로 관모답, 내시령답 등을 공동경작 하였다. =민정문서는 3년마다 각 호의 정남에 의해 작성되었다.} 다음 자료의 밑줄 친 ‘새로운 군대’의 활약으로 나타난 역사적 사실 중 가장 옳은 것은? “신이 오랑캐에게 패한 것은 그들은 기병인데 우리는 보병이라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이었습니다.” 이에 왕에게 건의하여 새로운 군대를 편성하였다. 문·무 산관, 이서, 상인, 농민들 가운데 말을 가진 자를 신기군으로 삼았고, 과거에 합격하지 못한 20살 이상 남자들 중 말이 없는 자를 모두 신보군에 속하게 하였다. 또 승려를 뽑아서 항마군으로 삼았다. -『고려사절요』- {~압록강 동쪽의 강동 6주를 확보하는 성과를 거두었다. ~개경까지 침입했던 홍건적을 격퇴하였다. ~처인성(경기용인)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의 군대를 물리쳤다. =여진족을 북방으로 몰아내고 동북 지방에 9성을 쌓았다.} 고려시대의 토지제도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과전으로 곡물을 수취할 수 있는 전지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시지를 주었다. ~5품 이상의 관료에게는 공음전을 지급하였고 자손에게 세습 할 수 있었다. =지방의 각 관청에는 구분전을 지급하고, 사원에는 사원전을 지급하였다. ~관리에게 보수로 지급된 과전은 수조권만 가지는 토지였다.} 다음은 고려 태조가 실시한 제도이다. 이를 실시한 목적으로 가장 옳은 것은? 태조 18년 신라왕 김부(경순왕)가 항복해 오니 신라국을 없애고 경주라 하였다. 김부로 하여금 경주의 사심이 되어 부호장 이하의 임명을 맡게 하였다. 이에 여러 공신이 이를 본받아 각기 자기 출신 지역의 사심이 되었다. -『고려사』- 건국 초에 향리의 자제를 뽑아 서울에 볼모로 삼고, 또한 출신지의 일에 대하여 자문에 대비하게 하였다. -『고려사』- {=지방 호족을 견제하고 지방 통치를 보완하고자 하였다.~유교적 정치질서를 완성하고자 하였다. ~문신 관료들을 등용하기 위해 실시하였다. ~지방 호족을 옹호하면서 향촌자치를 위해 실시하였다.} 고려시대 과학기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고려 초에는 당의 선명력을 사용하였으나, 충선왕 때에는 원의 수시력을 받아들였다. =토지측량 기구인 인지의와 규형을 제작하여 토지측량과 지도제작에 활용하였다. ~최무선은 중국인 이원에게서 염초 만드는 기술을 배워 화약 제조법을 터득하였다. ~태의감에 의학 박사를 두어 의학을 가르치고, 의원을 뽑는 의과를 시행하였다.} 조선시대 통치체제에 대한 다음 내용 중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의금부는 왕명 혹은 세 의정(議政)의 결정으로 반역죄인을 심문할 수 있는 기관이었다. ㉡ 사헌부는 관원의 비행을 감찰하는 사법기관이고, 사간원은 정책을 비판하는 간쟁기관이었다. ㉢ 승문원은 국왕의 명령을 출납하는 비서기관이었다. ㉣ 전국의 주민을 국가가 직접 지배하기 위하여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였다. ㉤ 향촌의 자치를 위하여 각 군현에 유향소를 설치하였다. {~2개 =3개 ~4개 ~5개} 다음 서사시가 간행되어 보급되던 시기에 만들어진 것은 모두 몇 개인가? 불휘 기픈 남 매 아니 뮐 곶 됴코 여름하니 미 기픈 므른 래 아니 그츨 내히 이러 바래 가니 -『용비어천가』- ㉠ 칠정산내외편 ㉡『향약구급방』 ㉢『농사직설』 ㉣『상정고금예문』 ㉤ 자격루 ㉥『의방유취』 {~2개 ~3개 =4개 ~5개 } 다음 조선 영조의 치적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군역 부담을 줄여주기 위하여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 체계를 정리하였다.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하여 왕권을 뒷받침하는 군사적인 기반을 갖추었다. ~가혹한 형벌을 폐지하고 사형수에 대한 삼심제를 엄격하게 시행하였다.} 다음 지문과 관련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西爲鴨綠 東爲土門 故於分水嶺上····· 서쪽은 압록이 되고, 동쪽은 토문(土門)이 되므로, 분수령 위에 돌을 새겨 기록한다. {~청 건국 후 조선과 청은 양국의 모호한 경계를 확정하기 위해 1712년 백두산 정계비를 세웠다. ~우리의 외교권을 빼앗은 일제가 1909년 간도협약을 체결하여 남만주의 철도 부설권을 얻는 대가로 간도를 청의 영토로 인정하였다. ~19세기 이후 간도가 우리 민족의 생활 터전으로 바뀌면서 청과의 영유권 분쟁이 발생하였다. =조선의 관리들은 토문(土門)의 해석을 두만강이라고 주장하였다.} 다음은 17세기에 발생한 사건들이다.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 병자호란 ㉡ 인조반정 ㉢ 정묘호란 ㉣ 이괄의 난 ㉤ 나선정벌 {~㉡→㉢→㉠→㉣→㉤ =㉡→㉣→㉢→㉠→㉤ ~㉡→㉠→㉢→㉤→㉣ ~㉡→㉢→㉣→㉠→㉤} 조선 실학자들의 토지개혁론에 대한 다음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정약용은 『반계수록』에서 정전론을 주장하였다. ~이익의 한전론은 영업전 이외의 토지 매매 허용을 주장하였다. ~정약용의 여전론은 토지 공동 소유․경작, 수확물 공동 배분을 주장하였다. ~유형원의 균전론은 신분에 따른 토지 차등 분배를 주장하였다.} 다음과 같은 운동이 일어나게 된 배경으로 가장 옳은 것은? 국채 1,300만 원은 우리 대한의 존망에 관계가 있는 것이다. 갚아 버리면 나라가 존재하고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는 것은 대세가 반드시 그렇게 이르는 것이다. 현재 국고에서는 이 국채를 갚아 버리기 어려운즉 장차 삼천리 강토는 우리나라와 백성의 것이 아닌 것으로 될 위험이 있다. 토지를 한번 잃어버리면 다시 회복하기 어려운 것이다. - 대한 매일 신보, 1907년 2월 22일 - {=일제는 화폐 정리와 시설 개선 등의 명목을 내세워 우리 정부로 하여금 일본으로부터 거액의 차관을 들여오게 하였다. ~러시아가 일본의 선례에 따라 석탄고의 설치를 위해 절영도의 조차를 요구하였다. ~일제는 우리 정부가 소유하고 있던 막대한 면적의 황무지에 대한 개간권을 일본인에게 넘겨주도록 강요하였다. ~“조선국은 일본국의 항해자가 자유로이 해안을 측량하도록 허가한다”는 조약을 맺었다.} 다음 자료는 어떤 단체의 활동이다. 밑줄 친 ㉠에 들어 갈 단체로 옳은 것은? ㉠ 은(는) 경주에서 대구로 향하던 일제의 수송 차량을 습격하여 거액의 현금을 빼앗은 뒤 이 자금으로 무기를 구입하였고, 각 지방 부호들의 재산 상태를 조사한 후 그 재산에 비례하여 독립 운동 자금을 납부하도록 배당하였다. 이 과정에서 ㉠ 은(는) 독립 운동에 비협조적이거나 자금 제공을 거부하는 자, 또는 일제에 밀고하는 친일파를 처단하여 광복의 의지를 온 세상에 밝혔다. 그 대표적인 사건이 전 관찰사 장승원과 도고 면장 박용하 사살 사건이었다. {~조선 국권 회복단 ~의열단 ~국민군단 =대한광복회} 다음은 항일 의병에 대한 설명이다. 밑줄 친 ㉠, ㉡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 항일 의병 투쟁은 을사조약과 일본의 침략에 항거하는 을사의병으로 다시 불타올랐다. 이어서 ㉠ 와 ㉡ 을 계기로 정미의병이 거세게 일어나 항일 의병 전쟁이 전국적으로 전개되었다. 그러나 일본군의 무자비한 진압 작전과 남한 대토벌 작전 등으로 의병 투쟁의 기세가 꺾였으며, 많은 의병들이 만주와 연해주로 이동하여 훗날 독립군으로 전환하였다. {~㉠고종 황제의 강제퇴위 ㉡단발령 ~㉠명성 황후의 시해 ㉡단발령 ~㉠명성 황후의 시해 ㉡군대 해산 =㉠고종 황제의 강제퇴위 ㉡군대 해산} 다음 취지문을 발표하고 활동한 단체로 옳은 것은? 우리는 운동상(運動上) 실천으로부터 배운 것이 있으니 우리가 실지로 우리 자체를 위하여 우리 사회를 위하여 분투하려면 우리 조선 자매 전체의 역량을 공고히 단결하여 운동을 전반적으로 전개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일어나라! 오너라! 단결하자! 분투하자! 조선의 자매들아!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한국 근대 민족 해방 운동사』- {=근우회 ~진단 학회 ~일진회 ~조선 광문회} 다음은 대한민국 정부의 수립 과정에 있었던 일들이다. 시대순으로 옳게 나열한 것은?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결성 ㉡ 제 1차 미․소 공동 위원회 ㉢ 제주도 4․3 사건 ㉣ 카이로 회담 ㉤ 얄타 회담 {=㉣→㉤→㉠→㉡→㉢ ~㉣→㉤→㉡→㉢→㉠ ~㉣→㉠→㉤→㉡→㉢ ~㉣→㉠→㉤→㉢→㉡} 다음은 통일을 위한 노력과 관련된 자료이다. 이와 같은 내용을 명문화한 문서로 옳은 것은? 1.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2.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 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인 방법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3. 사상과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6․15 남북 공동 선언 =7․4 남북 공동 성명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민족 화합 민주 통일 방안 } 다음 합의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하지 않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 사상과 이념ㆍ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합의문 발표 이후 남북조절위원회가 설치되었다. ~합의 내용은 6ㆍ15 남북공동선언으로 정리되었다. ~합의문 중에는 한반도 비핵화 문제가 포함되었다. ~합의 결과로 경의선 및 동해선 철도가 연결되었다.} 다음 조약과 관련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양국 관리는 양국 인민의 자유로운 무역활동에 일체 간섭하지 않는다. -○○수호조규- ○ 개항장 부산에서 일본인 간행이정(間行里程)은 10리로 한정한다. -○○조규 부록- ○ 조선국 여러 항구에 거주하는 일본인은 쌀과 잡곡을 수출입할 수 있다. -○○무역 규칙- {=쌀 유출이 허용되면서 쌀값이 폭등하고 쌀의 상품화가 촉진되었다. ~개항지 지정이 약정되면서 군산항, 목포항, 양화진이 차례로 개항되었다. ~은행권의 발행이 용인되면서 제일은행권이 조선의 본위화폐가 되었다. ~최혜국 대우와 무관세 조항이 함께 명문화되면서 불평등 무역이 조장되었다.} (가)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에 있는데 개마대산은 큰 바닷가에 맞닿아 있다. …(중략)… 그 나라 풍속에 여자 나이 10살이 되기 전에 혼인을 약속한다. 신랑 집에서는 여자를 맞이하여 다 클 때까지 길러 아내를 삼는다. (나) 남쪽으로는 진한과 북쪽으로는 고구려ㆍ옥저와 맞닿아 있고 동쪽으로는 큰 바다에 닿았다. …(중략)… 해마다 10월이면 하늘에 제사를 지내는데 밤낮으로 술 마시며 노래 부르고 춤추니, 이를 무천이라고 한다. {~(가)-서옥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가)-중대한 범죄자가 있으면 제가 회의를 통하여 사형에 처하였다. ~(나)-족장들은 저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사출도를 다스렸다. =(나)-다른 부족의 영역을 침범하면 책화라고 하여 노비, 소, 말로 변상하였다.} 밑줄 친 ‘왕’이 재위한 시기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왕은 원나라의 수시력을 참고하여 역법을 만들게 하였다. 그 책의 말미에 동지ㆍ하지 후의 일출ㆍ일몰 시각과 밤낮의 길이를 나타낸 표가 실려 있는데, 우리나라 역사상 최초로 한양을 기준으로 하여 계산한 것이다. {~집현전을 설치하여 제도, 문물, 역사에 대한 연구와 편찬 사업을 전개하였다. ~공법 제정시 조정의 신하와 지방의 촌민에 이르기까지 18만 명의 의견을 물었다. ~불교 종파를 선교 양종으로 병합하고 사원이 가지고 있던 토지와 노비를 정비하였다. =육전상정소를 설치하고 조선 왕조의 체계적인 법전인 경국대전을 편찬하기 시작하였다.}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 (가) 동성왕은 신라에 사신을 보내 혼인을 청하였는데, 신라의 왕이 이벌찬(伊伐湌) 비지(比智)의 딸을 시집 보냈다. (나) 왕은 신라를 습격하기 위하여 친히 보병과 기병 50명을 거느리고 밤에 구천(狗川)에 이르렀는데, 신라의 복병이 나타나 그들과 싸우다가 살해되었다. {~도읍을 금강 유역의 웅진으로 옮겼다. ~장수왕의 공격을 받아 한성이 함락되었다. =국호를 남부여로 고치고 중흥을 꾀하였다. ~동진으로부터 불교를 수용하여 공인하였다.} ( ㉠ )의 정치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도병마사는 성종 때 처음 설치되어 국방 문제를 담당하였다. …(중략)… 원 간섭기에 ( ㉠ )(으)로 개칭되면서 국정 전반에 걸친 중요사항을 관장하는 최고기구로 발전하였다. {=도당으로 불렸으며 조선 건국 초에 폐지되었다. ~법제의 세칙을 만드는 고려의 독자적인 기구이다. ~정책을 집행하는 기능을 담당했으며, 그 밑에 6부를 두었다. ~관리의 임명이나 법령의 개폐를 동의하는 서경권을 행사하였다.} 밑줄 친 ‘이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시기에는 도구가 발달하고 농경이 시작되면서 주거 생활도 개선되어 갔다. 집터는 대개 움집 자리로, 바닥은 원형이거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이었다. 움집의 중앙에는 불씨를 보관하거나 취사와 난방을 하기 위한 화덕이 위치하였다. 집터의 규모는 4~5명 정도의 한 가족이 살기에 알맞은 크기였다. {~소를 이용한 밭갈이 농사를 하였다. ~고인돌과 돌널무덤이 많이 만들어졌다. =빗살무늬토기와 가락바퀴가 제작되었다. ~한국식 동검이라 일컫는 세형동검을 사용하였다.} 다음 논쟁이 있었던 무렵의 저술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재상 박유가 아뢰기를 “청컨대 여러 신하, 관료로 하여금 여러 처를 두게 하되, 품위에 따라 그 수를 점차 줄이도록 하여 보통사람에 이르러서는 1처 1첩을 둘 수 있도록 하며, 여러 처에서 낳은 아들도 역시 본처가 낳은 아들처럼 벼슬을 할 수 있게 하기를 원합니다.”라고 하였다. 연등회 날 저녁 박유가 왕의 행차를 호위하여 따라갔는데, 어떤 노파가 그를 손가락질하면서 “첩을 두고자 요청한 자가 저 늙은이다.”라고 하였다. 듣는 사람들이 서로 전하여 서로 가리키니 무서워하는 자들이 있었기 때문에 그 건의를 정지하고, 결국 시행하지 못하였다. {~김부식이 진삼국사기표를 지었다. =일연선사가 삼국유사를 찬술하였다. ~정도전이 조선경국전을 저술하였다. ~정인지가 훈민정음해례 서문을 지었다.} 밑줄 친 ‘왕’이 재위한 시기의 사실로 옳은 것은? 왕이 신하들을 불러 “흑수말갈이 처음에는 우리에게 길을 빌려서 당나라와 통하였다. …(중략)… 그런데 지금 당나라에 관직을 요청하면서 우리나라에 알리지 않았으니, 이는 분명히 당나라와 공모하여 우리나라를 앞뒤에서 치려는 것이다.”라고 하였다. 이리하여 동생 대문예와 외숙 임아상으로 하여금 군사를 동원하여 흑수말갈을 치려고 하였다. {~5경 15부 62주의 행정 제도가 완비되었다. ~길림성 돈화 부근 동모산 기슭에서 나라를 세웠다. =북만주 일대를 차지하고 산동의 등주를 공격하였다.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 동경으로 옮겨 중흥을 꾀하였다.} 조선 후기의 동전 유통 실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숙종 대, 동전이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18세기 전반, 동전 공급 부족으로 전황이 발생하였다. ~18세기 후반, 동전으로 세금이나 소작료를 납부하는 비중이 증가하였다. =19세기 전반, 군사비 지출을 보완하기 위하여 당백전을 주조하였다.} 밑줄 친 ‘개혁’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독립협회가 해산된 후 대한제국은 황제 중심의 근대국가를 수립하기 위하여 노력하였다. …(중략)… 대한제국의 개혁 이념은 옛 법을 근본으로 하고 새로운 제도를 참작한다는 것이었다. 갑오개혁이 지나치게 급진적으로 진행되었다고 생각하여 점진적인 개혁을 추구한 것이었다. {~지조법을 개혁하고 혜상공국을 폐지하려 하였다. =황제의 군사권을 강화하고자 원수부를 설치하였다. ~태양력을 사용하고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관민공동회를 종로에서 개최하고 헌의 6조를 채택하였다.} 밑줄 친 ‘우리 부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번 연합군과의 작전에 모든 운명을 거는 듯하였다. 주석(主席)과 우리 부대의 총사령관이 계속 의논하는 것을 옆에서 들었기 때문에 더욱 일의 중대성을 절감하였다. 드디어 시기가 온 것이다! 독립 투쟁 수십 년에 조국을 탈환하는 결정적 시기가 온 것이다. 이때의 긴장감은 내가 일본 군대를 탈출할 때와는 다른 긴장감이었다. 목적은 같으나 그때는 막연한 미지의 세계에 뛰어드는 것이었지만 이번에는 분명히 조국으로 가는 것이 아닌가? -장정- {~중국 공산군과 함께 화북에서 항일전을 벌였다. ~만주에서 중국 의용군과 연합 작전을 수행하였다. ~중국 관내에서 조직된 최초 한국인 군사 조직이었다. =인도, 미얀마 전선에서 영국군과 공동 작전을 펼쳤다.} 다음 자서전의 내용이 전개되던 시기에 일제가 시행한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월 20일, 학생들과 체조를 하고 있었는데 면사무소 직원이 징병영장을 가져왔다. 흰 종이에는 ‘징병영장’ 그리고 ‘8월 1일까지 함경북도에 주둔한 일본군 나남 222부대에 입대하라’고 적혀 있었다. 7월 30일, 앞면에는 ‘무운장구(武運長久)’ 뒷면에는 ‘축 입영’이라고 적힌 붉은 천의 어깨 띠를 두르고 신사를 참배한 후 순사와 함께 나룻배를 타고 고향을 떠났다. 용산역에서 기차를 탈 때까지 순사는 매섭게 나를 감시하였다. {~일진회를 앞세워 한일 합방을 청원하게 하였다. =공출제도를 강화하여 놋그릇, 농기구까지 수탈하였다. ~우가키 총독이 농촌개발을 명분으로 농촌진흥운동을 주장하였다. ~헌병경찰이 칼을 차고 민간의 치안 및 행정업무를 처리하도록 하였다.} (가)와 (나)의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주자의 이론에 조선의 현실을 반영하여 나름대로의 체계를 세우고자 하였다. 그의 사상은 도덕적 행위의 근거로서 인간 심성을 중시하고, 근본적이며 이상주의적인 성격이 강하였다. 대표적인 저서로 성학십도가 있다. (나) 현실적이며 개혁적인 성격을 가지고 있었다. 그는 성학집요 등을 저술하여 16세기 조선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통치 체제의 정비와 수취제도의 개혁 등 다양한 개혁방안을 제시하였다. {=(가)의 사상은 일본 성리학 발전에 영향을 끼쳤다. ~(가)는 도학의 입문서인 격몽요결을 저술하였다. ~(나)는 왕에게 주청하여 소수서원이라는 편액을 하사받았다. ~(나)는 향촌사회의 도덕적 질서를 안정시키기 위해 예안향약을 만들었다.} 한 국 사 A 책형 3 쪽 ㉠과 ㉡의 인물이 수행한 활동으로 옳은 것은? ○ 문무왕이 도성을 새롭게 짓고자 하니, ㉠ 이(가) 말하기를 “비록 궁벽한 시골[草野] 띳집[茅屋]에 있다고 해도 바른 도를 행하면 복된 일이 오래 갈 것이고, 만일 그렇지 못하면 사람을 수고롭게 하여 성을 쌓을 지라도 아무 이익이 없을 것입니다.” 하니, 왕이 곧 그 성을 쌓는 것을 그만두었다. ○ 임인년 정월에 개경 보제사에서 열린 담선법회가 파한 연후에 ㉡ 은(는) 동문 10여 인과 함께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산림에 은둔하여 같은 모임을 맺자. 항상 선정을 익히고 지혜를 고르는 데 힘쓰고, 예불하고 경전을 읽으며 힘들여 일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각자 맡은 바 임무에 따라 경영한다.”라고 결의하였다. {~㉠-황룡사 9층 목탑의 건립을 왕에게 건의하였다. ~㉠-세속 5계를 만들어 젊은이에게 규범을 제시하였다. =㉡-순천 송광사에서 수선결사운동을 전개하였다. ~㉡-국청사를 중심으로 고려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다음 토지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경기는 사방의 근본이니 마땅히 과전을 설치하여 사대부를 우대한다. 무릇 경성에 거주하여 왕실을 시위(侍衛)하는 자는 직위의 고하에 따라 과전을 받는다. 토지를 받은 자가 죽은 후, 그의 아내가 자식이 있고 수신하는 자는 남편의 과전을 모두 물려받고, 자식이 없이 수신하는 자의 경우는 반을 물려받는다. 부모가 모두 사망하고 그 자손이 유약한 자는 휼양전으로 아버지의 과전을 전부 물려받고, 20세가 되면 본인의 과에 따라 받는다. -고려사- {=과전을 지급함으로써 조선개국 세력의 경제적 기반이 되었다. ~관리가 되었으면서도 관직을 받지 못한 사람들에게 한인전을 지급하였다. ~관직이나 직역을 담당하는 사람들에게 농지와 땔감을 채취하는 시지를 주었다. ~공로가 많은 사람들에게 인품을 기준으로 역분전을 차등 지급하였다.} 다음 주장을 펼친 인물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비유하건대, 재물은 대체로 샘과 같다. 퍼내면 차고 버려 두면 말라 버린다. 그러므로 비단 옷을 입지 않아서 나라에 비단 짜는 사람이 없게 되면 여공(女紅)이 쇠퇴하게 되고, 쭈그러진 그릇을 싫어하지 않고 기교를 숭상하지 않아서 수공업자가 기술을 익히는 일이 없게 되면 기예가 망하게 되며, 농사가 황폐해져서 그 법을 잃게 되므로 사농공상의 사민이 모두 곤궁하여 서로 구제할 수 없게 된다. {~존언, 만물일체설로 지행합일 이론을 체계화하였다. ~화이론적 명분론을 강화하고 성리학을 절대화하였다.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같다는 인물성동론의 입장을 보였다. ~농촌 사회의 모순을 중점적으로 해결하려는 경세치용론이었다.} 다음 향촌 사회 변화에 대응한 양반층의 움직임으로 옳은 것은? 지금까지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였던 양반은 새로 성장한 부농층의 도전을 받았다. 경제력을 갖춘 부농층은 수령을 중심으로 한 관권과 결탁하여 향안에 이름을 올리는가 하면, 향회를 장악하여 향촌 사회에서 영향력을 키우려고 하였다. 부농층은 종래의 재지 사족이 담당하던 정부의 부세제도 운영에 적극 참여하였으며 향임직에 진출하거나 기존 향촌 세력과 타협하면서 상당한 지위를 얻었다. {~향도를 조직하여 공동으로 신앙활동을 하였다. ~양반층의 결속을 위한 납속책 확대 시행을 지지하였다. =문중의식을 고양하고 문중서원이나 사우 건립을 확대하였다. ~향회를 통한 수령권의 견제와 이서층의 통제를 강화하였다.} 밑줄 친 ‘이 제도’의 시행 결과로 옳은 것은? 이 제도가 처음 경기도에서 실시되자 토호와 방납인들은 그동안 얻었던 이익을 모두 잃게 되었다. 그래서 온갖 수단을 다 동원하여 왕에게 폐지할 것을 건의했으나, 백성들이 이 제도가 편리하다고 하였기 때문에 계속 실시하기로 하였다. -열조통기- {~전국의 농민이 공납을 현물로 납부하게 되었다. ~전세가 풍흉에 관계없이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정해졌다. =공인이 활약하여 수공업이 활기를 띠고 상품 수요가 증가하였다. ~호(戶)를 기준으로 하였기 때문에 농민의 세금 부담이 줄어 들었다.} 일제강점 시기 (가)와 (나)의 주장을 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우리가 우리의 손에 산업의 권리 생활의 제일 조건을 장악하지 아니하면 우리는 도저히 우리의 생명ㆍ인격ㆍ사회의 발전을 기대하지 못할지니 …(중략)… 우리 조선 사람의 물산을 장려하기 위하여 조선 사람은 조선 사람이 지은 것을 사서 쓰자. (나) 유감스러운 것은 우리에게 아직도 대학이 없는 일이라. 물론 관립대학도 조만간 개교될 터지만 …(중략)… 우리 학문의 장래는 결코 일개 대학으로 만족할 수 없다. 그처럼 중대한 사업을 우리 민중이 직접 영위하는 것은 오히려 우리의 의무이다. {~(가)-사회주의 성향의 운동 세력이 주도하였다. =(가)-조선과 일본 간의 관세철폐 정책에 대항하였다. ~(나)-민족 연합 전선 단체인 신간회의 후원을 받았다. ~(나)-조선학생과학연구회와 연계한 6 10만세운동을 전개하고 격문을 작성하였다.} (가)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귀신을 믿어서 나라의 읍들이 각기 한 사람씩을 세워 천신에게 제사하는 것을 주관케 하였으니 그 이름을 천군이라 하였다. 나라마다 각각 소도라고 부르는 별읍이 있는데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귀신을 섬겼다. (나) 남녀가 음란한 짓을 하거나 질투하는 부인은 모두 죽였다. 투기는 더욱 미워하여 죽이고 나서 시체를 나라의 남산 위에 버려서 썩게 했다. 친정 집에서 그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하였다. {~(가)-철제 농기구의 사용으로 농경이 발달하였고 벼농사를 지었다. =(가)-10월에는 추수감사제인 제천행사를 치르고 왕과 신하가 국동대혈에 모여 함께 제사를 지냈다. ~(나)-왕이 죽으면 많은 사람을 껴묻거리와 함께 묻는 순장의 풍습이 있었다. ~(나)-형이 죽으면 동생이 형수를 취하는 취수혼이 널리 행해지고 있었다.} 백제시대의 문화재로 바르게 묶은 것은? {~사택지적비, 임신서기석 ~미륵사지 석탑, 단양 적성비 =정림사지 5층 석탑, 서산 마애삼존불 ~연가 7년명 금동 여래 입상, 법주사 쌍사자 석등} 다음 사건이 있었던 국왕 때의 일로 옳은 것은? ○ 왕에 관련된 칭호를 격하하였다. ○ 정동행성을 설치하여 일본 원정을 단행하였다. {~인사를 관장했던 정방을 폐지하고 사림원을 설치하여 개혁정치를 수행하였다. ~기철 등의 부원세력을 제거하고 쌍성총관부를 공격하여 무력으로 복속하였다. ~정치도감을 두어 부원세력을 척결하고 권세가들이 빼앗은 토지와 노비의 문제를 해결하였다. =도병마사를 도평의사사로 개편하여 국가 중대사를 회의하고 결정하는 합좌 기관으로 만들었다.} 고려 후기 불교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각국사 의천은 현화사를 중심으로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공민왕 때 개혁정치를 추진한 신돈은 9산 선문의 통합을 주장하였다. ~교종 세력은 친원 세력과 손을 잡고 수선사를 개조하여 세력 신장에 힘썼다. =태고 보우는 원으로부터 임제종을 들여와 전파시킴으로써 불교계의 새로운 주류로 떠올랐다.} 다음과 같은 강령을 채택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우리는 정치적, 경제적 각성을 촉진한다. ○ 우리는 단결을 공고히 한다. ○ 우리는 기회주의를 일체 부인한다. {=6․10 만세 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 유일당 운동의 일환으로 조직되었다. ~여성 단체인 근우회의 결성에 자극을 주었다. ~광주학생 항일운동 진상 보고를 위한 민중대회를 계획하였다.} 통일신라시대 농민의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향이나 부곡에서 생활하는 농민들도 있었다. ~연수유전답이나 관모전답을 경작하기도 하였다. ~지방의 농민들은 보통 촌(村)이라고 하는 말단 행정 구역에 편입되어있었다. =쌀, 보리 등의 곡류작물 외에도 모시, 목화 등의 의류작물을 재배하였다.} 고려의 전시과와 조선의 과전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전국의 민전은 과전법의 대상지로 설정되어 운영되었다. ~전시과의 군인전은 군역이 세습됨에 따라 자손에게 세습되었다. ~관료가 사망한 후에 토지를 국가에 반납하는 것이 전시과의 원칙이었다. ~과전법의 토지 분급은 토지에 대한 소유권이 아니라 수조권을 나누어 준 것이었다.} 19세기 농민들의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왕조 부정 논리를 담고 있는 정감록과 미륵신앙이 농민들 사이에 퍼졌다. ~평안도 지방에서 일어난 ‘홍경래난’에서는 신흥 상공업 세력과 광산 노동자가 대거 가담하였다. ~농민들의 불만이 조직적으로 확산되어 정부와 탐관오리를 비방하는 괘서(掛書) 사건으로 표출되었다. =지주․토호의 압박과 삼정의 수탈에 대처하기 위한 공동 조직의 일환으로 농민층에서는 향약이 성행하였다.} 울릉도와 독도에 관련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서술로 옳지 않은 것은? {=대한제국 정부는 이범윤을 울릉도 시찰위원에 임명하여 현지에 파견하였다. ~러․일 전쟁 중에 일본은 대한제국 정부에 알리지 않고 독도를 시마네 현에 편입시켰다. ~대한제국 정부는 칙령을 반포하여 울릉도를 군으로 승격시키고 독도[石島]를 관할 구역 안에 포함시켰다. ~숙종 때 안용복은 일본에서 울릉도가 조선의 영토임을 주장하며 일본 어민의 고기잡이에 항의하였다.} 한 국 사 B 책형 2 쪽 다음의 역사적 사실들을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일본 군함 운요호가 강화도 초지진을 공격하였고, 일본군은 관아와 민가를 노략질하였다. ㄴ. 미국의 군함이 초지진을 함락하고 광성보를 공격하자 어재연이 이끄는 부대는 격렬하게 항전하였다. ㄷ. 제너럴 셔먼호가 대동강에 나타나 통상을 요구하며 난동을 부리자 평양 군민들이 이를 공격하여 침몰시켰다. ㄹ. 조선에 통상을 요구하였다가 거절당한 독일 상인 오페르트는 흥선 대원군의 부친 남연군의 묘를 도굴하려고 하였다. {~ㄱ→ㄷ→ㄹ→ㄴ ~ㄴ→ㄷ→ㄹ→ㄱ =ㄷ→ㄹ→ㄴ→ㄱ ~ㄹ→ㄴ→ㄱ→ㄷ} 후왕(侯王), 왜왕(倭王) 등의 명문(銘文)을 통해서 백제와 왜의 관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자료는? {=칠지도 ~양직공도 ~사택지적비 ~무령왕릉 지석} 신라의 골품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아찬과 일길찬은 경(卿)의 벼슬에 오를 수 있었다. ~육두품은 득난(得難)이라고도 하였는데, 진골 다음 가는 신분이었다. =복색의 기준은 신분에 따라 자색-단색-비색-녹색의 순서로 정하였다.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 수레 등 신라인의 일상생활까지 규제하는 기준이 되었다.} 조선 초기 정치제도 운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승정원의 주서(注書)는 왕과 신하 간에 오고 간 문서와 국왕의 일과를 매일 기록하였다. ~서울에 경재소를 두어 지방 유력자를 근무하게 하여 유향소를 중앙에서 통제할 수 있게 하였다. =정책 회의에는 국왕이 매일 의정부와 삼사의 고급 관원들을 만나 정책 건의를 듣는 차대(次對)가 있었다. ~군현의 수령 아래에 면장, 이정, 통주 등을 두어 수령을 보좌하고 인구 파악과 부역 징발을 담당하게 하였다.} 조선왕조실록에 대한 서술로 옳지 않은 것은? {~고려시대의 왕대별 실록을 편찬하는 전통이 조선시대에도 계속되었다. =사초와 각 관청의 문서들을 종합하여 실록청에서 시정기(時政記)를 만들었다. ~실록 편찬의 공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왕이 죽은 후에 실록을 편찬하는 것이 관례였다. ~국왕과 신하가 정사를 논의한 발언과 행동을 사관(史官)이 기록하였는데 이를 사초(史草)라고 불렀다.} ㉠~㉣에 들어갈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 )은(는) 우리가 신하로서 섬기는 나라로, 신의를 지켜 속방이 되어 온 지 2백년이 되었습니다. 이제 무엇을 더 친할 것이 있겠습니까? …(중략)… ( ㉡ )은(는) 우리에게 매여 있던 나라입니다. 3포 왜란이나 임진왜란 때의 숙원이 아직 풀리지 않고 있는데, 만일 그들이 우리가 허술한 것을 알고 공격하면 장차 이를 어떻게 막겠습니까? …(중략)… ( ㉢ )은(는) 우리가 본래 모르던 나라입니다. 돌연히 타인의 권유로 불러 들였다가 그들이 우리의 허점을 보고 어려운 청을 강요하면 장차 이에 어떻게 대응할 것입니까? …(중략)… ( ㉣ )은(는) 본래 우리와는 싫어하고 미워할 처지에 있지 않은 나라입니다. 공연히 타인의 말만 믿고 틈이 생기면 우리의 체통이 손상되게 됩니다. 또, 이를 빌미로 저들이 군사로 침략해 온다면 장차 이를 어떻게 막을 것입니까? -이만손 외 만인소, 일성록, 1881- <보 기> ㄱ. 보빙사는 ㉠에서 근대 산업과 문물을 시찰하였다. ㄴ. 조사 시찰단은 ㉡에서 근대 산업 시설과 공장을 둘러 보았다. ㄷ. 영선사 김윤식이 이끄는 유학생 일행은 ㉢에서 무기 제조법과 근대적 군사 훈련법을 배웠다. ㄹ. 영국은 ㉣의 남하를 견제한다는 구실로 불법으로 거문도를 점령하였다. {~ㄱ, ㄴ~ㄱ, ㄷ =ㄴ, ㄹ~ㄷ, ㄹ} <보기>의 ㉠~㉣ 중 다음의 장정(章程)이 체결된 시기로 적절한 것은? 이 장정은 청이 속방을 우대하는 뜻에서 상정한 것이고, 각 조약국들에게 부여하는 모든 균점(均霑)의 예와는 다르다. <보 기> 개항 → 임오군란 → 갑신정변 → 청일전쟁 → 을미사변 ㉠ ㉡ ㉢ ㉣ {~㉠=㉡ ~㉢~㉣} 독립협회가 관민공동회에서 결의한 헌의 6조의 내용으로 옳은 것은? {~토지는 평균으로 나누어 경작하도록 한다. ~내시부를 없애고 그 중에 우수한 인재를 등용하도록 한다. ~나라 안의 총명한 자제를 파견하여 외국의 학술과 기예를 보고 익히도록 한다. =국가 재정은 탁지부에서 모두 관리하고, 예산․결산을 인민에게 공포하도록 한다.} 한 국 사 B 책형 3 쪽 고려시대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권세가들은 대규모 개간에 참여하였고 사패를 받아 토지를 확대하기도 하였다. ㄴ. 농민은 민전을 경작하여 수확의 10분의 1을 세금으로 냈고, 역과 공부를 부담하였다. ㄷ. 토지만이 아니라 인정에 대한 지배가 허용된 식읍이 왕실이나 공신들에게 수여되었다. ㄹ. 왕실의 경비를 충당하기 위해 외역전과 내장전을, 관청의 경비를 위해 공해전을 두었다. {=ㄱ, ㄴ, ㄷ~ㄱ, ㄴ, ㄹ ~ㄱ, ㄷ, ㄹ~ㄴ, ㄷ, ㄹ} 다음은 발해사의 전개 과정이다.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일본과 국교를 맺었고, 해군을 보내어 당나라를 공격하였다. ㄴ. 왕의 계보가 대조영의 직계에서 그의 동생 대야발의 직계로 바뀌게 되었다. ㄷ. 당과 친선 관계를 맺으면서 당의 문물을 받아들여 체제를 정비하였고, 수도를 동경 용원부로 옮겼다. {~ㄱ→ㄴ→ㄷ =ㄱ→ㄷ→ㄴ ~ㄴ→ㄱ→ㄷ ~ㄷ→ㄱ→ㄴ} 다음은 시기별 남북한 관련 주요 정치 사안이다. ㉠에 들어갈 사항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1970년대: ㉠ 1980년대:남북한 이산가족 고향 방문 및 예술 공연단의 교환 방문 1990년대:남북한 유엔 동시 가입 2000년대: 6․15 남북 공동 선언 채택 <보 기> ㄱ. 남북 정상 회담 개최 ㄴ. 7․4 남북 공동 성명 발표 ㄷ. 남북 적십자 회담 개최 ㄹ. 한민족 공동체 통일 방안 제안 {~ㄱ, ㄴ~ㄱ, ㄹ =ㄴ, ㄷ~ㄷ, ㄹ} 다음 자료의 (가), (나) 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산천을 중요시하여 산과 내마다 구분이 있어 함부로 들어가지 않으며, 이를 어기면 우마로 배상하였다. (나) 가족이 죽으면 시체를 가매장하였다가 나중에 그 뼈를 추려서 가족 공동 무덤인 커다란 목곽에 안치하였다. {~(가)-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지냈다. =(나)-민며느리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가), (나)-왕권이 강화된 중앙 집권 국가로 발전하였다. ~(가), (나)-대가들이 제가 회의라는 부족장 회의를 운영하였다.} 조선 영조 때의 역사적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체계를 정비하였다. ~군역의 부담을 줄여주기 위해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산림(山林)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고, 그들의 본거지인 서원을 상당수 정리하였다.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탕평책을 추진하였다.} 밑줄 친 ‘여러 단체와 기관’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1907년 설립된 신민회 회원들은 1909년 말 이후 일본의 한국 병합이 목전에 있다고 보고, 국외로 나가 독립운동을 전개할 필요가 있다는 데 의견을 같이하였다. 이에 따라 신민회 회원들은 1910년 초 이후 국외로 나가기 시작하였다. 신민회의 이회영, 이시영, 이상룡 등은 1911년 압록강 건너 서간도로 옮겨가 삼원보에 자리 잡았다. 이들은 여러 단체와 기관을 설립하여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운동을 전개하였다. {~경학사=권업회 ~부민단~신흥무관학교}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만주에서 전개된 무장 항일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경신년에 왜군이 내습하여 31명이 살고 있는 촌락을 방화하고 총격을 가하였다. 나도 가옥 9칸과 교회당, 학교가 잿더미로 변한 것을 보고 그것이 사실임을 알았다. 11월 1일에는 왜군 17명, 왜경 2명, 한인 경찰 1명이 와서 남자들을 모조리 끌어내어 죽인 뒤 … (중략)… 남은 주민들을 모아 일장 연설을 하였다. (나) 상해의 한국 독립투사 조직에 속해 있는 한국의 한 젊은이는 비밀리에 도쿄로 건너갔다. 그는 마침 군대를 사열하기 위해 마차에 타고 있던 일본 천황에게 수류탄을 던졌다. 그는 영웅적인 행동 후에 무자비하게 살해되었다. 이 사건은 전일본에 충격을 주었다. 이 사건은 일본 군국주의자들에게 한국인들은 결코 그들에게 지배될 수 없다는 것을 당당히 보여 준 것이다. {=남만주에 조선 혁명군이 창설되었다. ~한국광복군이 국내 진공 작전을 준비하였다. ~독립군이 봉오동.청산리 전투에서 일본군을 크게 무찔렀다. ~동북 항일 연군을 중심으로 치열한 항일 유격전이 전개되었다.} 조선 전기 사림(士林)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재야에서 공론을 주도하는 지도자로서 산림(山林)이 존중되었다. ~향촌 자치를 내세우며, 도덕과 의리를 바탕으로 한 왕도정치를 강조하였다. ~3사의 언관직을 차지하고, 자신들의 의견을 공론으로 표방하였다. ~중소지주적인 배경을 가지고, 지방사족이 영남과 기호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였다.} 삼국의 항쟁을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백제가 신라의 대야성을 비롯한 40여 성을 빼앗았다. ㄴ. 백제가 고구려의 평양성을 공격하여 고국원왕이 전사하였다. ㄷ. 신라가 대가야를 정복하면서 가야 연맹이 완전히 해체되었다. ㄹ. 고구려가 평양으로 도읍을 옮기고 백제의 수도 한성을 함락하였다. {~ㄴ→ㄷ→ㄹ→ㄱ =ㄴ→ㄹ→ㄷ→ㄱ ~ㄹ→ㄱ→ㄴ→ㄷ ~ㄹ→ㄴ→ㄱ→ㄷ} 조선 후기 호락(湖洛)논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8세기 중엽 노론 내부에 주기설과 주리설의 분파가 생겨 일어났다. ~호론은 인성과 물성이 다르다고 보는 인물성이론을 내세웠다. ~낙론은 인성과 물성이 같다는 인물성동론을 주장하였다. =호론은 북학파의 과학 기술 존중과 이용후생 사상으로 이어졌다.} 다음과 같은 역사인식에 따라서 편찬된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대저 옛 성인은 예악으로 나라를 일으키고 인의로 가르쳤으며 괴력난신(怪力亂神)은 말하지 않았다. 그러나 제왕이 장차 일어날 때는 부명(符命)과 도록(圖.)을 받게 되므로 반드시 남보다 다른 일이 있었다. 그래야만 능히 큰 변화를 타고 대업을 이룰 수 있는 것이다. …(중략)… 그러니 삼국의 시조가 모두 신비하고 기이한 일을 연유하여 태어났다는 것을 어찌 괴이하다 할 수 있겠는가. 이것이 신이(神異)로써 이 책의 앞 머리를 삼은 까닭이다. {~정통 의식과 대의명분을 강조하였다.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고구려 계승 의식을 반영하고 고구려의 전통을 노래하였다. =우리의 고유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였으며 단군신화를 수록하였다.} 다음 정치관과 관련이 깊은 정책으로 옳은 것은? 임금의 직책은 한 사람의 재상을 논정하는 데 있다 하였으니, 바로 총재(.宰)를 두고 한 말이다. 총재는 위로는 임금을 받들고 밑으로는 백관을 통솔하여 만민을 다스리는 것이니 직책이 매우 크다. 또 임금의 자질에는 어리석음과 현명함이 있고 강함과 유약함의 차이가 있으니, 옳은 일은 아뢰고 옳지 않은 일은 막아서, 임금으로 하여금 대중(大中)의 경지에 들게 해야 한다. 그러므로 상(相)이라 하니, 곧 보상(輔相)한다는 뜻이다. {~육조 직계제의 시행 ~사간원의 독립 =의정부 서사제의 시행 ~집현전의 설치} 밑줄 친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왕 7년에 율령을 반포하고, 처음으로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 왕 19년에 금관국의 왕인 김구해가 왕비와 세 아들을 데리고 와 항복하였다. {=‘건원’이란 연호를 사용하였다. ~이사부를 시켜 우산국을 정복하였다. ~유학 교육을 위해 국학을 설립하였다. ~화랑도를 국가적인 조직으로 개편하였다.} 다음은 같은 해에 벌어졌던 사건들이다. 이러한 사건들로 말미암아 나타난 사실로 옳은 것은? ○ 박종철 사건 ○ 4ㆍ13 호헌 조치 ○ 6ㆍ10 국민 대회 개최 ○ 민주헌법쟁취 국민운동본부 결성 {~국가보위 비상대책위원회가 구성되었다. =5년 단임의 대통령 직선제 개헌이 이루어졌다. ~전국에 계엄령을 선포하고, 모든 정치활동을 정지시켰다. ~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없애고 간선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을 제정하였다.} ㉠∼㉣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유네스코가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한 우리나라의 문화유산은 ㉠종묘, 해인사 장경판전, 불국사와 석굴암, 수원 화성, 창덕궁,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의 고인돌 유적, 안동 하회마을과 경주 양동마을, 조선 시대 왕릉 등이다. 또 훈민정음, ㉢조선왕조실록, 승정원일기, ㉣직지심체요절, 해인사 고려대장경판 및 제경판, 조선왕조의궤, 동의보감, 일성록, 5.18 민주화 운동 기록물 등이 유네스코의 세계 기록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조선시대 왕과 왕비의 신주를 모셨다. ~㉡-청동기시대의 돌무덤이다. ~㉢-태조에서 철종 때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기록하였다. =㉣-병인양요 때 프랑스 군에게 약탈당하였다.} 다음과 같은 정책이 시행되었던 시대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해동통보를 비롯한 돈 15,000관을 주조하여 관리들에게 나누어 주었다. ○ 은 한 근으로 우리나라 지형을 본 딴 은병을 만들어 통용시켰는데, 민간에서는 이를 활구(闊口)라 불렀다. {~공인이 상업 활동을 주도하였다. ~시전 상인의 금난전권을 제한하였다. =대도시에 주점, 다점 등의 관영 상점을 두었다. ~시장을 감독하는 관청으로 동시전을 설치하였다.} 다음 민요에서 보이는 경제활동에 대한 조선 전기의 모습을 설명한 것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짚신에 감발차고 패랭이 쓰고 꽁무니에 짚신 차고 이고 지고 이 장 저 장 뛰어가서 장돌뱅이들 동무들 만나 반기며 이 소식 저 소식 묻고 듣고 목소리 높여 고래고래 지르며 …(중략)… 손잡고 인사하고 돌아서네 다음 날 저 장에서 다시 보세 {~15세기 후반 이후 장시는 점차 확대되었다. ~보부상은 장시에서 농산물, 수공업제품 등을 판매하였다. =정부가 조선통보를 유통시킴으로써 동전화폐 유통이 활발해졌다. ~농업생산력의 발달에 힘입어 지방에서 장시가 증가하였다.} 다음 기구에서 추진한 개혁 내용으로 옳은 것은? 총재 1명, 부총재 1명, 그리고 16명에서 20명 사이의 회의원으로 구성되었다. 이밖에 2명 정도의 서기관이 있어서 활동을 도왔고, 또 회의원 중 3명이 기초 위원으로 선정되어 의안의 작성을 책임졌다. 총재는 영의정 김홍집이 겸임하고, 부총재는 내아문독판으로 회의원인 박정양이 겸임하였다. {=은본위 화폐 제도를 실시하였다. ~의정부와 삼군부의 기능을 회복하였다. ~양전 사업을 실시하여 지계를 발급하였다.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과 행정권을 분리시켰다.} (가)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관리의 녹읍을 혁파하고 매년 조(租)를 내리되 차등이 있게 하였다. (나) 여러 관리의 월봉을 없애고, 다시 녹읍을 나누어 주었다. {~처음으로 병부를 설치하였다. ~화백회의에서 국왕을 폐위시킨 일이 있었다. ~호족이 지방의 행정권과 군사권을 장악하였다. =6두품이 학문적 식견을 바탕으로 국왕의 조언자로 활동하였다.} 다음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입하기를 원하는 자에게는 반드시 먼저 규약문을 보여주고, 몇 달 동안 실행할 수 있는가를 스스로 헤아려 본 뒤에 가입하기를 청하게 한다. 가입을 청하는 자는 반드시 단자에 참가하기를 원하는 뜻을 자세히 적어 모임이 있을 때에 진술하고, 사람을 시켜 약정(約正)에게 바치면 약정은 여러 사람에게 물어서 좋다고 한 다음에야 글로 답하고, 다음 모임에 참여하게 한다. -<율곡전서>중에서- {~향촌 사회의 질서를 유지하고 치안을 담당하는 향촌의 자치 기능을 맡았다. ~전통적 미풍양속을 계승하면서 삼강오륜을 중심으로 한 유교 윤리를 가미하였다. =어려운 일이 생겼을 때에 서로 돕는 역할을 하였고, 상두꾼도 이 조직에서 유래하였다. ~지방 유력자가 주민을 위협, 수탈하는 배경을 제공하는 부작용도 있었다.} 밑줄 친 ‘평량’과 ‘평량의 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골라 바르게 짝지은 것은? 평량은 평장사 김영관의 사노비로 경기도 양주에 살면서 농사에 힘써 부유하게 되었다. 평량의 처는 소감 왕원지의 사노비인데, 왕원지는 집안이 가난하여 가족을 데리고 와서 의탁하고 있었다. 평량이 후하게 위로하여 서울로 돌아가기를 권하고는 길에서 몰래 처남과 함께 왕원지 부부와 아들을 죽이고, 스스로 그 주인이 없어졌음을 다행으로 여겼다. -<고려사> 중에서- <보 기> ㄱ. 평량은 자신의 토지를 소유할 수 있었다. ㄴ. 평량은 주인집에 살면서 잡일을 돌보았다. ㄷ. 평량의 처는 국가에 일정량의 신공을 바쳤다. ㄹ. 평량의 처는 매매.증여.상속의 대상이 되었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다음의 경제 조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1조: 구 백동화 교환에 관한 사무는 금고로 처리케 하여 탁지부 대신이 이를 감독함 제3조: 구 백동화의 품위(品位).양목(量目).인상(印象). 형체(形體)가 정화(正貨)에 준할 수 있는 것은 매 1개에 대하여 금 2전 5푼의 가격으로 새 화폐로 교환함이 가함 {~한국 상인들이 경제적으로 큰 타격을 받았다. ~일본제일은행이 중앙은행의 역할을 하게 되었다. =액면가대로 바꾸어 주는 화폐교환 방식을 따랐다. ~구 백동화 남발에 따른 물가 상승이 이 조치에 영향을 끼쳤다.} 다음 괄호 안에 공통으로 들어갈 말로 옳은 것은? 서희가 말하기를 “그렇지 않다. 우리나라는 바로 고구려의 후계자이다. 그러므로 나라 이름을 고려라고 부르고 평양을 국도로 정하였다. 그리고 경계를 가지고 말하면 귀국의 동경도 우리 국토 안에 들어와야 하는데 당신이 어떻게 침범했다는 말을 할 수 있겠는가? 또 압록강 안팎 역시 우리 경내인데 이제 ( )이 그 중간을 강점하고 있으면서 완악한 행위와 간사스러운 태도로서 교통을 차단했으므로 바다를 건너기보다도 왕래하기 곤란한 형편이니 국교가 통하지 못함은 ( )의 탓이다. … (후략)”라고 격앙된 기색으로 당당하게 논박하였다. -고려사- {~거란=여진 ~돌궐~몽골} 발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왕 때에 돌궐, 일본 등과 외교관계를 맺어 당과 신라를 견제하였다. ~문왕 때에 신라와의 상설 교통로를 설치하여 대립관계를 해소하려 하였다. =선왕 때에 대부분의 거란족을 복속시키고 요서지역으로 진출하였다. ~발해는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였다.} 다음과 같이 양반 사회를 비판한 실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양반이란 사족(士族)을 높여서 일컫는 말이다. 정선(旌善) 고을에 어떤 양반이 살고 있었는데, 어질고 책 읽기를 좋아하였다. 고을 군수가 부임할 적마다 방문하여 인사하였는데, 살림이 무척 가난하였다. 그래서 관가에서 내주는 환자(還子)를 타서 먹었는데 결국 큰 빚을 졌다. 그러자 마을 부자가 양반의 위세를 부러워해서 양반을 사겠노라 권유하니 그 양반은 기뻐하며 승낙하였다. {~한민명전의에서 한전법을 주장하였다. ~호질을 통해 양반의 위선을 풍자하였다. ~과농소초를 통해 농기구의 개량을 주장하였다. =중용주해에서 주자 학설 중심의 성리학을 비판하였다.} 조선후기 가족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제사는 형제가 돌아가면서 지냈으며 책임을 분담하였다. ~태어난 차례대로 족보에 기재하여 남녀 차별을 하지 않았다. =입양제도가 확대되고 부계 위주의 족보가 적극적으로 편찬되었다. ~사위가 처가의 호적에 입적하여 처가에서 생활하는 것이 일반적이었다.} 통일신라시대 예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석탑은 다각 다층탑이 많았고 석탑의 몸체를 받치는 받침이 보편화되었다. ~건축이나 주종(鑄鐘)에 종사하는 사람들도 나마(奈麻)와 같은 관등을 받았다. ~가야금 하나로 연주되던 시대에 비해 악기가 다양해지고 악기 편성이 풍부해졌다. ~굴식 돌방무덤이 발전하여 봉토를 호석으로 두르고 그 호석에는 12지신상을 조각하였다.} 다음과 같은 주장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만물이 생기고 나면 바르고 통(通)한 기운을 받은 것이 사람이 되고, 편벽되고 막힌 기운을 받은 것이 물건이 된다. 물건은 편벽되고 막힌 기운을 받았기 때문에, 이(理)의 전체를 받지 못한 것은 아니지만 기질을 따라 본성 역시 편벽되고 막히게 된다. … (중략) … 사람만은 바르고 통한 기운을 받았기 때문에 마음이 가장 영묘하여 건순과 오상의 덕을 모두 갖추었으니, 그 지극한 것을 확충하면 천지에 참여하여 만물을 화육하는 것을 돕는 것도 모두 우리 인간이 할 수 있는 일이다. 이는 사람과 물건의 다른 점이다. {~최한기에 의해 서양의 경험철학과 연결되어 개화사상의 철학적 기반이 되었다. ~이(理)의 중요성을 강조하여 과학기술과 이용후생을 강조하는 북학의 배경이 되었다. =화이론에 따라 중화와 오랑캐를 본질적으로 구별되는 존재로 보려는 배타적 입장이 깔려 있었다. ~정권에서 소외된 소론파와 왕실의 종친 그리고 서얼 출신 인사들 사이에서 가학으로 이어졌다.}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는 그 모양대로 도구를 만들어 화엄경의 “일체 무애인은 한 길로 생사를 벗어난다.”라는 문구에서 그 이름을 따와서 무애라 하며 이내 노래를 지어 세상에 퍼뜨렸다. 일찍이 이것을 가지고 많은 촌락에서 노래하고 춤추며 교화하고 음영하여 돌아왔으므로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무리들까지도 모두 부처의 호를 알게 되었고, 다 나무아미타불을 부르게 되었으니 그의 법화는 컸던 것이다. -삼국유사- {~부석사를 창건하여 해동화엄종의 시조가 되었다. ~천태종을 통해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통합하려 하였다. =화쟁의 논리에 따라 중관파의 부정론과 유식파의 긍정론을 다같이 비판하였다. ~자신의 행동을 진정으로 참회하는 법화신앙에 중점을 둔 백련결사를 제창하였다.}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현(梨峴)과 칠패(七牌)는 모두 난전(亂廛)이다. 도고 행위는 물론 집방(執房)하여 매매하는 것이 어물전의 10배에 이르렀다. 또 이들은 누원점의 도고 최경윤, 이성노, 엄차기 등과 체결하여 동서 어물이 서울로 들어오는 것을 모두 사들여 쌓아두었다가 이현과 칠패에 보내서 난매(亂賣)하였다. -각전기사- {~사상과 난전의 발호로 시전상인의 특권이 위협받았다. ~강경포, 원산포 지역이 새로운 상업 중심지로 성장하였다. ~포구를 이용하여 경강상인이 선상(船商) 활동을 활발히 하였다. =중개무역을 하던 송상이 운송업, 조선업을 지배하면서 거상으로 성장하였다.} 다음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조선국은 부산 등 개항장에 일본인이 와서 통상을 하도록 허가한다. … (중략) … 조선국 연해의 도서와 암초를 조사하지 않아 매우 위험하니 일본국 항해자가 자유로이 해안을 측량하도록 허가한다. -○○○○조규- ○ 일본국 인민은 본국에서 현행되는 화폐들로 조선국 인민이 소유하고 있는 물자와 교환할 수 있다. -○○○○조규 부록- <보 기> ㄱ. 청을 의식하여 조선을 자주국으로 인정하였다. ㄴ. 개항장 밖 10리까지 외국인의 왕래를 허가하였다. ㄷ. 부산, 인천, 원산에 이어 군산, 마산까지 개항하기로 하였다. ㄹ. 초량에 전관거류지를 설치하고 수출입 물품에 5 % 관세를 부과하였다. {=ㄱ, ㄴ~ㄱ, ㄹ ~ㄴ, ㄷ~ㄷ, ㄹ} 다음 설명에 해당하는 토기는? 밑이 납작한 항아리 양쪽 옆으로 손잡이가 하나씩 달리고 목이 넓게 올라가서 다시 안으로 오므라들고, 표면에 집선(集線)무늬가 있는 것이 특징이다. 주로 청천강 이북, 요령성과 길림성 일대에 분포한다. 이 토기는 고인돌, 거친무늬거울, 비파형동검과 함께 고조선의 특징적인 유물로 간주된다. {~검은 간토기=미송리식 토기 ~눌러찍기무늬 토기~덧띠새김무늬 토기} 다음 교서가 발표된 시기의 정치 상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오늘날 사설(邪說)의 폐단을 바로 잡는 길은 더욱 정학(正學)을 밝히는 길밖에 없다. … (중략) … 연전에 서학(西學) 서적을 구입해 온 이승훈은 어떤 속셈이든지간에 죄를 묻지 않을 수 없다. 이에 전 현감 이승훈을 예산현으로 귀양을 보내고, 이외 시골 백성에게도 상줄 만한 백성은 상주어야 할 관서가 있어야 하니 묘당(廟堂)에서는 소관 관서를 철저히 감독하라. … (중략) … 이렇게 교시한 뒤에도 다시 서학(西學) 때문에 문제가 생긴다면 어찌 정부가 있다고 말할 수 있겠는가? -척사학교- {~탕평 정치가 시작되고 속대전이 편찬되었다. =화성이 완성되었고 노론 벽파와 시파, 남인간의 갈등이 커졌다. ~기사환국, 갑술환국 등 환국정치가 이어지고 장길산 농민군이 봉기하였다. ~근기(近畿) 지역에 거주하는 훈구세력은 실용적인 학문 경향을 가지고 있었다.} 일제 말 조선 총독부의 지배 정책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만주사변 이후 남면북양 정책을 실시하여 일본 방직 자본가를 보호하였다. =중일전쟁 이후 새로운 미곡 증산을 위한 흥남질소 비료공장을 설립하였다. ~태평양전쟁 이후 징병제를 실시하여 조선인 청년을 국내외로 동원하였다. ~침략전쟁에 필요한 근로보국대 동원, 놋그릇 공출 등 노동력과 물자의 수탈을 강화하였다.} 다음과 같은 주장이 발표된 시기의 역사적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우리가 지금 의(義)를 내세워 주장하는 것은 그 본의가 다른 데 있지 아니하고 창생(蒼生)을 도탄에서 건지고 국가를 반석 위에 두려는 것이다. 안으로는 탐학한 관리의 머리를 베고 밖으로 횡포한 강적(强賊) 무리를 구축(驅逐)하고자 함이다. 양반과 호강(豪强)에게서 고통 받는 민중들과 방백(方伯)과 수령 밑에서 굴욕을 받는 하급 관리들은 우리처럼 원한이 깊은 자이다. 조금도 주저하지 말고 이 시각에 일어서라. 만일 기회를 잃으면 후회해도 소용없으리라. -호남창의대장소- {~일본이 전쟁을 도발하려 하자 대한제국은 국외중립을 선언하였다. ~급진 개화파가 문벌 폐지와 청에 대한 사대관계 청산을 촉구하였다. ~고종이 칭제건원의 요청을 수용하고 구본신참의 개혁과제를 공포하였다. =일본이 공사관 보호 명분으로 서울에 침입하고 서해 지역에서 청을 공격하였다.} 다음 선언문이 발표된 배경으로 옳은 것은? 우리는 피로 건립한 독립국과 정부가 이미 존재함을 다시 선언한다. 5천 년의 주권과 3천 만의 자유를 쟁취하는 것은 자기의 정치 활동을 옹호하고 외래의 신탁 통치를 배격함에 있다. 우리의 혁혁한 혁명을 완성하자면 민족의 일치로써 최후까지 분투할 뿐이다.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가 열려 한국 문제를 의결하였다. ~김구와 김규식이 참가한 남북지도자회의가 성과 없이 끝났다. ~중도 세력이 좌우 대립을 극복하기 위하여 좌우합작운동을 추진하였다. ~유엔 총회에서 유엔 감시 아래 남북한 총선거를 실시하기로 결정하였다.} 고려시대 농민의 생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특정한 직역을 갖지 않은 농민은 조세와 공납, 국역의 부담을 졌다. ~백정 농민 중에도 천역을 담당하는 계층이 있었는데 이들을 신량역천이라 하였다. ~특정한 죄를 지었을 때 자신의 본관지로 되돌아가게 하는 귀향형(歸鄕刑)에 처해졌다. ~군현별로 일정액을 할당하는 비총법(比摠法)이 실시되자 농민은 공동납으로 대응하였다.} 조선 전기의 신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공노비는 유외(流外)잡직으로 불리는 하급 기술관직을 가질 수 있었다. =서얼은 경국대전에 의해 문과 응시가 가능했지만 실제로는 제약을 받았다. ~지위가 높은 문무관원의 자손에게는 음서와 대가(代加) 등의 혜택이 주어졌다. ~국역노동이 끝난 공장(工匠)들은 시장을 상대로 필요한 물품을 만들어 판매하여 이득을 취하였다.} 우리나라 도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구려에서는 연개소문이 도교진흥정책을 써서 불교사찰을 도관(道觀)으로 쓰기도 했다. ~유학자 최치원은 도교와 불교에도 조예가 깊어 삼교를 회통한 사상가로 추앙받았다. =고려 문종 때 복원궁이라는 도교 사원을 세우고 본격적으로 도교를 보급하였다. ~조선 초기에는 소격서라는 관청을 두고 일월성신에 대한 제사로서 초제를 주관하게 했다.} (가), (나)의 주장을 펼친 사람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강도 일본이 우리의 생명을 초개(草芥)로 보아 을사 이후 13도의 의병이 있던 각 지방에서 일본 군대가 행한 폭행도 이루 다 적을 수 없거니와 … (중략) … 우리는 일본의 강도정치 곧 이족(異族) 통제가 우리 조선민족 생존의 적임을 선언하는 동시에 우리는 혁명 수단으로 우리의 적인 강도 일본을 살벌(殺伐)함이 곧 우리의 정당한 수단임을 선언하노라. (나) 슬프다! 나라와 민족의 치욕이 이 지경에 이르렀으니 우리 인민은 장차 생존 경쟁 속에서 다 죽게 되었구나. 구차하게 살고자 하는 자는 반드시 죽고, 죽기를 각오한 자는 도리어 살게 되나니 … (중략) … 죽음으로 임금의 은혜를 갚고 이천만 동포 형제에게 사죄하노라. <보 기> ㄱ. (가)-노령에서 항일 활동을 하였고 하얼빈에서 이토 히로부미를 암살하였다. ㄴ. (가)-의열단의 요청으로 ‘조선혁명선언’을 집필하였고 뤼순 감옥에서 순국하였다. ㄷ. (나)-을사조약을 체결하자 이에 저항하여 자결하였다. ㄹ. (나)-상하이 홍커우 공원에서 폭탄을 던져 일본군 고관을 죽였다. {~ㄱ, ㄷ~ㄱ, ㄹ =ㄴ, ㄷ~ㄴ, ㄹ} (가)와 (나) 사이에 있었던 역사적 사실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이번 4월의 참사는 학생운동사상 최대 비극이요, 이 나라의 정치적 위기를 극복하기 위한 중대 사태이다. 이에 대한 철저한 반성 없이는 이 민족의 불행한 운명을 도저히 만회할 길이 없다. 우리 전국 대학교 교수들은 이 비상시국에 대처하여 양심의 호소를 하는 바이다. (나) 대한민국과 일본국은 양국 국민 관계의 역사적 배경을 고려하며, 선린관계 및 주권 상호존중 원칙에 입각한 양국 관계의 정상화를 상호 의망(意望)함을 고려하고, 양국의 공동 복지 및 공동 이익을 증진하고 국제평화 및 안전을 유지하는데 양국이 … (중략) … 협력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사실을 인식한다. <보 기> ㄱ. 진보당 사건, 경향신문 폐간이 이어졌다. ㄴ. 한일회담에 반대하여 6․3시위가 일어났다. ㄷ. 국가재건최고회의가 구성되어 군정이 실시되었다. ㄹ. 부산정치파동으로 야당 국회의원이 정치적 공격을 받았다. {~ㄱ, ㄴ=ㄴ, ㄷ ~ㄴ, ㄹ~ㄷ, ㄹ} 다음 표의 (가)에 들어갈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과전법 ➡ (가) ➡ 관수관급제 ➡ 녹봉제 {~해당 지역의 조세와 역 징발권을 부여하였다. =현직 관리에 한하여 수조권을 지급하였다. ~국가에서 직접 세금을 거두어 관리에게 지급하였다. ~인품과 관품에 따라 전지와 시지를 지급하였다.} 다음 권한을 가진 조선 시대의 정치 기구를 모두 고르면?○ 경연을 통해 국왕, 의정부와 6조를 견제하는 역할을 하였다. ○ 5품 이하의 관리를 임명할 때, 인물의 경력, 신분 등을 조사하여 그 가부를 승인하는 권한을 가지고 있었다. ○ 왕에게 간언하거나 잘못된 정책을 비판할 수 있었다. ○ 잘못된 왕명을 시행하지 않고 되돌려 보낼 수 있었다. (가) 승정원 (나) 의금부 (다) 춘추관 (라) 홍문관 (마) 사간원 (바) 사헌부 {~(가), (나), (다)~(나), (다), (라) ~(다), (라), (마)=(라), (마), (바)} (가)와 (나) 시기 사이의 사실로 옳은 것은?(가) 왕이 어느 날 홀로 한참 동안 통곡하였다. 이자겸의 십팔자(十八字)가 왕이 된다는 비기(秘記)가 원인이 되어 왕위를 찬탈하려고 독약을 떡에 넣어 왕에게 드렸던바, 왕비가 은밀히 왕에게 알리고 떡을 까마귀에게 던져주었더니 그 까마귀가 그 자리에서 죽었다. - <고려사> (나) 몽골병이 이르자 윤후가 처인성으로 난을 피하였는데, 몽골의 원수 살리타가 와서 성을 치매 윤후가 그를 사살하였다. 왕은 그 공을 가상히 여겨 상장군의 벼슬을 주었으나 이를 사양하고 받지 않았다. - <고려사> {~삼별초가 난을 일으켰다. =서경파가 대화궁을 축조하였다. ~강감찬이 귀주대첩에서 승리하였다. ~여진을 축출하고 동북 9성을 쌓았다.} (가) 종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나라에서 (가)을/를 금하시는 것은 그 뜻이 정녕 어디에 있습니까? 먼저 그 뜻과 이치가 어떠한지 물어보지도 않고 지극히 죄악이라는 말로 사교(邪敎)라 하여 반역의 법률로 다스려 신유년 앞뒤로 인명이 크게 손상하였으나 한 사람도 그 원인을 알아보지 않았습니다. …(중략)… 이 도는 천자로부터 서민에 이르기까지 날마다 사용하고 늘 실행해야 할 도리이니 가히 해가 되고 난(亂)으로 된다고 할 수 없습니다. -정하상, <상재전서> {~시천주와 인내천 사상을 강조하였다. ~홍경래의 난에 사상적 영향을 끼쳤다. =남인 계열의 실학자들이 신앙으로 받아들였다. ~안동 김씨의 세도 정치 시기에 더욱 탄압받았다.} 밑줄 친 ‘이것’이 제작된 시기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것을 혜정교와 종묘 앞에 처음으로 설치하여 해 그림자를 관측하였다. 집현전 직제학 김돈이 명을 짓기를, ‘…구리를 부어서 그릇을 만들었는데, 모양이 가마솥과 같다. 지름에는 둥근 송곳을 설치하여 북에서 남으로 마주 대하게 했고, 움푹 파인 곳에서 (선이) 휘어서 돌게 했으며, 점을 깨알같이 찍었는데, 그 속에 도(度)를 새겨서 반주천(半周天)을 그렸다. … 길가에 설치한 것은 보는 사람이 모이기 때문이다. 이로부터 백성도 이것을 만들 줄 알게 되었다.’라고 하였다. {=의학 백과 사전인 의방유취를 편찬하였다. ~100리척을 사용한 동국지도를 제작하였다. ~상감법을 개발하여 자기 제작에 활용하였다. ~역대 문물을 정리한 동국문헌비고를 편찬하였다.} (가)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은 것은?(인터넷 검색 화면 형태로 표현)검색 요약 : 공신과 호족에 대한 숙청을 단행했고,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경제적, 군사적 기반을 약화시키고 국가의 수입 기반을 확대하였다. 백관의 공복(公服)을 제정했으며, 동북계·서북계에 많은 성을 쌓는 등 치적이 많다. 별칭 : 자는 일화(日華) 휘는 소(昭). 시호는 대성(大成) 활동분야 : 정치 업적 : (가)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 제도를 마련하였다. =황제를 칭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청천강에서 영흥에 이르는 국경선을 확보하였다. ~과거 제도를 정비하고 과거 출신자들을 우대하였다.} 밑줄 친 ‘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은?9년(399) 기해에 백잔(百殘)이 맹서를 어기고 왜와 화통하였다. 이에 왕이 평양으로 행차하여 내려갔다. 그 때 신라가 사신을 보내어 아뢰기를, “왜인이 그 국경에 가득 차 성지를 부수고 노객으로 하여금 왜의 민으로 삼으려 하니 이에 왕께 귀의하여 구원을 요청합니다”라고 하였다. … 10년(400)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였다. {=‘영락’이라는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였다. ~도읍을 평양으로 옮기고 한강 유역을 차지하였다. ~왕위 계승이 형제 상속에서 부자 상속으로 바뀌었다.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였으며 불교를 수용하였다.} (가), (나) 주장에 따라 시행된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8도 군포는 수량이 90만 필(疋)에 지나지 않는데, 절반인 45만 필의 돈을 내어놓고 군포 1필을 감해 준다면, 2필을 바치던 무리들이 반드시 힘을 펼 수 있을 것입니다. (나) 호역(戶役)으로써 군역(軍役)을 대신하고 … 호수(戶數)에 따라 귀천(貴賤)과 존비(尊卑)를 물론하고 일체로 부역(賦役)을 균평하게 한다면 내는 자는 심히 가볍고 거두는 자도 손실이 없을 것입니다. {=(가)는 방납의 폐단을 해결하기 위한 방책이었다. ~(나)는 성리학적 명분론을 바탕으로 양반의 반발이 심하였다. ~(가)는 영조, (나)는 흥선대원군 때 법제화되었다. ~(가), (나) 모두 과세 대상이 확대되는 계기가 되었다.} 다음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춘추좌씨전이나 예기나 문선을 읽어 그 뜻을 잘 통하고 논어ㆍ효경에도 밝은 자를 상(上)으로 하고, 곡례ㆍ논어ㆍ효경을 읽은 자를 중(中)으로 하고, 곡례ㆍ효경을 읽은 자를 하(下)로 하되, 만일 5경ㆍ3사와 제자백가의 서(書)를 능히 겸통하는 자가 있으면 등급을 넘어 등용한다. {=신문왕 때 처음 시행되었다. ~6두품은 이 제도의 시행을 적극 지지하였다. ~학문과 유학을 널리 보급시키는 데 이바지하였다. ~골품 제도 때문에 그 기능을 제대로 발휘하지는 못하였다.}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꿈속에 신선이 나타나서 "나는 초나라 회왕 손심인데 서초패왕에게 살해되어 빈강에 버려졌다"고 말하고 사라졌다. 잠에서 깨어나 생각해보니 회왕은 중국 초나라 사람이고, 나는 동이 사람으로 거리가 만리(萬里)나 떨어져 있는데 꿈에 나타난 징조는 무엇일까? 역사를 살펴보면 시신을 강물에 버렸다는 기록이 없으니 아마 항우가 사람을 시켜서 회왕을 죽이고 시체를 강물에 버린 것인지 알 수 없는 일이다. 이제야 글을 지어 의제를 조문한다. {~최초의 서원인 백운동서원을 세웠다. =길재의 학통을 이어받고 김굉필 등 제자들을 길렀다. ~「소학」보급을 통해 유교 윤리를 확산시키려 하였다. ~유교 경전의 독자적 해석을 시도하여 사문난적으로 몰렸다.} 밑줄 친 ‘수호 조약’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저번에 사절선이 온 것은 오로지 수호(修好)때문이니 우리가 선린(善隣)하는 뜻에서도 이번에는 사신을 전위(專委)하여 수신(修信)해야겠습니다. 사신의 호칭은 수신사라 하고 김기수를 특별히 차출하고 따라가는 인원은 일을 아는 자로 적당히 가려서 보내십시오. 이는 수호 조약을 체결한 뒤에 처음 있는 일이니, 이번에는 특별히 당상관을 시켜 서계(書契)를 가지고 들어가게 하고, 이 뒤로는 서계를 옛날처럼 동래부에 내려 보내어 에도로 옮겨 보내는 것이 어떠하겠습니까. - <승정원일기> {~거중 조정을 규정하였다. ~내지 통상권을 허용하였다. =해안 측량권을 인정하였다. ~조선 책략의 영향으로 체결되었다.} 다음 주장을 펼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나라라 하는 것은 사람을 두고 이름이니, 만일 빈 강산에 초목금수만 있고 해와 달만 내왕하는 곳이면 어찌 나라라고 칭하리오. 그러므로 사람이 토지에 의거하여 나라를 세울 때 임금과 정부와 백성이 동심 합력하여 나라를 세웠나니, …… 백성의 권리로 나라가 된다고 말하는 것이요. …… 해외 강국이 와서 나라를 빼앗는데 종묘사직과 임금과 나라 이름을 그대로 두고 사람의 권리와 토지 이익만 가져가고 또 총명 강대한 백성을 옮겨다 가두고 주장을 하나니, …… 관민이 합심하여 정부와 백성의 권리가 절반씩 함께 한 후에야 대한이 억만 년 무강할 줄로 나는 아노라. -1898. 12. 15. {~대성학교와 오산학교를 설립하였다.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하였다. =러시아의 절영도 조차 요구를 저지하였다. ~월보를 간행하고 고종 퇴위 반대 운동을 벌였다.} 다음과 같은 개혁이 단행될 수 있었던 배경으로 옳은 것은? 제1조 국내의 육군을 친위와 진위 2종으로 나눈다. 제2조 친위는 경성에 주둔하여 왕성 수비를 전적으로 맡는다. 제3조 진위는 부(府) 혹은 군(郡)의 중요한 지방에 주둔하여 지방 진무와 변경 수비를 전적으로 맡는다. {=명성황후 시해 ~러ㆍ일 전쟁의 발발 ~통리기무아문의 설치 ~동학 농민 운동의 전개} (가), (나) 사업의 공통점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 지계업무를 소관 지방으로 가서 실시하되 전답ㆍ산림ㆍ천택ㆍ가옥을 모두 조사 측량하여 결부와 사표의 분명함과 칸수 및 척량의 적확함과 시주 및 구권의 증거를 반드시 확인한 후 발급할 것 (나) 토지 소유자는 조선 총독이 정하는 기간 내에 주소ㆍ씨명, 명칭 및 소유지의 소재, 지목, 자번호, 사료, 등급, 지적, 결수를 임시 토지 조사 국장에게 신고해야 한다. {~재정의 확보에 기여하였다. ~근대적 토지 소유권을 확립하였다. ~토지 매매가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었다. =경자유전의 원칙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이었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독립 운동 단체와 관련이 없는 것은? ○ 이 단체의 중심 인물은 안창호, 양기탁, 신채호 등이다. ○ 서북 지방의 기독교인들이 다수 참가한 항일 비밀 결사조직이다. ○ 공화 정체의 근대 국가 수립을 목적으로 했다. ○ 일제가 날조한 105인 사건으로 국내 조직이 해체되었다. {=국내의 요인 암살, 식민 통치 기관 파괴 활동을 전개하였다. ~자기회사.태극서관을 설립하여 민족 산업 육성에 노력하였다. ~대성학교와 오산학교를 세워 민족 교육을 실시하였다. ~이회영 형제의 헌신으로 남만주에 독립운동기지를 건설하였다.} 다음 역사적 사건의 영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오늘은 한국의 위대한 날이다. … 오후 2시, 중학교를 비롯한 각급 학교들이 일본의 한국 지배에 항거하는 시위를 벌였고, 거리로 나가 양손을 위로 올리고 모자를 흔들며 ‘대한 독립 만세’를 외치며 행진을 하기 시작했다. 거리의 사람들 역시 이 대열에 합류했고, 도시 전역에 기쁨의 외침 소리들이 울려 퍼졌다. … 최근 일본정부는 소위 ‘역도들’을 제압할 수 있는 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했다고 한다. 우리는 맨손으로 단순히 ‘독립 만세’를 외치는 사람들에게 … 보병대 2사단, 포병대 1사단, 기병대 2사단이 일본으로부터 파병되고 난 후 … 마을들이 불타고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다는 것이다. - 『노블일지』- {~일제가 교활한 ‘문화 통치’를 표방하게 되었다. ~이를 계기로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되었다. =국내외에서 민족유일당 운동이 촉발되는 계기가 되었다. ~해외의 무장 독립 투쟁이 더욱 치열하게 전개되었다.} 다음 선언과 관계 깊은 독립운동 단체에 대한 설명이 아닌 것은? …… 강도 일본을 쫓아내려면 오직 혁명으로만 가능하며, 혁명이 아니고는 강도 일본을 쫓아낼 방법이 없는 바이다. …… 우리의 민중을 깨우쳐 강도의 통치를 타도하고 우리 민족의 신생명을 개척하자면 양병 10만이 폭탄을 한번 던진 것만 못하며, 천억 장의 신문, 잡지가 한 번의 폭동만 못할지니라.…… - ‘조선 혁명 선언’, 신채호 - {=김구 선생이 상하이에서 조직하였다. ~나석주, 김상옥, 김익상, 박재혁 등이 활동하였다. ~개인 폭력 투쟁을 통해 민중 직접 혁명을 달성하려 하였다. ~1920년대 후반 무장 투쟁 노선으로 전환하였다.} 다음 글에서 비판하고 있는 이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이 운동의 사상적 도화수가 된 것은 누구인가? 저들의 사회적 지위로 보나 계급적 의식으로 보나 결국 중산 계급임을 벗어나지 못하였으며, 적어도 중산 계급의 이익에 충실한 대변인인 지식 계급 아닌가. … 실상을 말하면 노동자에게는 … 말할 필요가 없는 것이다. … 그네는 자본가 중산 계급이 양복이나 비단 옷을 입는 대신 무명과 베옷을 입었고, 저들 자본가가 위스키나 브랜디나 정종을 마시는 대신 소주나 막걸리를 먹지 않았는가? …… 이리하여 저들은 민족적, 애국적 하는 감상적 미사(美辭)로써 눈물을 흘리면서 저들과 이해가 전연 상반한 노동 계급의 후원을 갈구하는 것이다. - 이성태, “동아일보”- 〈 보 기〉 ㄱ. 평양에서 시작하여 전국으로 확산되었다. ㄴ. 사회주의 운동이 크게 확산되는 계기가 되었다. ㄷ. 황성신문, 대한매일신보 등의 적극적인 지원을 받았다. ㄹ. 일본 상품에 대한 관세 철폐 움직임에 대응하여 시작되었다. {~ㄱ, ㄴ ~ㄱ, ㄷ =ㄱ, ㄹ ~ㄴ, ㄷ} 신석기시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동삼동패총에서는 조가비 가면이 출토되어 제의를 행할 때 주술과 관련된 의기로 사용되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농포동 유적에서는 흙으로 만든 남성 조각품이 출토되어 신석기시대 후기에는 이미 가부장제 사회로 진입하였음을 확인할 수 있다. ~신석기시대의 주거생활 유적지로는 서울 암사동, 봉산 지탑리, 온천 궁산리, 양양 지경리 등이 있다. ~서포항 유적에서는 개, 뱀, 망아지 등으로 여겨지는 장신구가 출토되었는데, 이들을 통해 토테미즘(Totemism)의 가능성을 엿볼 수 있다.} 신라의 관등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6세기 초 법흥왕 때 완성되었다. ~왕경인에 대한 경위(京位) 17관등과 지방인에 대한 외위(外位) 11관등으로 구성되었다. =6두품은 아찬(阿湌)까지, 5두품은 대사(大舍)까지 승진의 한계가 정해져 있다. ~삼국통일을 전·후한 시기에 이르면 6두품 이하에 속한 사람들에게 중위(重位)제도라는 일종의 특진의 길을 개방하기도 하였다.} 다음 중 삼국의 한강유역 쟁탈과정을 살펴 볼 수 있는 비(碑)는 모두 몇 개인가? ㉠ 북한산비 ㉡ 단양적성비 ㉢ 사택지적비 ㉣ 중원고구려비 ㉤ 백두산정계비 ㉥ 광개토대왕릉비 {~2개 ~3개 =4개 ~5개} 다음 신라시대 불교문화 발달에 대한 내용으로 옳게 짝지어진 것은? ㉠ 혜초는 인도를 순례한 후『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 원효는『화엄일승법계도』를 저술하고 부석사를 건립하였다. ㉢ 의상은 화엄사상 뿐 아니라 관음신앙을 이끌며 많은 사찰을 세웠다. ㉣ 신라 말기에 교종 승려들은 중국에서 유행한 풍수지리설을 들여왔다. {~㉠㉡ =㉠㉢ ~㉠㉣ ~㉡㉣ } 다음이 나타내는 고대국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고구려의 옛 땅을 회복하였고, 부여의 유속을 잇게 되었다. <일본에 보낸 무왕의 국서> {=선왕(宣王) 때에는 3성 6부의 지방행정구역이 완비되었다. ~이들 집단이 처음으로 터를 잡았던 동모산(東牟山)은 오늘날의 연변 조선족 자치주 돈화시에 있는 성산자산성으로 여겨진다. ~초기 왕족 등 지배층의 무덤인 육정산고분군은 고구려계 양식인 석실봉토분이다. ~거란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다음과 같은 사회적 상황이 나타난 시기의 역사적 사실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왕은 아첨하는 소인들을 항상 옆에 두고 남몰래 희롱하며 정사를 돌보지 않으므로 기강이 문란해졌고 또한 기근이 심하여 백성들은 사방으로 유리하고 도적이 벌떼처럼 일어나서 국내가 어지럽게 되자, 견훤은 몰래 딴 마음을 먹고 많은 사람을 불러 모아가지고 서남쪽 주현의 적도들을 토벌하니 가는 곳마다 모든 사람들이 그에게 호응하여 한 달 사이에 5천명의 무리가 모여들었다. {~귀족과 호족의 대토지 소유가 확대되면서 농민들은 토지를 잃고 노비가 되거나 초적(草賊)이 되었다. =6두품 세력은 골품제를 비판하며 새로운 정치이념으로 성리학을 제시하였다. ~후삼국의 정립으로 신라의 지배권은 왕경 부근의 경상도 일대로 축소되었다. ~중앙정부의 지방에 대한 통제력이 약화되면서 지방에서는 군사력과 경제력을 갖춘 호족세력이 성장하였다.} 다음과 같은 활동을 한 고려시대 승려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숙종의 후원을 받아 국청사를 중심으로 해동천태종을 창건하여 법상종과 선종의 여러 종파의 대립을 극복하려고 하였다. {~남중국에 파견되어 천태학을 전했다. ~풍수지리사상을 정립하여 궁궐과 사찰 건립의 입지 선정에 큰 영향을 미쳤다. ~정혜쌍수와 돈오점수를 내세워 교종과 선종의 갈등을 해소하려고 하였다. =송, 요, 일본의 불교서적을 모아『신편제종교장총록』을 간행하였다.} 다음 주장을 편 인물의 건의를 받아 실시한 정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불교를 믿는 것은 자신을 다스리는 근본이며, 유교를 행하는 것은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을 구하는 것입니다. 자신을 다스리는 것은 내세에 복을 구하는 일이며, 나라를 다스리는 것은 오늘의 급한 것입니다. 오늘은 아주 가까운 것이요, 내세는 지극히 먼 것입니다. 가까운 것을 버리고 먼 것을 구하는 것은 또한 그릇된 것이 아니겠습니까? <고려사> {~노비안검법을 실시하여 호족의 세력을 약화시키고 국가 수입 기반을 확대하였다. ~유교의 학식과 능력에 따른 관리 선발제도인 과거제를 실시하였고 백관의 공복을 제정하였다. =12목을 설치하고 지방관을 파견하였으며, 지방 중소 호족을 향리로 편입하여 통제하였다. ~정방을 폐지하고 전민변정도감을 설치하여 권문세족의 경제기반을 약화시키고 국가 재정 수입의 기반을 확대하였다.} 고려시대에 있었던 외적의 침입에 대한 사실이다. 일어난 순서대로 옳게 나열한 것은? ㉠ 최광윤의 보고에 따라 거란 침입에 대비하여 광군 조직 ㉡ 김윤후가 이끄는 민병과 승군이 처인성에서 몽골 장수 살리타 사살 ㉢ 기병 중심의 별무반을 이끌고 윤관은 여진을 정벌하고 동북 9성 축조 ㉣ 고려왕의 친조를 요구하며 침입한 거란군을 강감찬이 귀주에서 전멸시킴 ㉤ 삼별초는 개경환도에 반대하며 강화도, 진도, 제주도로이동하며 대몽 항쟁 추진 ㉥ 서희가 송과의 관계를 끊는 조건으로 압록강 동쪽 280여리 지역을 거란으로부터 돌려받음 ㉦ 홍건적이 침입하여 개경이 함락되고 왕이 안동으로 피난하였으나 정세운, 이방실 등이 격퇴시킴 {~㉠-㉥-㉣-㉡-㉢-㉦-㉤ =㉠-㉥-㉣-㉢-㉡-㉤-㉦ ~㉥-㉠-㉣-㉢-㉡-㉤-㉦ ~㉥-㉣-㉠-㉢-㉡-㉦-㉤} 다음 ㉮에 대한 <보기>의 설명 중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은(는) 고려와 몽골간의 전쟁과정에서 뛰어난 전투력을 바탕으로 두각을 나타냈다. 1270년에 고려와 몽골사이에 강화가 체결되면서 개경환도가 결정되자 이들은 조정의 결정에 불복하였다. 이후 승화후 온(溫)을 내세워 강화도에서 진도로 근거지를 옮기면서 대몽항쟁을 계속하였는데, 이 때 육지의 반몽세력과 연합하여 강력한 해상왕국을 건설하였다. < 보 기 > ㉠ 이들은 최씨 무신정권의 사병이자 무력적 기반이었다. ㉡ 그 구성원은 특별히 선발한 뛰어난 무사들로 구성되었는데, 관군과 귀족장교로만 선발하였다. ㉢ 이들은 규모가 커진 야별초(좌별초, 우별초)와 대몽항쟁 과정에서 포로로 잡혔다가 탈출한 이들로 창설된 신의군을 합하여 만들어졌다. ㉣ 강화도에서 진도로 이동하면서 김통정의 지휘를 받았으나, 여·몽 연합군의 공격으로 김통정이 전사하자 배중손이 그 지휘를 이어받아 제주도에서 항전을 계속하였다. ㉤ 무신정권의 사병적인 기능뿐만 아니라 국왕의 시위와 도적의 체포도 담당했다. {~1개 ~2개 =3개 ~4개 } 다음과 같은 제도가 시행된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광해군 즉위년에 이원익 등의 주장에 따라 경기도에서 처음 시행하였다. 그 후 실시지역이 확대되어 숙종 34년에는 평안도와 함경도를 제외한 전국에서 실시되었다. 이를 관할하는 관청으로 선혜청을 두었다. {=제 고장에서 나지 않는 물건을 공물로 내게 하거나, 서리가 상인과 결탁하여 공납물을 미리 국가에 바치고 그 값을 비싸게 책정하여 농민에게 받아냈다. ~사족이 군역을 회피하는 풍조가 생기고, 요역을 담당할 장정들이 크게 줄어들자 군인을 요역에 동원하게 되었다. ~보인(保人)으로부터 조역가를 받아내서 이를 삯전으로 내고, 품을 사서 자신의 역을 대신 지게 하는 대립(代立)이 성립되었다. ~춘궁기에 빈민에게 식량을 빌려주고 원곡만을 회수하는 의창제를 대신하여 상평창제가 실시되면서 원곡의 10%를 이자로 받았다.} 다음 반정(反正)을 도모한 정치세력의 대외인식을 반영한 것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적신 이이첨과 정인홍(鄭仁弘) 등이 또 그의 악행을 종용하여 임해군(臨海君)과 영창 대군을 해도(海島)에 안치하여 죽이고... 대비를 서궁(西宮)에 유폐하고 대비의 존호를 삭제하는 등 그 화를 헤아릴 수 없었다. 선왕조의 구신들로서 이의를 두는 자는 모두 추방하여 당시 어진 선비가 죄에 걸리지 않으면 초야로 숨어버림으로써 사람들이 모두 불안해하였다. 또 토목 공사를 크게 일으켜 해마다 쉴 새가 없었고, 간신배가 조정에 가득 차고... 임금이 윤리와 기강이 이미 무너져 종묘사직이 망해가는 것을 보고 개연히 난을 제거하고 반정(反正)할 뜻을 두었다. <조선왕조실록> {=명나라 신종에게 재조지은(再造之恩)을 갚기 위해 만동묘를 설치하였다. ~광해군 집권당시에는 중립외교를 적극적으로 주장하였다. ~명의 원군요청에 적절히 대처하고 후금과 친선을 도모하였다. ~대의명분보다 실리를 중요시하는 외교정책을 제시하였다. } 다음 비문(碑文)을 세운 조선후기 왕(王)의 활동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두루 하면서 무리 짓지 않는 것이 곧 군자의 공심이고 무리 짓고 두루 하지 않는 것은 바로 소인의 사심이다. (周而不比 乃君子之公心) (比而不周 寔小人之私心) {~전국적인 지리지와 지도의 편찬을 활발하게 추진하여『여지도서』,『동국여지도』등이 간행되었다. =당파의 옳고 그름을 명백히 가리는 적극적인 준론탕평(峻論蕩平)정책을 추진하였다. ~양역의 군포를 1필로 통일하는 균역법을 시행하였고, 『수성윤음』을 반포하여 수도방어체제를 개편하였다. ~국가의 문물제도를 시의에 맞게 재정비하려는 목적으로 『속대전』,『속오례의』,『속병장도설』 등 많은 편찬사업을 이룩하였다.} 다음이 설명하는 조선시대의 기관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삼포왜란을 계기로 설치된 임시관청이며, 1555년 을묘왜변을 계기로 정식 관청이 되었다. ㉡ 정청(政廳)과 권부(權府)라는 이중성이 상존된 것이며, 이의 존치는 결국 중앙집권적 관료주의를 심화시킨 것이었다. ㉢ 임진왜란 이후 국정의 모든 사무를 담당하게 되면서 최고 정무기관의 역할을 담당하였다. ㉣ 조선 후기 확대 강화되면서 의정부와 6조를 중심으로 하던 국가행정체계를 무너뜨렸으며 왕권도 약화시켰다. {~홍문관 ~승정원 ~춘추관 =비변사} 다음은 조선 후기 실학자의 활동을 설명한 것이다. 밑줄 친 ㉠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은(는) 천지, 만물, 인사, 경사, 시문 등 5개 부문으로 나누어 우리나라 및 중국의 문화를 백과사전식으로 소개·비판한 책을 지었다. ㉠ 은(는) 붕당이 선비들의 먹이다툼에서 생겼다고 보고 선비들도 농사를 짓고, 과거시험의 주기를 3년에서 5년으로 늘려 합격자를 줄일 것을 주장했다. {~호구에 부과하던 역역을 토지에 일괄 부과함으로써 민생 안정과 국가재정을 충실히 할 것을 내세웠다. ~은광의 개발, 화폐의 유통, 선박과 수레의 사용 등을 주장하여 유통경제의 활성화를 주장하였다. ~부세를 완화하고, 서얼 허통을 방지하며, 호포제 실시를 반대하였다. =농가경제를 안정시키는 방법으로 매 호마다 영업전(永業田)을 갖게 하고, 그 나머지 토지는 매매를 허락하여 토지균등을 이루자고 주장하였다.} 다음 설명의 밑줄 친 ‘그’가 집권하여 개혁을 펼치던 시기에 발생한 역사적 사실을 모두 고른 것은? 그는 “백성을 해치는 자는 공자가 다시 살아난다 해도 내가 용서하지 않을 것이다.”는 단호한 결의로 47개소만 남기고 대부분의 서원을 철폐하였다. ㉠ 갑신정변 ㉡ 신미양요 ㉢ 임술농민봉기 ㉣ 제너럴셔먼호 사건 ㉤ 오페르트 도굴 사건 {~㉠㉡㉤ ~㉠㉢㉣ =㉡㉣㉤ ~㉢㉣㉤} 일제강점기의 일본의 통치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3·1운동은 일본의 통치 방법을 바꾸는 결정적인 계기가 되었다. ~1910년대 일본은 우리 민족을 회유하기 위하여 문화통치를 펼쳤다. ~1920년대 실시된 회사령은 우리 민족의 기업 설립을 방해하였다. ~1930년대 이후 전쟁이 시작되면서 보통경찰제가 헌병경찰제로 바뀌었다.} 다음은 어느 신문의 창간사이다. 이 신문이 창간될 당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우리는 첫째, 편벽되지 아니한 고로 무슨 당에도 상관이 없고, 상하귀천을 달리 대접하지 아니하고, 모두 조선 사람으로만 알고, 조선만을 위하여 공평히 인민에게 말할 터인데, 우리가 서울 백성만 위한 것이 아니라 조선 인민을 위하여 무슨 일이든지 대언하여 주려 함. 우리는 바른대로만 신문을 할 터인 고로, 정부 관원이라도 잘못하는 이 있으면 우리가 말할 터이요, 탐관오리들을 알면 세상에 그 사람의 행적을 펴일 터이요, 사사로운 백성이라도 무법한 일을 하는 사람을 찾아 신문에 설명할 터임... 또 한쪽에 영문으로 기록하기는 외국 인민이 조선 사정을 자세히 모른즉, 혹 편벽된 말만 듣고 조선을 잘못 생각할까 보아 실상 사정을 알게 하고자 하여 영문으로 조금 기록함... {~운요호 사건을 구실로 강압적인 문호 개방을 강요하여 강화도 조약 체결 ~고종은 헤이그에서 열리던 만국평화회의에 이상설, 이준, 이위종을 특사로 파견 ~별기군에 비해 차별받던 구식군인들이 민겸호 집과 일본공사관을 습격하고 흥선대원군이 재집권 =고종이 러시아 공사관으로 거처를 옮김에 따라 김홍집 내각이 무너지고 이범진·이완용 내각이 새로 출범} 다음은 일제시기 어느 단체를 설명한 것이다. 이 단체의 활동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조선사정연구회, 정우회와 같은 좌우협력운동의 단체로 결성되었다. 이 단체에는 조선일보 계열의 민족주의자, 천도교 구파, 불교인, 사회주의자들이 참여했으며, 전국에 약 140여 개의 지회가 있었고, 약 4만여 명의 회원이 가입하였다. {=고등교육기관으로서 대학을 설립하려는 운동을 펼쳤다. ~일본인의 조선이민을 반대하였다. ~조선인 본위의 교육제도를 실시할 것을 주장하였다. ~광주학생의거의 진상을 보고하기 위한 민중대회를 열 것을 계획하였다.} 다음은 한국의 광복 이후에 대한 회의 결정문이다. 이에 관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조선을 독립 국가로 재건설하며 조선을 민주주의적 원칙하에 발전시키기 위한 조건을 조성하고…(중략)… 임시 조선 민주주의 정부를 수립할 것이다. 2. 조선 임시 정부의 구성을 원조할 목적으로…(중략)… 남조선 미합중국 관구와 북조선 소 연방국 관구의 대표자들로 공동위원회가 설치될 것이다. 그 제안을 작성하는 데 있어 공동위원회는 조선의 민주주의 정당 및 사회단체와 협의해야 한다. 3. 공동 위원회의 제안은 최고 5년 기한으로 4개국 신탁 통치를 협약하기 위하여 미국·영국·중국·소련 여러 나라 정부가 공동 참작할 수 있도록 조선 임시 정부와 협의한 후 제출되어야 한다. 4. 남·북 조선에 관련된 긴급한 제문제를 고려하기 위하여…(중략)… 2주일 이내에 조선에 주둔하는 미국, 소련 양군 사령부 대표로서 회의를 소집할 것이다. {~미국의 트루먼 대통령, 영국의 처칠 수상, 소련의 스탈린 등 3개국 정상들이 참석하였다. ~이 회의에서 미·소 양국은 2항을 결정하는 과정에서 협의의 대상인 정당 및 사회단체 선정 문제를 놓고 진통을 겪었다. =이 소식을 접한 김구, 이승만 등의 우익 세력은 즉각적으로 대대적인 신탁반대운동에 나섰다. ~미국과 소련은 회의 결정 안을 실천하기 위하여 미·소 공동위원회를 3차례에 걸쳐 실시하였다.} 선사 시대의 생활상과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구석기 시대에는 뗀석기를 사용하고 동굴과 바위그늘에서 거주하였으며, 쐐기 같은 것을 대고 형태가 같은 여러 개의 돌날격지를 제작하여 사용하였다. ~신석기 시대에는 간석기를 사용하였고, 원형이나 모서리가 둥근 사각형 모양의 바닥에 움집을 짓고 살았다. ~황해 봉산 지탑리에서 발견된 탄화된 좁쌀과 여러 유적에서 발견된 갈돌과 갈판은 신석기 시대에 이미 농경 생활이 시작되었음을 보여준다. =서울 암사동과 부산 동삼동 유적은 사유재산이 발생하고 계급이 형성된 모습을 보여주는 대표적 유적이다. } 다음은 삼국 시대의 역사적인 사실을 나열한 것이다.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을파소를 국상으로 채용하여 진대법을 실시하였다. ㉡ 백제는 불교를 수용하여 새로운 통치이념을 정비하였다. ㉢ 고구려는 태학을 설립하고 율령을 반포하였다. ㉣ 거칠부가 󰡔국사󰡕를 편찬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은 삼국 시대 정치조직과 관련된 내용이다. 옳은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백제에는 16관등제도가 있었다. ㉡ 고구려의 지방은 5부로 나뉘어 있었다. ㉢ 신라에는 상대등(上大等)을 의장으로 하는 만장일치 합의체인 화백회의가 있었다. ㉣ 백제의 지방은 5방으로 나뉘어 있었다. {~1개 ~2개 ~3개 =4개 } 다음은 신라 후기의 문화에 대한 설명이다. ‘ ㈎ ’왕이 재위하던 시기에 일어난 일들로 가장 옳게 짝지어진 것은? ㈎ 왕은 각간 위홍과 승려 대구에게 명령을 내려 역대 향가를 모아 󰡔삼대목(三代目)󰡕이라는 향가집을 편찬하였는데, 지금 전하지 않는다. 그러나 다행히 󰡔삼국유사󰡕에 14수의 향가가 수록되어 있어서 향가 문학의 일부를 이해할 수 있다. ㉠ 원종·애노가 사벌주(지금의 상주)에서 반란을 일으켰다. ㉡ 김대문이『계림잡전󰡕을 비롯하여 화랑들의 전기를 모은 󰡔화랑세기󰡕, 음악에 관한『악본』을 지어 왕에게 바쳤다. ㉢ 최치원이 과거제도 등 신라 개혁안이 담긴 시무 10조를 올렸다. ㉣ 붉은 바지를 입은 도적인 적고적의 반란이 일어났다. ㉤ 왕권 경쟁에서 밀려난 김헌창이 공주를 근거지로 반란을 일으켜 국호를 장안이라고 하였다. {~㉠㉢㉤ =㉠㉢㉣ ~㉡㉣㉤ ~㉡㉢㉣} 고려 시대의 중앙 정치 조직과 그 기능을 설명한 내용 가운데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최고의 관서인 중서문하성은 문하시중이 국정을 총괄하였고, 2품 이상의 재신과 3품 이하의 낭사로 구성되었다. ~상서성은 정책을 집행하는 기능을 담당하였고, 중추원의 승선은 왕명을 출납하였으며, 추밀은 군사 기밀을 담당하였다. ~대간은 어사대의 관원과 중서문하성의 낭사를 말하며, 이들은 간쟁․봉박․서경권을 가지고 있어 정국 운영에서 견제와 균형을 도모하였다. =도병마사는 중서문하성의 재신과 중추원의 승선이 참여하여 국가의 중요한 사항을 결정하는 회의를 개최하였다. } 다음은 고려 불교의 중요한 교리와 사건을 정리한 것이다.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선종을 중심에 두고 교종의 화엄사상을 흡수하여 교선 통합을 추구하였다. ㉡ 새로이 중국에서 들어온 임제종이 불교계의 새로운 주류로 떠올랐다. ㉢ 제관과 의통이 남중국에 가서 천태학을 전하였다. ㉣ 법상종과 선종의 여러 종파의 대립을 극복하기 위해 해동천태종을 창시하였다. ㉤ 몽고와의 전쟁 중에 부처님의 힘으로 국난을 극복하고자 󰡔재조대장경󰡕을 간행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역사적 사실들을 시대 순서대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상정고금예문󰡕간행 ㉡ 일연– 󰡔삼국유사󰡕의 편찬 ㉢ 김부식– 󰡔삼국사기󰡕의 편찬 ㉣ 의천–교장도감 두어 󰡔교장󰡕을 편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의 밑줄 친 ‘ 왕 ’의 재위 기간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적절한 것은? 왕 의 명으로 이 책을 완성하였다. 그 내용은 제사에 대한 길례, 왕실의 관례와 혼례에 대한 가례, 사신접대에 대한 빈례, 군사 의식에 대한 군례, 상례의식에 대한 흉례이다. {~󰡔이륜행실도󰡕가 간행되었다. =󰡔동국여지승람󰡕이 편찬되었다. ~󰡔신찬팔도지리지󰡕가 편찬되었다. ~󰡔천상열차분야지도󰡕가 제작되었다.} 다음과 관련된 유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그는 우주만물의 본질은 순수하고 착한 형이상의 이(理)로서 모든 만물은 그 점에서 모두 착하고 평등하다고 보았다. 그런데 이가 형이하로 발현되는 것이 기(氣)로서, 기의 세계는 천차만별의 불평등으로 나타난다고 주장했다. 그의 학설은 주자의 견해를 철학적으로 심화시킨 것으로, 결과적으로 형이상학적인 원칙과 규범과 명분을 존중하는 학문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이언적의 철학을 발전시켜 주리설(主理說)을 수립하였다. =그의 학설은 성혼, 송익필, 김장생 등의 기호지방 학자들에게 주로 계승되었다. ~󰡔성학십도󰡕를 저술하여 당시 임금인 선조에게 바쳤다. ~주자의 중요한 서찰을 뽑아 󰡔주자서절요󰡕를 편찬하였다. } 다음의 밑줄 친 ‘우리 전하’가 다스리던 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계해년 겨울에 우리 전하께서 정음 28자를 처음으로 만들었다. ……물건의 형상을 본떠서 글자는 고전(古篆)을 모방하였다. ……그런 까닭으로 지혜로운 사람은 아침나절이 되기 전에 이를 이해하고, 어리석은 사람도 열흘 만에 배울 수 있게 되었다. {~백성과 더불어 즐거움을 함께 나눈다는 뜻을 가진 <여민락>이란 음악이 만들어졌다. =기전체 역사서인 󰡔고려사󰡕와 편년체 역사서인 󰡔고려사절요󰡕가 완성되어 편찬되었다. ~이종무 등이 왜구의 소굴인 대마도를 정벌하였다. ~대마도주의 청원에 따라 삼포를 개항하여 교역을 허락하였고, 계해약조를 맺어 1년에 50척으로 무역선(세견선)을 제한하였다. } 다음 중 ㉠과 ㉡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조 전랑 임명을 둘러싼 대립으로 두 파의 갈등이 표면화되어 김효원 등 신진 관료는 ㉠, 심의겸을 중심으로 한 기성관료는 ㉡이라 하여 분당(分黨)이 생기게 되었다. {~붕당(朋黨)은 학파의 대립과도 밀접한 관계가 있는데, ㉠에는 대체로 이이와 성혼 계통이 많다. ~㉡에는 광해군을 세자로 책봉하기를 건의한 정철에 대한 입장 차이로 남인과 북인의 대립이 생겼다. =훈구세력의 비리를 비판하는데 엄격했던 ㉠의 생리는 도덕적 신념을 중시한 주리파와 일치하였다. ~㉠은 인조반정을 주도하였다.} 다음은 조선 후기 실학자에 대한 설명이다. 그의 주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는 청을 왕래하면서 얻은 경험을 토대로 여러 가지 저술을 남겼다. 그는 저술 속에서 성인 남자에게 2결의 토지를 나누어 주고 병농일치의 군대조직을 제안하였다. 그리고 실옹(實翁)과 허자(虛子)의 문답형식을 빌어 지금까지 믿어온 고정관념을 상대주의 논법으로 비판하였다. {~사·농·공·상 모두에게 차등을 두어 토지를 재분배함으로써 모든 국민을 자영농으로 안정시키고자 하였다. =지구자전설을 주장하고 인간이 다른 생명체보다도 우월하지 않다는 것 등 파격적인 우주관을 피력하였다. ~영농방법의 혁신, 상업적 농업의 장려, 농기구의 개량 등 경영과 기술적인 측면의 개선을 통해 농업을 발전시키고자 하였다. ~상업에 있어서는 상인 간의 합자를 통한 경영 규모의 확대와 상인이 생산자를 고용하여 생산과 판매를 주관할 것을 주장하였다.} 조선시대 과거제도(科擧制度)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법적으로 양반에게만 응시자격이 주어졌다. ~문과와 잡과가 있으며 무과는 시행되지 않았다. =소과에 합격하면 성균관에 입학할 자격이 주어졌다. ~과거(科擧)보다 음서(蔭敍)를 통해 관직에 진출하는 것이 고관으로 승진하기가 더 쉬웠다.} 다음은 지방 행정 조직의 변화 과정에 대한 서술이다. 시대 순으로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지방의 22담로에 왕족을 파견하였다. ㉡ 군사, 행정상의 요지에 5소경을 설치하였다. ㉢ 5도에 안찰사가 파견되었으며, 북방의 국경지대에는 병마사를 파견하였다. ㉣ 모든 군현에 수령을 파견하고 전국 8도에 관찰사를 파견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중 1919년 9월에 통합된 대한민국 임시정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초대 대통령은 이승만, 국무총리에 이동휘가 임명되었다. ~3·1운동 이전에 설립되어 국내외의 3·1운동을 주도하였다. ~일본이 중·일전쟁을 일으키자 군사조직인 조선혁명군을 조직하여 무력으로 대항하였다. ~1925년 이승만을 해임시킨 뒤 두 번째로 헌법을 개정하여 주석제를 채택하였다.} 다음과 관련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1. 외국인에게 의지하지 말고, 관·민이 힘을 합하여 전제 황권을 견고하게 할 것. 2. 외국과의 이권에 관한 조약은 각 대신과 중추원 의장이 합동 날인하여 시행할 것. 3. 국가 재정은 탁지부에서 전관하고, 예산과 결산을 국민에게 공포할 것. 4. 중대 범죄를 공판하되, 피고의 인권을 존중할 것. 5. 칙임관을 임명할 때에는 정부의 자문을 받아 다수의 의견에 따를 것. 6. 정해진 규정을 실천할 것. {=자유 민권 운동과 국민 참정권 운동을 전개하였다. ~옛것을 근본으로 삼고 새것을 참고한다는 뜻을 표방하였다. ~신분 제도의 폐지와 조혼 금지 등의 악습 혁파를 주장하였다. ~장교 양성을 위해 무관학교를 설치하였다.} 다음은 19세기 말∼20세기 초 일본의 조선 침략과 우리의 대응을 서술한 내용이다. 이와 관련하여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1894년 동학농민운동은 폐정개혁안을 기치로 내걸고 일어난 반봉건, 반외세운동이었다. 이를 계기로 청·일 전쟁이 일어났고, 조선에는 김홍집 내각이 수립되어 갑오개혁을 추진했다. ㉡ 1895년 일본은 청·일 전쟁에서 승리했지만, 러시아가 주도한 삼국간섭으로 한 발짝 뒤로 물러나야 했다. 이틈에 조선조정은 배일친러정책을 표방했다. ㉢ 1895년 을미사변과 단발령을 계기로 의병운동이 일어났고, 1896년 고종은 러시아 공사관으로 피신했다. ㉣ 1897년 고종은 환궁해 대한제국을 선포하고, 광무개혁을 단행했다. ㉤ 1904년 러·일 전쟁이 일어났고, 1905년 일본이 승리했다. 1905년 일본의 강제로 을사조약이 체결되어 대한제국은 외교권을 빼앗겼다. 이에 전국적으로 의병운동이 일어났다. {~청이 조선에 파병하자 일본도 톈진조약을 내세워 즉각 대규모의 병력을 조선에 파견함으로써, 청과 일본 사이에 전쟁의 기운이 감돌았다. ~청·일 전쟁은 조선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청·일간에 일어난 전쟁이었다. 또한 을미사변은 일본이 조선의 친러세력을 차단하기 위해 일으킨 테러행위였다. ~미국은 일본과 가쓰라·태프트 밀약을 체결해 미국의 필리핀 지배를 확인받고 일본의 조선 지배를 승인했다. =러·일 전쟁은 만주와 조선의 지배권을 둘러싸고 러·일간에 일어난 전쟁이었다. 러·일 전쟁에서 영국과 미국은 러시아를 지지했다.} 다음은 어느 인물에 대한 설명이다. ‘ 그 ’와 관련이 있는 활동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그 는 경상도 밀양 출생으로 1919년 만주 길림에서 다른 12명의 동지와 함께 의열단을 결성하였다. 곧 의열단은 국내에 대규모로 폭탄을 들여와 일본 관공서를 폭파하려고 하였으며, 침략에 앞장선 일본 군인들에 대한 저격에 나섰다. 해방 후 남한 단독정부 수립에 반대하여 월북한 후 요직을 맡았다가 연안파로 몰려 숙청을 당하였다. {~북만주의 쌍성보 전투 등에서 일본군을 격퇴하였다. ~한인애국단을 조직하여 적극적인 의열 투쟁을 전개하였다. =조선민족혁명당이 이끄는 조선의용대의 일부가 한국광복군에 합류하였다. ~삼균주의 이론을 주창,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기본이념과 정책노선으로 채택되었다.} 다음은 광복 이후 민족 분단을 극복하고 통일국가를 수립하기 위한 노력에 관한 내용이다. 이를 시대 순에 따라 가장 적절하게 나열한 것은? ㉠ 7.4 남북 공동성명 발표 ㉡ 남북한 사이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협력에 관한 합의서 채택(남북기본합의서) ㉢ 민족자존과 통일번영을 위한 특별선언(7·7선언) ㉣ 6.15 남북 공동선언 발표 {~㉠ - ㉡ - ㉢ - ㉣ =㉠ - ㉢ - ㉡ - ㉣ ~㉠ - ㉡ - ㉣ - ㉢ ~㉠ - ㉣ - ㉡ - ㉢} 괄호 안에 들어갈 용어로 옳은 것은? 우리나라는 국가의 경사로운 날을 기념하기 위하여 법률로써 ( ), ( ), ( ) 등을 국경일로 정하고 있다. {=3․1절-제헌절-한글날 ~광복절-한글날-성탄절 ~현충일-개천절-광복절 ~제헌절-개천절-국군의 날} 정부 수립 이후 이승만 정부의 경제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미국과 경제 원조 협정을 체결하여 경제 안정과 시설 복구를 위한 원조를 받았다. ~귀속 재산 처리법 에 따라 일본인이 소유했던 재산과 공장 등을 민간인에게 불하하였다. =농지개혁법 을 제정하여 유상 매입, 무상 분배의 농지 개혁을 실시하였다. ~금융기관의 공공성 유지와 경영건실화를 위하여 한국은행법 과 은행법 을 제정하였다.} 다음은 삼국시대에 시행된 정책들이다. 이것이 계기가 되어 일어난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 율령 반포와 통치체제 정비 ○ 관등제 정비 ○ 불교의 수용과 공인 ○ 왕위의 부자 상속 확립 {~연맹 왕국의 유지에 주력하였다. =국가의 중앙 집권 체제가 정비되었다. ~모든 군현에 지방관을 파견하였다. ~지방에서는 호족이라 불리는 새로운 세력이 성장하였다.} 고려시대의 사회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평창은 물가 조절기관으로서 곡식과 포의 가격이 내렸을 때 사들였다가 값이 오르면 싸게 내다 팔았다. ~의창은 빈민을 도와줌으로써, 유교정치이념의 명분을 살림과 동시에 농업 재생산의 활동을 원만하게 하려는 사회정책의 일환으로 설치되었다. =동․서활인서는 유랑자의 수용과 구휼을 담당하였다. ~혜민국은 백성들의 의료를 맡아 시약(施藥)을 행하던 곳으로 고려 예종대에 설치되었다.} 일제의 인적․물적 자원 수탈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제는 만주사변 도발과 함께 국가총동원법을 제정하여 전시 동원체제를 확립하고 조선에도 이를 적용하였다. ~일제는 중국 대륙 침략과 태평양 전쟁을 감행하면서 지원병제와 징병제를 실시하여 조선의 청년들을 군인으로 동원하였다. ~군수산업에 종사할 노동자의 확보를 위해 징용제를 실시하여 조선인을 강제로 동원하였다. ~여성도 근로보국대라는 이름으로 동원하여 노동력을 착취하였다.} 다음은 조선후기 붕당정치의 전개과정에서 일어난 사건들이다. 이 가운데 남인이 집권하는 계기가 된 사건들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1차 예송논쟁 ㄴ. 2차 예송논쟁 ㄷ. 경신환국 ㄹ. 기사환국 ㅁ. 갑술환국 ㅂ. 이인좌의 난 {~ㄱ, ㅁ =ㄴ, ㄹ ~ㄱ, ㄷ, ㅁ ~ㄴ, ㄹ, ㅂ} 선사시대의 사회 생활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지상 가옥을 짓고 살았던 사람들은 청동제 농기구를 사용함 으로써 농업생산력을 한층 발전시켰다. ~신석기시대 후기 사람들은 가축을 기르기 시작하였으며, 벼농사를 지어 쌀을 주식으로 사용하였다. ~빗살무늬토기를 주로 사용하였던 사람들은 농사에서는 반달 돌칼, 전쟁에서는 세형동검을 이용하였다. =연천 전곡리의 구석기인들은 외날찍개, 주먹도끼 등을 이용하여 식량을 구하고 무리를 지어 살았다.} 다음 자료의 사건보다 늦게 일어난 사실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국채 1,300만 원은 우리 대한의 존망에 관계가 있는 것이다. 갚아 버리면 나라가 존재하고 갚지 못하면 나라가 망하는 것은 대세가 반드시 그렇게 이르는 것이다. 현재 국고에서는 이 국채를 갚아 버리기 어려운즉, 장차 삼천리 강토는 우리나라와 백성의 것이 아닌 것으로 될 위험이 있다. 토지를 한 번 잃어버리면 다시 회복하기 어려운 것이다. <보 기> ㄱ. 일본의 경원선 부설권 강탈 ㄴ. 토지조사령 반포 ㄷ. 을사조약 체결 ㄹ. 산미 증식 계획 시행 {~ㄱ, ㄴ ~ㄱ, ㄷ ~ㄴ, ㄷ =ㄴ, ㄹ} 다음 ㉠의 침입과 연관된 것만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처음 충주부사 우종주가 매양 장부와 문서로 인하여 판관 유홍익과 틈이 있었는데, ㉠ 이(가) 장차 쳐들어 온다는 말을 듣고 성 지킬 일을 의논하였다. 그런데 의견상의 차이가 있어서 우종주는 양반별초를 거느리고, 유홍익은 노군과 잡류별초를 거느리고 서로 시기하였다. ㉠ 이(가) 오자, 우종주와 유홍익은 양반 등과 함께 다 성을 버리고 도주하고, 오직 노군과 잡류만이 힘을 합쳐서 이를 쫓았다. -고려사- <보 기> ㄱ. 서경을 북진정책의 거점으로 삼고 광군이라는 부대를 조직하였다. ㄴ. 이들의 침략을 막기 위해 압록강 입구에서 도련포에 이르는 천여 리의 장성을 쌓았다. ㄷ. 황룡사 9층탑, 부인사 소장 대장경 등 많은 문화재가 불탔다. ㄹ. 개경으로의 환도를 반대하는 세력들이 진도 용장산성에 행궁을 마련하고 주변 섬을 장악하였다. {=ㄷ, ㄹ ~ㄴ, ㄹ ~ㄴ, ㄷ ~ㄱ, ㄷ} 조선 전기 과학기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세종대 경복궁에 간의대(簡儀臺)를 축조하고 간의를 설치하여 천문관측을 하였다. ~태조대 고구려의 천문도를 바탕으로 천상열차분야지도(天象列次分野之圖)를 돌에 새겼다. ~세종대 장영실 등이 물시계인 자격루(自擊漏)와 해시계인 앙부일구(仰釜日晷) 등을 제작하였다. =태종대 토지측량기구인 인지의(印地儀)와 규형(窺衡)을 제작하였다.} 다음 내용과 관련된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스스로 소성거사라 부르고 …(중략)… 방방곡곡을 돌아다니며 노래와 춤을 통해 부처의 가르침을 전하였다. 이로 말미암아 가난하고 무지몽매한 사람들까지도 부처의 이름을 알게 되었고, 나무아미타불을 외우게 되었으니 그의 교화가 자못 크다. -삼국유사- <보 기> ㄱ.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끌었다. ㄴ. 금강삼매경론을 찬술하였다. ㄷ. 교종과 선종을 통합하고자 하였다. ㄹ. 화쟁사상을 주장하였다. {~ㄱ, ㄴ =ㄴ, ㄹ ~ㄴ, ㄷ ~ㄱ, ㄹ} 밑줄 친 ‘이들’이 등장한 시기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들은 스스로 성주, 장군이라고 칭하면서 지역에서 실질적인 지배력을 행사하였다. 이들은 지방으로 낙향한 진골 귀족이나 6두품 계층, 무역에 종사하면서 재력과 무력을 키운 세력, 촌의 행정을 담당한 촌주 출신이 주를 이루었다. {~태학박사 이문진이 왕명을 받아 신집 5권을 만들었다. ~전탑 형식의 분황사탑이 세워졌다. ~북방가마의 기술이 도입되어 분청사기가 생산되었다. =선종의 영향을 받은 승탑과 탑비가 유행하였다.} 조선의 화폐유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16세기 후반까지 대체로 쌀과 면포 등 현물이 화폐로 사용되었다. ~임진왜란 시기 명군이 참전하면서 조선에서 은 유통이 활발해졌다. =효종 때 동전을 처음 주조하여 개성을 중심으로 유통시켰다. ~17세기 wE중반 이후 후금, 일본과의 교역이 확대되면서 은이 더욱 활발하게 유통되었다.} 다음의 군사 활동과 관련하여 나타난 변화로 가장 적절한 것은? 영락 9년 백제가 서약을 어기고 왜와 화통하므로 왕은 평양으로 남순(南巡)해 내려갔다. 이때 신라가 사신을 보내 왕에게 아뢰기를 “왜인들이 우리 국경에 가득 차 성을 파괴하고 있습니다. 노객은 백성된 자로서 왕에게 귀의하여 분부를 청하옵니다.”라고 하였다. …(중략)… 영락 10년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낙동강 유역에서 왜를 격퇴하였다. {~백제가 웅진으로 천도하였다. ~신라가 한강 유역으로 진출하였다. ~고구려가 한반도 남부 전체를 실질적으로 지배하였다. =금관가야는 전기 가야연맹의 주도권을 상실하였다.} 다음은 홍범 14조의 조항 일부이다. 이 발표에 따라 추진된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청에 의존하는 생각을 버리고, 자주독립의 기초를 세운다. ○ 종실, 외척의 정치 간섭을 용납하지 않는다. ○ 조세의 징수와 경비 지출은 모두 탁지아문의 관할에 속한다. ○ 문벌을 가리지 않고 인재 등용의 길을 넓힌다. <보 기> ㄱ. 재판소를 설치하여 사법권을 행정부로부터 독립시켰다. ㄴ. 지방의 군현제를 폐지하고 전국을 23부로 나누었다. ㄷ. 은본위제도와 조세금납화를 실시하였다. ㄹ. 지방의 영세상인인 보부상을 지원하기 위하여 상무사를 조직하여 상업 특권을 부여하였다. {~ㄱ, ㄴ, ㄷ ~ㄴ, ㄷ =ㄱ, ㄴ ~ㄴ, ㄷ, ㄹ} 다음은 조선 전기에 편찬된 책 서문의 일부이다. 이 책과 같은 왕대에 편찬된 책은? 우리 동방의 문(文)은 송(宋)과 원(元)의 문도 아니고 한(漢)과 당(唐)의 문도 아니며 바로 우리나라의 문입니다. 마땅히 중국 역대의 문과 나란히 천지의 사이에 행하게 하여야 합니다. …(중략)… 우리 동방의 문은 삼국시대에서 비롯하여 고려에서 번성하였고 아조(我朝)에 와서 극(極)에 이르렀습니다. 천지 기운의 성쇠와 관계된 것을 또한 알 수 있습니다. {=국조오례의 ~고려사절요 ~조선경국전 ~의방유취} 다음은 삼국시대 어느 나라 수취제도에 대한 설명이다. 이 나라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은 것은? ○ 세(稅)는 포목, 명주실과 삼, 쌀을 내었는데, 풍흉에 따라 차등을 두어 받았다. -주서- ○ 한수(漢水) 동북 여러 부락인 가운데 15세 이상된 자를 징발하여 위례성을 수리하였다. -삼국사기- {=남중국 및 왜와 무역을 활발하게 전개하였다. ~한강유역을 차지한 뒤에야 당항성을 통하여 중국과 직접 교역할 수 있게 되었다. ~승려 혜자는 쇼토쿠 태자의 스승이 되었다. ~관료전과 정전을 지급하여 토지개혁을 시도하였다.} 다음은 고려시대의 특정 사상에 대한 내용이다. 이와 관련된 사실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영암군 사람들이 전하기를 “고려 때 최씨의 뜰 가운데 오이 하나가 열렸는데, 길이가 한 자나 넘어 온 집안사람들이 자못 이상하게 여겼다. 최씨 딸이 몰래 이것을 따 먹었더니, 저절로 태기가 있어 달이 차서 아들을 낳았다. …(중략)… 이름을 도선이라 하였다.” -세종실록 지리지- <보 기> ㄱ. 보현십원가 ㄴ. 남경개창도감 ㄷ. 대화궁 건립 ㄹ. 연등회 {~ㄱ, ㄴ =ㄴ, ㄷ ~ㄴ, ㄹ ~ㄷ, ㄹ} 다음은 1910년 전후의 저술 일부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가) 고대의 불완전한 역사라도 이를 상세히 살피면, 동국주족(東國主族) 단군후예의 발달한 실제 자취가 뚜렷하거늘 무슨 까닭으로 우리 선조들을 헐뜯음이 이에 이르렀는가. (나) 옛 사람들이 말하기를 나라는 멸할 수 있으나 역사는 가히 멸할 수가 없다고 하였으니, 대개 나라는 형체이고 역사는 정신이기 때문이다. …(중략)… 오늘날 우리민족 모두가 우리조상의 피로써 골육을 삼고 우리조상의 혼으로 영혼을 삼고 있으니 우리조상은 신성한 교화가 있고 신성한 정법이 있고, 신성한 문사(文事)와 무공이 있으니, 우리민족이 그 다른 것에서 구함이 옳다고 하겠는가. 무릇 우리형제는 늘 잊지 말며 형체와 정신을 전멸시키지 말 것을 구구히 바란다. <보 기> ㄱ. (가)의 저자는 유물 사관에 입각하여 역사를 연구하였다. ㄴ. (가)의 저자는 민족정신을 ‘낭가’ 사상으로 설명하였다. ㄷ. (나)의 저자는 양기탁의 추천으로 제국신문의 주필을 지냈다. ㄹ. (나)의 저자는 1925년 대한민국 임시정부 대통령에 취임하였다. {~ㄱ, ㄹ =ㄴ, ㄹ ~ㄱ, ㄴ, ㄷ ~ㄴ, ㄷ, ㄹ} 다음 유물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색이 푸른데 사람들은 이를 비색(翡色)이라 한다. 근년에 들어와 제작이 공교해지고 광택이 더욱 아름다워졌다. 술병의 형태는 참외와 같은데, 위에는 작은 뚜껑이 있고 마치 연꽃에 엎드린 오리 모양이다. {~강진과 부안이 생산지로 유명하였다. ~왕실과 관청 및 귀족들이 주로 사용하였다. ~송나라 사신 서긍이 그 아름다움을 극찬하였다. =신라 말기 상감청자가 제작되면서 무늬가 한층 다양해졌다.} 밑줄 친 ‘이것’의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짐은 평범한 가문 출신으로 분에 넘치게 사람들의 추대를 받아 왕위에 올랐다. 재위 19년 만에 삼한을 통일하였고, 이제 왕위에 오른 지도 25년이 되었다. 몸이 이미 늙어지니, 후손들이 사사로운 인정과 욕심을 함부로 부려 나라의 기강을 어지럽게 할까 크게 걱정이 된다. 이에 이것을 지어 후대의 왕들에게 전하고자 하니, 바라건대 아침 저녁으로 펼쳐 보아 영원토록 귀감으로 삼을지어다. {=연등회와 팔관회의 행사를 축소할 것 ~풍수 지리 사상을 존중하고 서경을 중시할 것 ~간언을 따르고 참언을 멀리하여 신민의 지지를 얻을 것 ~농민의 요역과 세금을 가볍게 하여 민심을 얻고 부국 안민을 이룰 것}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가) 그 나라 혼인 풍속은 여자 나이 10살이 되기 전에 혼인 약속을 한다. 신랑 집에서는 여자를 맞이하여 다 클 때까지 길러 아내로 삼는다. (나) 큰 세력을 가진 이는 스스로 신지(臣智)라 하고, 그 다음은 읍차(邑借)라 한다. {~(가)-해마다 10월에 무천이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나)-철제 농기구를 사용하였고 벼농사를 지었다. ~(가)-대가들이 각기 사자․조의․선인을 거느렸다. ~(나)-도둑질한 자는 물건 값의 12배를 변상하게 하였다.} ㉠∼㉣에 해당하는 왕의 업적으로 옳은 것은? 고구려 ㉠ 왕 때 전진에서 승려 순도(順道)가 불상과 불경을 전하였으며, 백제는 ㉡ 왕 때 동진에서 고승 마라난타(摩羅難陀)가 불교를 전하였다. 신라의 불교는 ㉢ 왕 때 고구려에서 온 승려 묵호자가 전하고 소지왕 때 다시 고구려에서 승려 아도가 전하였으나 ㉣ 왕 때 이차돈의 순교 후 비로소 공인되었다. {~㉠-수도를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옮겼다. ~㉡-수도를 사비로 옮기고 남부여라 하였다. ~㉢-황룡사를 짓고 9층 목탑을 건립하였다. =㉣-법령을 반포하고 상대등 제도를 설치하였다.} 밑줄 친 ‘그’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임금이 교지를 내렸다. “지금 그의 제자 김일손이 찬수한 사초 내에 부도덕한 말로 선왕의 일을 터무니없이 기록하였다. …(중략)… 성덕을 속이고 논평하여 김일손으로 하여금 역사에 거짓을 쓰는 지경에까지 이르렀다.” {~조의제문을 지어 무오사화의 원인이 되었다. ~길재의 학통을 잇고 세조 대에 정계에 나아갔다. ~제자들이 과거를 통해 주로 삼사 언관직에 진출하였다. =국가의 여러 행사 규범을 담은 국조오례의 편찬에 관여하였다.} (가),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가) 어른과 아이(父老子弟)와 공사천민(公私賤民)은 모두 이 격문을 들어라. 무릇 관서는 기자와 단군 시조의 옛터로, 훌륭한 인물이 넘친다. …(중략)… 그러나 조정에서 서토(西土)를 버림이 분토(糞土)나 다름없이 한다. (나) 금번 난민이 소동을 일으킨 것은 오로지 전 우병사 백낙신이 탐욕을 부려서 수탈하였기 때문입니다. 병영에서 포탈한 환곡과 전세 6만 냥을 집집마다 배정하여 억지로 받으려 하였습니다. {~(가)-금광 경영이나 인삼 무역으로 자금을 마련하였다. =(나)-노비 문서의 소각과 탐관오리의 엄징을 요구하였다. ~(가)-세도 정권과 특권 어용상인에 대한 불만을 표출하였다. ~(나)-조정은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여 세제 개혁을 약속하였다.} 다음 상소문을 올린 인물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저들의 욕심은 물화를 교역하는 데 있습니다. …(중략)… 저들이 비록 왜인이라고는 하지만 본질적으로는 서양 오랑캐와 다를 것이 없습니다. 강화가 이루어지면 사악한 서적과 천주교가 다시 들어와 나쁜 기운이 온 나라를 덮게 될 것입니다. {=의병 운동을 주도했으며 대마도에서 순국하였다. ~왕궁, 일본 공사관, 민씨 일족을 습격하고 대원군을 옹립하고자 하였다. ~조선책략의 내용을 비난하고 이것을 가져온 김홍집의 처벌을 요구하였다. ~화서아언에서 프랑스와의 통상을 반대하고 서양세력과 끝까지 항전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조선총독부의 ‘문화 통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조선인의 협력을 부르짖는 국민총력운동을 전개하였다. ~민족운동을 탄압하고자 치안유지법을 조선에도 적용하였다. ~조선인 계통의 신문인 조선일보, 동아일보의 발행을 허가하였다. ~친일파 양성을 겨냥하여 도 평의회와 부․면 협의회를 만들었다.} 다음 격문을 발표한 인물들이 추진했던 사실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우리는 비록 초야에 묻힌 백성이지만, 임금의 땅에서 나는 곡식을 먹고, 임금의 옷을 입고 사는 사람이라, 어찌 국가의 위망을 앉아서 보겠는가. 팔로(八路)가 마음을 합하고 억조창생(億兆蒼生)이 뜻을 모아 이제 의로운 깃발을 들어, 나라를 보존하고 백성을 편안히 하는 것이다. -호남창의문- {=사창제 실시와 양전 사업을 주장하였다. ~봉기군을 이끌고 황토현에서 관군과 교전하였다. ~고부읍을 점령하고 백산에서 농민군을 정비하였다. ~삼정의 문란을 비판하고 전운사를 혁파하려 하였다.} 밑줄 친 ‘합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쌍방 사이의 관계가 나라와 나라 사이의 관계가 아닌 통일을 지향하는 과정에서 잠정적으로 형성되는 특수 관계라는 것을 인정하고, 평화통일을 성취하기 위한 공동의 노력을 경주할 것을 다짐하면서, 다음과 같이 합의하였다. 제1조 남과 북은 서로 상대방의 체제를 인정하고 존중한다. <보 기> ㄱ. 남북의 정상이 만나서 약속한 것이다. ㄴ. 남북이 동시에 유엔에 가입하는 계기가 되었다. ㄷ. 군사 당국자 간의 직통 전화를 가설하기로 하였다. ㄹ. 남북 불가침을 위한 남북 군사공동위원회 설치를 명시하였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밑줄 친 ‘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국왕의 명령을 받아 편찬한 기전체 사서로 편찬 동기를 “학사대부(學士大夫)가 우리 역사를 알지 못하니 유감이다. 중국 사서는 우리나라 사실을 간략히 적었고 고기(古記)는 내용이 졸렬하므로 왕, 신하, 백성의 잘잘못을 가려 규범을 후세에 남기지 못하고 있다”라고 하였다. 연표 3권, 본기 28권, 지 9권, 열전 10권 등 총 50권으로 구성되었다. {~민간 설화와 신라의 향가 11수를 수록하였다. =열전에는 김유신을 비롯한 신라인이 편중되었다. ~동명왕의 건국 설화를 5언시체로 재구성하여 서술하였다. ~민족 시조인 단군을 강조하고 발해에 대한 내용을 서술하였다.} 밑줄 친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여야 합의하에 조속히 대통령 직선제 개헌을 하고, ㉠새 헌법에 의한 대통령 선거를 통해 평화적 정부 이양을 실현토록 해야겠습니다. 오늘 이 시점에서 저는 사회적 혼란을 극복하고 국민적 화해를 이룩하기 위하여는, ㉡대통령 직선제를 택하지 않을 수 없다는 결론에 이르게 되었습니다. {~㉠-노태우 정부 시기에 공포되었다. ~㉡-사사오입 개헌으로 시작되었다. ~㉠-4․13 호헌 조치로 효력을 유지하였다. =㉡-6․10 민주 항쟁의 결실이었다.} (가), (나) 시대의 사회상과 유적이 바르게 연결된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동물의 뼈나 뿔로 만든 뼈 도구와 뗀 석기를 가지고 사냥과 채집을 하면서 생활하였다. (나) 고인돌이 만들어지고 계급이 형성되는 한편 군장국가가 등장하였다. <보 기> ㄱ. (가)-동굴 유적지로 덕천 승리산, 제천 점말, 청원 두루봉이 있다. ㄴ. (나)-금속을 다루는 전문 장인이 나타나고 사유 재산 제도가 발달하였다. ㄷ. (가)-반달 돌칼과 구멍 뚫린 돌자귀를 만들어 농경에 활용하였다. ㄹ. (나)-서울 암사동과 황해도 봉산 지탑리가 주요 유적지이다. {=ㄱ, ㄴ ~ㄱ, ㄷ ~ㄴ, ㄹ ~ㄷ, ㄹ} 다음 자료에 나타난 정책이 시행된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양역의 폐단이 심하여 백성들이 살 수 없을 지경이니 이제 군포를 영구히 1필로 감한다. 부족해진 재정은 어장과 선박에 대한 세금을 국가에서 거두고, 선무군관에게서 1필씩 거두어 보충하도록 한다. {~결작세가 신설되면서 부담이 농민에게 전가되었다. ~호포제가 실시되었지만 백성의 부담은 여전하였다. ~신해통공으로 상업 활동이 늘면서 군포 부과 대상이 줄었다. =감영과 병영이 독자적으로 군포를 거두면서 군포 부담이 증가하였다.} 밑줄 친 ‘그’의 활동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그가 글을 올리기를 “이의민은 성품이 사납고 잔인하여 윗사람을 업신여기고 아랫사람을 능멸했습니다. … (중략) … 원컨대 폐하께서는 태조의 바른 법을 따라서 이를 행하여 빛나게 중흥하소서. 이에 삼가 열 가지 일을 조목별로 아룁니다.” <보 기> ㄱ. 재조 대장경의 조판을 주도하였다. ㄴ. 순천의 수선사 결사 운동을 지원하였다. ㄷ. 금속 활자본인 남명천화상송증도가의 발문을 지었다. ㄹ. 문인 이규보를 발탁하여 그의 행정 능력을 활용하였다. {~ㄱ, ㄴ ~ㄱ, ㄷ =ㄴ, ㄹ ~ㄷ, ㄹ} 다음 강령을 채택한 단체의 활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우리는 조선 민족의 정치적 경제적 해방의 실현을 도모한다. ○ 우리는 전 민족의 총역량을 집중하여 민족적 대표기관이 되기를 기한다. ○ 우리는 일체의 개량주의 운동을 배척하여 전 민족의 현실적인 공동 이익을 위하여 투쟁한다. {~동양척식주식회사를 폐지하자고 하였다. =의무 교육제와 고등교육기관 설립을 주장하였다. ~노동운동과 연계하여 최저 임금제를 요구하였다. ~여성의 법률상 및 사회적 차별을 없애자고 하였다.}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사회․경제적 상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당나라 소종 황제가 중흥을 이룰 때, 전쟁과 흉년이라는 두 가지 재앙이 서쪽에서 그치고 동쪽으로 오니 굶어서 죽고 전쟁으로 죽은 시체가 들판에 별처럼 늘어 있었다. -해인사 묘길상탑기- {~당나라와 계속되는 전쟁으로 인하여 국가의 재정이 악화되었다. ~왕실이 차지하는 농장은 장․처라 불리었는데 그 수는 360개나 되었다. =성주 또는 장군이라 칭한 이들이 지방 행정을 장악하고 조세를 징수하였다. ~관료에게 관료전을 주고 녹읍을 폐지하는 대신 세조(歲租)를 차등 지급하였다.} 다음 법령을 만든 개화파 내각의 개혁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제1조 소학교는 아동의 신체 발달에 맞추어 인민 교육의 기초와 생활상 필요한 보통 지식과 기능을 가르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 소학교는 관립 소학교․공립 소학교․사립 소학교 등의 3종이며, 관립 소학교는 정부 설립, 공립 소학교는 부(府) 혹은 군(郡) 설립, 사립 소학교는 사립 학교 설립과 관계된 것을 말한다. -소학교령- <보 기> ㄱ. 건양이라는 연호를 제정하였다. ㄴ. 조․일 무역 규칙을 개정하였다. ㄷ. 서울에 친위대를, 지방에 진위대를 두었다. ㄹ. 단발령을 폐지하고 의정부를 다시 설치하였다. {~ㄱ, ㄴ =ㄱ, ㄷ ~ㄴ, ㄹ ~ㄷ, ㄹ} 조선시대 관계(官階)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관료의 품계는 정 1품에서 종 9품까지 18등급으로 하였다. ~행수 제도를 마련하여 가능한 관직과 관계가 일치되도록 하였다. =정 7품 이하는 참하관이라 하며, 목민관인 수령에 임용하였다. ~정 3품 통정대부 이상은 당상관이라 하며,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논의하였다.} 밑줄 친 ‘이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이 나라는 토지가 척박하고 곡식이 넉넉하지 못하여 백성들은 근검․절약하면서도 집 가꾸기를 즐겨하였다. …(중략)… 본래 연노부를 비롯한 5족이 있었는데, 처음에는 연노부에서 왕이 나왔으나 뒤에는 계루부가 대신하였다. …(중략)… 큰 창고는 없지만 집집마다 작은 창고가 있으니, 이를 부경(桴京)이라 불렀다. {~영고라는 제천 행사가 있었다. =서옥제라는 혼인 풍속이 있었다. ~특산물로 단궁, 반어피 등이 유명하였다. ~읍군, 삼로 등의 군장이 읍락을 다스렸다.} 다음 밑줄 친 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왕은 예기에 있는 구절 중 “신의가 있고 아첨하지 않는 것은 군자의 공정한 마음이요, 아첨하고 신의가 없는 것은 소인의 사사로운 마음이다(周而弗比乃君子之公心比而弗周寔小人之私意)”라는 부분을 친서하여 비에 새겨 성균관에 세웠다. {~속대전을 편찬하여 법전 체계를 정비하였다. ~군역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균역법을 시행하였다. ~붕당을 없애자는 논리에 동의하는 탕평파를 중심으로 정국을 운영하였다. =각 붕당의 주장이 옳은지 그른지를 명백히 가리는 준론탕평(峻論蕩平)을 추진하였다. } 조선 전기의 농업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밭농사는 조, 보리, 콩의 2년 3작이 행해졌다. =풍년이건 흉년이건 관계없이 전세를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고정시켰다. ~시비법도 발달하여 밑거름과 덧거름을 주게 되면서, 경작지를 묵히지 않고 계속해서 농사지을 수 있었다. ~우리나라 풍토에 맞는 씨앗의 저장법, 모내기법 등 농민의 실제 경험을 종합하여 농서를 편찬하였다.} 조선 후기 상공업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상품 화폐 경제가 발달하면서 교환의 매개 수단으로 조선 통보 등 동전이 자연스럽게 전국적으로 유통되었다. ~경강상인들은 운송업에 종사하면서, 선박 건조 등 생산 분야에 진출하기도 하였다. ~남부지방에서 개설되기 시작한 장시는 18세기 중엽에 이르러 1,000여 개소로 늘어났다. ~국제 무역에서 사무역이 허용되면서, 개성의 송상, 의주의 만상 등이 무역을 통해 재화를 많이 축적하였다. } 조선 전기 과학과 기술의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화약무기 제작과 그 사용법을 정리하여 총통등록을 편찬 하였다. ~우리 풍토에 적당한 약재와 치료법을 정리하여 향약집성방을 편찬하였다. ~중국의 수시력과 아라비아의 회회력을 참고하여 역법서인 칠정산을 편찬하였다. =벼농사 중심의 농업을 소개하고, 이앙법의 보급을 돕기 위해 농서인 농가집성을 편찬하였다. } 우리 역사에서 다음과 같은 독자적 연호를 사용했던 왕대의 사실로 옳지 않은 것은? ㄱ. 영락 ㄴ. 건원 ㄷ. 대흥, 보력 ㄹ. 광덕, 준풍 {~ㄱ-고구려는 후연을 격파하여 요동 땅을 차지하였다. =ㄴ-신라는 고령의 대가야를 정복하여 낙동강 서쪽을 장악 하였다. ~ㄷ-발해는 당과 화친을 맺고 당의 문물을 받아들여 체제를 정비하였다. ~ㄹ-고려는 후주 및 송과 친선 관계를 유지하며 선진 문물을 수입하는 데 힘썼다.} 밑줄 친 ‘이 무덤’이 발견된 지역과 관련된 역사적 사실로 옳은 것은? 1971년 배수로 공사 중에 우연히 발견한 이 무덤은 중국 남조의 영향을 크게 받아 연꽃 등 우아하고 화려한 백제 특유의 무늬를 새긴 벽돌로 내부를 쌓았다. 무덤 속에서 무덤 주인공의 지석이 발견되었고, 각종 장신구와 금관 장식 등 3,000여 점의 껴묻거리가 출토되었다. {=동학 농민군이 일본군과 싸웠으나 패하였다. ~김윤후가 이끈 민병과 승군이 몽고의 살리타 군대를 물리쳤다. ~백정들이 형평사를 창립하고 평등한 대우를 요구하는 형평 운동을 시작하였다. ~조선왕조실록을 보관하는 사고(史庫)가 설치되었으나 임진 왜란 때 소실되었다.} ㉠과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고종 5년(1218) 금나라의 지배를 받던 ㉠ 이(가) 난을 일으켜 고려에 침입하였다. 김취려가 지휘하던 고려군은 강동성에서 ㉡ 과(와) 연합하여 ㉠ 을(를) 토벌하였다. 이에 고려와 ㉡ 은(는) 형제의 맹약을 맺었다. {~㉠의 위협에 대비하기 위해 고려는 별무반을 편성하였다. ~㉠의 요구에 따라 인종 때 이자겸은 이들과 군신 관계를 맺고자 하였다. =㉡에 항전하기 위해 고려는 수도를 강화도로 옮겼다. ~㉡은 강동6주를 자신들에게 넘겨달라고 고려에 요청하였다. }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 변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수령을 중심으로 한 관권이 강화되었다. ~향촌에서 영향력을 행사하던 양반은 새로 성장한 부농층의 도전을 받았다. =서얼은 집단 상소하여 여러 차례 신분상승을 시도하였으나, 여전히 관직에 진출할 수 없었다. ~아들이 없는 집안에서 양자를 들이는 것이 일반화되었으며, 부계 위주의 족보도 적극적으로 편찬되었다. } 다음 자료의 글이 새겨져 있는 그릇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을묘년국강상광개토지호태왕호우십(乙卯年國岡上廣開土地好太王壺杅十) <보 기> ㄱ. 고구려의 광개토대왕 때 만들어진 유물이다. ㄴ. 신라가 반포한 율령의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 ㄷ. 신라의 수도였던 경주의 한 무덤에서 발견되었다. ㄹ. 5세기 초의 신라와 고구려의 관계를 알 수 있게 해주는 유물이다. {~ㄱ, ㄴ =ㄷ, ㄹ ~ㄱ, ㄷ, ㄹ ~ㄴ, ㄷ, ㄹ} 남북국 시대의 경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발해의 수취 제도는 조세, 공물, 요역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발해는 당으로부터 비단, 서적 등을 수입하고, 말과 자기 등을 수출하였다. =삼국 통일 후 비약적인 경제 발전으로 신라의 수도 경주에 처음으로 시장이 설치되었다. ~삼국 통일 후에도 신라에서는 시비법이 발달하지 못하여 같은 토지를 해마다 경작할 수 없었다. } ㉠∼㉣에 들어갈 토지를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고려는 일찍이 태조 때에 ㉠ 을 나누어 주었는데, 이것은 후삼국 통일 과정에서 공을 세운 사람들에게 준 토지였다. 이후 전시과 제도를 만들어 문무 관리로부터 군인․한인에 이르기까지 18등급으로 나누어 곡물을 수취할 수 있는 전지와 땔감을 얻을 수 있는 시지를 주었다. …(중략)… 관리에게 보수로 주던 과전과 달리 문벌 귀족의 세습적인 경제 기반이 되었던 것은 ㉡ 이었다. 또 6품 이하 하급 관료의 자제로서 관직에 오르지 못한 사람에게는 ㉢ 을 지급하였으며, 하급 관료와 군인의 유가족에게는 ㉣ 을 지급하여 생활 대책을 마련해 주었다. ㉠ ㉡ ㉢ ㉣ {=역분전 공음전 한인전 구분전 ~역분전 공음전 구분전 한인전 ~공신전 역분전 구분전 한인전 ~공신전 역분전 한인전 구분전} 다음 자료와 같은 주장을 내세운 고려시대의 민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경인․계사년 이후로 높은 벼슬이 천한 사람에게서 많이 나왔다. 공경장상(公卿將相)의 씨가 어찌 따로 있으랴. 때가 오면 누구나 할 수 있는 것이다. 우리들만 어찌 육체를 괴롭히면서 채찍 밑에서 곤욕을 당할 수 있겠는가. …(중략)… 각자 그 주인을 죽이고 천민의 문서를 불살라 삼한에서 천인을 없애버리면, 우리 모두가 공경장상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운문에서 난을 일으킨 후 초전의 효심과 연합하여 정부군과 대결하였다. ~전주의 군인들이 관노(官奴)들과 함께 난을 일으켜 전주를 40일 동안 점령하였다. ~공주 명학소에서 난을 일으켜 청주, 아산 일대까지 함락하고 개경을 향해 북진하였다. =개경의 노비들이 서로 연락하여 난을 일으키려 하였으나 사전에 발각되어 실패하였다.} 다음 격문과 관련이 있는 역사적 사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조정에서는 관서를 버림이 분토(糞土)와 다름없다. …(중략)… 지금 임금이 나이가 어린 까닭으로 권세 있는 간신배가 그 세를 날로 떨치고, 김조순․박종경의 무리가 국가 권력을 오로지 갖고 노니, 어진 하늘이 재앙을 내린다. {~살아 있는 미륵불을 자처하면서 서민을 현혹시켜 끌어 모았다. ~사회의 모순을 극복하고, 일본과 서양국가의 침략을 막아내자는 주장을 강하게 폈다. =선천, 정주 등을 별다른 저항 없이 점거하고, 한때 청천강 이북 지역을 거의 장악하였다. ~농민들은 탐관오리와 토호의 탐학에 저항하여 진주성을 점령하기도 하였다. } 해방 직후 정치 동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여운형은 조선공산당을 재건하고, 조선인민공화국의 수립을 선포하였다. ~송진우, 김성수 등은 한국민주당을 결성하여 미군정에 적극 참여하였다. ~미국에서 귀국한 이승만은 독립촉성중앙협의회를 조직하여 정치활동을 전개하였다. ~김구, 김규식 등은 단독 선거를 반대하였고, 북한과의 협상을 통해 남북 분단을 막으려 하였다. } 조선 초기의 정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실시된 순서에 따라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홍문관의 설치로 언론기능이 강화되었다. ㄴ. 도평의사사를 폐지하고 의정부를 설치하였다. ㄷ. 한양으로 수도를 옮기고, 경복궁, 종묘 등을 건설하였다. ㄹ. 육조직계제(六曹直啓制)를 시행하였다. {~ㄴ→ㄱ→ㄷ→ㄹ ~ㄴ→ㄷ→ㄱ→ㄹ =ㄷ→ㄴ→ㄹ→ㄱ ~ㄷ→ㄹ→ㄴ→ㄱ} 1920년대 만주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된 무장독립전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독립군은 연합하여 봉오동 전투, 청산리 전투에서 커다란 전과를 올렸다. =경학사와 부민단을 만들고, 신흥 강습소를 세워 독립군 간부를 양성하였다. ~독립 운동 단체 간에 새로운 통합의 기운이 일어나 참의부, 정의부, 신민부가 만들어졌다. ~일제는 독립군의 근거지를 소탕한다는 명분 아래 독립군은 물론 조선인 양민을 학살하는 간도 참변을 일으켰다. } 1905년 이후 애국계몽운동의 동향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제의 탄압이 강화되자, 해외 독립군 기지 건설을 추진하였다. =자주 국권, 자유 민권, 자강 개혁 등을 내세우며 의회 설치 운동을 전개하였다. ~대한자강회를 만들어 전국에 25개의 지회를 두고, 교육 문화 운동을 추진하였다. ~비밀리에 신민회를 조직하고, 대성학교, 오산학교 등을 세워 신교육과 신사상을 보급하였다. } 고려시대에 편찬된 역사서에 대한 설명이다. 편찬된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삼국의 역사를 유교적 합리주의 사관에 기초하여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ㄴ. 우리 고유의 문화와 전통을 중시하고 단군의 건국 이야기를 수록하였다. ㄷ. 고구려의 건국 영웅을 칭송한 영웅 서사시로서 고구려 계승의식을 반영하고 있다. ㄹ. 태조에서 목종에 이르는 역대 국왕의 치적을 기록한 것이나 지금은 남아 있지 않다. {~ㄱ→ㄹ→ㄴ→ㄷ ~ㄱ→ㄹ→ㄷ→ㄴ ~ㄹ→ㄱ→ㄴ→ㄷ =ㄹ→ㄱ→ㄷ→ㄴ} (가), (나)의 밑줄 친 ‘그’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가) 그는 황소의 난을 토벌해야 한다는 격문으로 당에서 뛰어난 문장 솜씨를 인정받았다. 고국인 신라로 돌아 와서 진성여왕에게 시무상소(時務上疏)를 올리기도 하였으나, 결국 현실 정치를 극복하지 못하고 관직을 버린 채 해인사에 은둔하였다가 생애를 마쳤다고 한다. (나) 하루는 그가 같이 공부하는 사람 10여 인과 약속하기를, “마땅히 명예와 이익을 버리고 산림에 은둔하여 같은 모임을 맺도록 하자. 항상 선(禪)을 익히고 지혜를 고르는 데 힘쓰고, 예불하고 경전을 읽으며 힘들여 일하는 것에 이르기까지 각자 맡은 바 임무에 따라 경영한다. 인연에 따라 성품을 수양하고 평생을 호방 하게 고귀한 이들의 드높은 행동을 좇아 따른다면 어찌 통쾌하지 않겠는가?”라고 하였다. <보 기> ㄱ. (가)-벼슬이 5관등의 대아찬까지 올랐다. ㄴ. (가)-제왕연대력, 계원필경 등을 저술하였다. ㄷ. (나)-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포섭하여 선종과 교종의 융합을 추구하였다. ㄹ. (나)-강진의 백련사를 중심으로 새로운 불교 운동인 결사(結社)를 조직하였다. {~ㄱ, ㄷ ~ㄱ, ㄹ =ㄴ, ㄷ ~ㄴ, ㄹ} 다음 유물이 만들어진 시대의 사회상으로 옳은 것은? ○ 충북 청주 산성동 출토 가락바퀴 ○ 경남 통영 연대도 출토 치레걸이 ○ 인천 옹진 소야도 출토 조개 껍데기 가면 ○ 강원 양양 오산리 출토 사람 얼굴 조각상 {~한자의 전래로 붓이 사용되었다. ~무덤은 일반적으로 고인돌이 사용되었다. =조, 피 등을 재배하는 농경이 시작되었다. ~반량전, 오수전 등의 중국 화폐가 사용되었다. } 통일신라시대 민정문서(장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인구, 가호, 노비 및 소와 말의 증감까지 매년 작성하였다. ~토지에는 연수유전답, 촌주위답, 내시령답이 포함되어 있다. ~사람은 남녀로 나누고, 연령을 기준으로 하여 6등급으로 구분하였다. ~호(戶)는 상상호(上上戶)에서 하하호(下下戶)까지 9등급으로 구분하였다. }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나는 도(道)를 구하는 데 뜻을 두어 덕이 높은 스승을 두루 찾아다녔다. 그러다가 진수대법사 문하에서 교관(敎觀)을 대강 배웠다. 법사께서는 강의하다가 쉬는 시간에도 늘 “관(觀)도 배우지 않을 수 없고, 경(經)도 배우지 않을 수 없다.”라고 제자들에게 훈시하였다. 내가 교관에 마음을 다 쏟는 까닭은 이 말에 깊이 감복하였기 때문이다.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이론과 실천의 양면을 강조하였다. ~교종의 입장에서 선종을 통합하였다. =정혜쌍수로 대표되는 결사운동을 일으켰다. } 다음 활동을 전개한 단체로 옳은 것은? 평양 대성학교와 정주 오산학교를 설립하였고 민족 자본을 일으키기 위해 평양에 자기 회사를 세웠다. 또한 민중 계몽을 위해 태극 서관을 운영하여 출판물을 간행하였다. 그리고 장기적인 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하여 독립전쟁을 수행할 목적으로 국외에 독립운동 기지 건설을 추진하였다. {~보안회 =신민회 ~대한 자강회 ~대한 광복회}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른바 3대 문제는 무엇인가. 첫째는 유교계의 정신이 오로지 제왕측에 있고, 인민 사회에 보급할 정신이 부족함이오, 둘째는 여러 나라를 돌아다니면서 천하를 변혁하려 하는 정신을 강구하지 않고, 내가 동몽(童蒙)을 찾는 것이 아니라 동몽이 나를 찾는다는 생각을 간직함이오, 셋째는 우리 대한의 유가에서 쉽고 정확한 법문을 구하지 아니하고 질질 끌고 되어 가는 대로 내버려 두는 공부만을 숭상함이다. {~‘조선심’의 개념을 중시하고 한글을 그 결정체로 보았다. ~‘5천년간 조선의 얼’이라는 글을 써서 민족 정신을 고취하였다. =실천적인 새로운 유교 정신을 강조하는 유교구신론을 주장하였다. ~3․1운동 때 민족 대표 33인의 한 사람이며, 일제의 사찰령에 반대하였다. } (가)∼(다)는 고려시대 대외관계와 관련된 자료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윤관이 “신이 여진에게 패한 이유는 여진군은 기병인데 우리는 보병이라 대적할 수 없었기 때문입니다.”라고 아뢰었다. (나) 서희가 소손녕에게 “우리나라는 고구려의 옛 땅이오. 그러므로 국호를 고려라 하고 평양에 도읍하였으니, 만일 영토의 경계로 따진다면, 그대 나라의 동경이 모두 우리 경내에 있거늘 어찌 침식이라 하리요.” 라고 주장하였다. (다) 유승단이 “성곽을 버리며 종사를 버리고, 바다 가운데 있는 섬에 숨어 엎드려 구차히 세월을 보내면서, 변두리의 백성으로 하여금 장정은 칼날과 화살 끝에 다 없어지게 하고, 노약자들은 노예가 되게 함은 국가를 위한 좋은 계책이 아닙니다.”라고 반대하였다. {~(가)→(나)→(다) =(나)→(가)→(다) ~(나)→(다)→(가) ~(다)→(나)→(가) } 조선 후기 예송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갑인예송에서 남인은 조대비가 9개월복의 상복을 입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기해예송은 서인의 주장대로 조대비가 효종을 위해 1년복을 입는 것으로 결정되었다. ~기해예송은 효종이 사망하자 조대비가 상복을 3년복으로 입을 것인가, 1년복으로 입을 것인가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갑인예송은 효종비가 사망하자 조대비가 상복을 1년복으로 입을 것인가, 9개월복으로 입을 것인가를 둘러싸고 일어났다. } 다음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제 이 도(圖)와 해설을 만들어 겨우 열 폭밖에 되지 않는 종이에 풀어 놓았습니다만, 이것을 생각하고 익혀서 평소에 조용히 혼자 계실 때에 공부하소서. 도(道)가 이룩되고 성인이 되는 요체와 근본을 바로잡아 나라를 다스리는 근원이 모두 여기에 갖추어져 있사오니, 오직 전하께서는 이에 유의하시어 여러 번 반복하여 공부하소서. {=일본의 성리학 발전에 크게 영향을 끼쳤다. ~방납의 폐단을 개선하기 위해 수미법을 주장하였다. ~노장 사상을 포용하고 학문의 실천성을 강조하였다. ~성리학을 중심에 두면서도 양명학의 심성론을 인정하였다. } 다음은 일제 강점기 국외 독립운동에 관한 사실들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지청천을 총사령으로 하는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다. ㄴ. 블라디보스토크에서 이상설, 이동휘 등이 중심이 된 대한 광복군 정부가 수립되었다. ㄷ. 홍범도가 이끄는 대한 독립군을 비롯한 연합 부대는 봉오동 전투에서 대승을 거두었다. ㄹ. 양세봉이 이끄는 조선 혁명군은 중국 의용군과 연합하여 영릉가 전투에서 일본군을 무찔렀다. {~ㄱ→ㄹ→ㄴ→ㄷ =ㄴ→ㄷ→ㄹ→ㄱ ~ㄷ→ㄴ→ㄹ→ㄱ ~ㄹ→ㄷ→ㄱ→ㄴ} 삼국시대 금석문 자료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호우총 출토 청동 호우의 존재를 통해 신라와 고구려 관계를 살펴볼 수 있다. ~사택지적비를 통해 당시 백제가 도가(道家)에 대한 이해를 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울진 봉평리 신라비를 통해 신라가 동해안의 북쪽 방면으로 세력을 확장하였음을 알 수 있다. =충주 고구려비(중원 고구려비)를 통해 신라가 고구려에게 자신을 ‘동이(東夷)’라고 낮추어 표현했음을 알 수 있다. } (가), (나)의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살인자는 사형에 처하고 그 가족은 노비로 삼았다. 도둑질을 하면 12배로 변상케 했다. 남녀 간에 음란한 짓을 하거나 부인이 투기하면 모두 죽였다. 투기하는 것을 더욱 미워하여, 죽이고 나서 시체를 산 위에 버려서 썩게 했다. 친정에서 시체를 가져가려면 소와 말을 바쳐야 했다. (나) 귀신을 믿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 세워 천신에 대한 제사를 주관하게 했다. 이를 천군이라 했다. 여러 국(國)에는 각각 소도라고 하는 별읍이 있었다.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겼다. 다른 지역에서 거기로 도망쳐 온 사람은 누구든 돌려 보내지 않았다. - 삼국지 - <보 기> ㄱ. (가)-왕 아래에는 상가, 고추가 등의 대가가 있었다. ㄴ. (가)-농사가 흉년이 들면 국왕을 바꾸거나 죽이기도 하였다. ㄷ. (나)-제천 행사는 5월과 10월의 계절제로 구성되어 있었다. ㄹ. (나)-동이(東夷) 지역에서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라 기록되어 있었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다음 중 해외로 유출된 우리 문화재는? {~신윤복의 미인도 =안견의 몽유도원도 ~정선의 인왕제색도 ~강희안의 고사관수도} 조선시대 의궤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왕실의 행사에 사용된 도구, 복식 등을 그림으로 남겨 놓았다. ~이두와 차자(借字) 및 우리의 고유한 한자어(漢字語) 연구에도 귀중한 자료이다. ~왕실 혼례와 장례, 궁중의 잔치, 국왕의 행차 등 국가의 중요한 행사를 기록하였다. =프랑스 국립도서관에는 신미양요 때 프랑스군이 약탈해 간 어람용 의궤가 소장되어 있다. } 밑줄 친 ‘나’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가 기다리던 해방은 우리 국토를 양분하였으며, 앞으로는 그것을 영원히 양국의 영토로 만들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가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의 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정부를 세우는 데에는 협력하지 아니하겠다. {=통일 정부 수립을 위한 남북 협상을 추진하였다. ~한국 민주당을 결성하여 미군정에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미국에서 귀국한 후 독립 촉성 중앙 협의회를 구성하였다.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를 조직하고 위원장으로 활동하였다. } (가), (나) 국왕의 재위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르면? (가) 대조영의 뒤를 이어 즉위하였다. 영토 확장에 힘을 기울여 동북방의 여러 세력을 복속하고 북만주 일대를 장악하였다. (나) 대부분의 말갈족을 복속시키고, 요동 지역으로 진출 하였다. 이후 전성기를 맞은 발해를 중국에서는 해동 성국(海東盛國)이라고 불렀다. <보 기> ㄱ. (가)-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겼다. ㄴ. (가)-장문휴가 수군을 이끌고 당(唐)의 산둥(山東) 지방을 공격하였다. ㄷ. (나)-‘건흥’ 연호를 사용하고, 지방 행정 조직을 정비 하였다. ㄹ. (나)-당시 국왕을 ‘대왕’이라 표현한 정혜공주의 묘비가 만들어졌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다음에서 서술하고 있는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인물을 중심으로 한 도적 무리는 조선 전기 도적 가운데 그 세력이 가장 컸으며, 명종 14년부터 명종 17년까지 주로 활동하였다. 이들이 거점으로 삼았던 지역은 백정들이 많이 사는 지역과 공물이 운송되며 사신들의 왕래가 빈번 하여 농민들의 부담이 무거웠던 역촌(驛村) 지대 및 주변에 갈대밭이 많은 곳 등이었다. 이들은 이러한 곳을 거점으로 약탈․살인․방화를 서슴지 않았다. {~광대 출신으로 승려 세력과 함께 봉기하여 서울로 들어가려고 하였다. ~허균이 이 인물을 주인공으로 하여 정치의 부패상을 비판한 소설을 썼다. =황해도를 중심으로 경기․강원․평안․함경도 주변 지역에서 활동하였다. ~대동계라는 비밀결사를 조직하여 새 왕조를 세우려는 역성 혁명을 꿈꾸었다.} (가), (나)는 조선이 외국과 맺은 조약이다. 이와 관련한 설명 중 옳은 것은? (가) ○ 조선국은 자주국으로 일본국과 평등한 권리를 보유한다. ○ 경기, 충청, 전라, 경상, 함경 5도 연해 중에서 통상하기 편리한 항구 두 곳을 택하여 지정한다. (나) 이 수륙 무역 장정은 중국이 속방(屬邦)을 우대하는 뜻에서 상정한 것이고, 각 대등 국가 간의 일체 동등한 혜택을 받는 예와는 다르다. {=(가)는 ‘운요호 사건’ 이후 체결된 것이다. ~(가)에는 일본 상인의 내지 통상권에 대한 허가가 규정되어 있다. ~(나)는 갑신정변 이후 체결된 것이다. ~(나)에는 천주교의 포교권 인정이 규정되어 있다. } 다음 선언을 지침으로 삼았던 애국 단체의 활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는 ‘외교’, ‘준비’ 등의 미련한 꿈을 버리고 민중 직접 혁명의 수단을 취함을 선언하노라. 조선 민족의 생존을 유지 하자면 강도 일본을 내쫓을지며, 강도 일본을 내쫓을지면 오직 혁명으로써 할 뿐이니, 혁명이 아니고는 강도 일본을 내쫓을 방법이 없는 바이다. {~이재명이 이완용을 습격해 중상을 입혔다. =나석주가 동양 척식 주식 회사에 폭탄을 투척하였다. ~장인환이 샌프란시스코에서 외교 고문 스티븐스를 사살하였다. ~안중근이 만주 하얼빈 역에서 초대 통감이었던 이토 히로부미를 사살하였다.} 다음은 근대 개혁 방안에 관한 자료이다. 이를 시기 순으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ㄱ. 내시부를 없애고 그 가운데서 재능있는 자가 있으면 뽑아 쓴다. ㄴ. 왕실 사무와 국정 사무를 모름지기 나누어 서로 뒤섞지 아니한다. ㄷ. 대한국 대황제는 육해군을 통솔하고 편제를 정하며 계엄과 해엄을 명한다. ㄹ. 재정은 모두 탁지부에서 전담하여 맡고, 예산과 결산은 인민에게 공포한다. {~ㄱ→ㄴ→ㄷ→ㄹ =ㄱ→ㄴ→ㄹ→ㄷ ~ㄴ→ㄱ→ㄷ→ㄹ ~ㄴ→ㄱ→ㄹ→ㄷ } 고구려와 신라의 관계를 다음과 같이 알려주고 있는 삼국시대의 금석문은? ○ 고구려의 군대가 신라 영토에 주둔했던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록이 보인다. ○ 고구려가 신라의 왕을 호칭할 때 ‘동이 매금(東夷寐錦)’이라고 부르고 있다. ○ 고구려가 신라의 왕과 신하들에게 의복을 하사하는 의식을 거행한 것으로 보인다. {~광개토왕비 ~집안고구려비 =중원고구려비 ~영일냉수리비 } 신라 하대 불교계의 새로운 경향을 알려주는 다음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불립문자(不立文字)라 하여 문자를 세워 말하지 않는다고 주장하고, 복잡한 교리를 떠나서 심성(心性)을 도야하는 데 치중하였다. 그러므로 이 사상에서 주장하는 바는 인간의 타고난 본성이 곧 불성(佛性)임을 알면 그것이 불교의 도리를 깨닫는 것이라는 견성오도(見性悟道)에 있었다. {~전제왕권을 강화해주는 이념적 도구로 크게 작용하였다. =지방에서 새로이 대두한 호족들의 사상으로 받아들여졌다. ~왕실은 이 사상을 포섭하려는 노력에 관심을 기울이지 않았다. ~인도에까지 가서 공부해 온 승려들에 의해 전파되었다. } 다음과 같은 내용을 주장한 실학자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중국은 서양과 180도 정도 차이가 난다. 중국인은 중국을 중심으로 삼고 서양을 변두리로 삼으며, 서양인은 서양을 중심으로 삼고 중국을 변두리로 삼는다. 그러나 실제는 하늘을 이고 땅을 밟는 사람은 땅에 따라서 모두 그러한 것이니 중심도 변두리도 없이 모두가 중심이다. {~동국지리지를 저술하여 역사지리 연구의 단서를 열어 놓았다. =임하경륜 을 통해서 성인 남자들에게 2결의 토지를 나누어 줄 것을 주장하였다. ~동사에서 조선의 자연환경과 풍속, 인성의 독자성을 강조하였다. ~동국지도 를 만들어 지도 제작의 과학화에 기여하였다.}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40년 충칭에서 한국 광복군을 창설하였는데, 이와 관련된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총사령에 이청천, 참모장에 이범석을 선임하였다. ~영국군의 요청으로 일부 병력을 인도와 버마(미얀마) 전선에 참전시켰다. ~미국 전략정보처(OSS)와 협력하면서 국내 진공을 준비하였다. =조선의용군과 연합하여 일본에 대해 선전 포고를 하였다. } 8․15 광복 직후에 결성된 정당의 중심 인물과 주요 내용을 정리하였다. 이와 관련된 정당을 바르게 연결한 것은? ㄱ. 여운형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진보적 민주 주의를 표방하면서 좌우합작을 추진하였다. ㄴ. 송진우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인민공화국을 부정하고 대한민국 임시정부의 법통을 계승하려 하였다. ㄷ. 안재홍 등이 중심이 되어 결성하였으며, 신민족주의를 내세워 평등사회를 건설하려 하였다. ㄱ ㄴ ㄷ {~조선인민당 한국민주당 한국독립당 ~조선신민당 민족혁명당 한국독립당 ~조선신민당 한국민주당 국민당 =조선인민당 한국민주당 국민당} 1960년대 전반 남북한에서 각기 조사 발굴되어 한국사에서 구석기 시대의 존재를 확인시켜 준 유적들을 바르게 짝지은 것은? 남한 북한 {~제주 빌레못 유적 상원 검은모루 유적 =공주 석장리 유적 웅기 굴포리 유적 ~단양 상시리 유적 덕천 승리산 유적 ~연천 전곡리 유적 평양 만달리 유적} 통일신라시대 귀족경제의 변화를 말해주고 있는 밑줄 친 ‘이것’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전제왕권이 강화되면서 신문왕 9년(689)에 이것을 폐지하였다. 이를 대신하여 조(租)의 수취만을 허락하는 관료전이 주어졌고, 한편 일정한 양의 곡식이 세조(歲租)로서 또한 주어졌다. 그러나 경덕왕 16년(757)에 이르러 다시 이것이 부활되는 변화과정을 겪었다. {~이것이 폐지되자 전국의 모든 국토는 ‘왕토(王土)’라는 사상이 새롭게 나오게 되었다. =수급자가 토지로부터 조(租)를 받을 뿐 아니라, 그 지역의 주민을 노역(勞役)에 동원할 수 있었다. ~삼국통일 이후 국가에 큰 공을 세운 육두품 신분의 사람들에게 특별히 지급하였다. ~촌락에 거주하는 양인농민인 백정이 공동으로 경작하였다.} 다음과 같은 풍속이 행해진 국가의 사회모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그 풍속에 혼인을 할 때 구두로 이미 정해지면 여자의 집에는 대옥(大屋) 뒤에 소옥(小屋)을 만드는데, 이를 서옥 (婿屋)이라고 한다. 저녁에 사위가 여자의 집에 이르러 문밖에서 자신의 이름을 말하고 꿇어 앉아 절하면서 여자와 동숙하게 해줄 것을 애걸한다. 이렇게 두세 차례 하면 여자의 부모가 듣고는 소옥에 나아가 자게 한다. 그리고 옆에는 전백(錢帛)을 놓아둔다. -삼국지 동이전 - {~고국천왕 사후, 왕비인 우씨와 왕의 동생인 산상왕과의 결합은 취수혼의 실례를 보여준다. ~계루부 고씨의 왕위계승권이 확립된 이후 연나부 명림씨 출신의 왕비를 맞이하는 관례가 있었다. ~관나부인(貫那夫人)이 왕비를 모함하여 죽이려다가 도리어 자기가 질투죄로 사형을 받았다. =김흠운의 딸을 왕비로 맞이하는 과정은 국왕이 중국식 혼인 제도를 수용했다는 사실을 알려주고 있다.} 고려의 형률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주로 당나라의 것을 끌어다 썼으며, 때에 따라 고려의 실정에 맞는 율문도 만들었다. ~행정과 사법이 명확하게 분리․독립되어 있었다. ~실형주의(實刑主義)보다는 배상제(賠償制)를 우위에 두고 있었다. ~기본적으로 태형(笞刑), 장형(杖刑), 도형(徒刑), 유형(流刑)의 4형 체계를 가지고 있었다.} 고려시대에는 귀족․양반과 일반 양민 사이에 ‘중간계층’ 또는 ‘중류층’이라 불리는 신분층이 존재하였다. 이 신분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남반은 궁중의 잡일을 맡는 내료직(內僚職)이다. ~하급 장교들도 이 신분층에 포함되는 것으로 분류되고 있다. ~서리는 중앙의 각 사(司)에서 기록이나 문부(文簿)의 관장 등 실무에 종사하였다. =향리에게는 양반으로 신분을 상승시킬 수 있는 길을 열어 놓지 않았다. } 밑줄 친 ‘국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국왕은 행차 때면 길에 나온 백성들을 불러 직접 의견을 들었다. 또한 척신 세력을 제거하여 정치의 기강을 바로 잡았고, 당색을 가리지 않고 어진 이들을 모아 학문을 장려 하였다. 침전에는 ‘탕탕평평실(蕩蕩平平室)’이라는 편액을 달았으며, “하나의 달빛이 땅 위의 모든 강물에 비치니 강물은 세상 사람들이요, 달은 태극이며 그 태극은 바로 나다.”라고 하였다. {~병권 장악을 위해 금위영을 설치하였다. ~명에 대한 의리를 지켜 청에 복수하자는 북벌을 추진하였다. =육의전을 제외한 시전 상인의 특권을 폐지하였다. ~백성의 여론을 정치에 반영하기 위해 신문고제도를 부활하였다. } 다음 괄호 안에 들어갈 국왕과 관련되는 내용은? ( )이 원나라의 제도를 따라 변발(辮髮)을 하고 호복 (胡服)을 입고 전상(殿上)에 앉아 있었다. 이연종이 간하려고 문밖에서 기다리고 있었더니, 왕이 사람을 시켜 물었다. …(중략)… 답하기를 “변발과 호복은 선왕의 제도가 아니오니, 원컨대 전하께서는 본받지 마소서.”라고 하니, 왕이 기뻐 하면서 즉시 변발을 풀어 버리고 그에게 옷과 요를 하사 하였다. -고려사- {~노비와 관련된 문제를 처리하는 장례원을 설치하였다.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고 요동 지방을 공략하였다. ~동국병감과 같은 병서를 간행하여 원나라의 침략에 대비하였다. ~권문세족의 경제기반을 무너뜨리기 위해서 과전법을 시행하였다. } 밑줄 친 ‘이 농서’가 처음 편찬된 시기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농상집요는 중국 화북 지방의 농사 경험을 정리한 것으로서 기후와 토질이 다른 조선에는 도움이 될 수 없었다. 이에 농사 경험이 풍부한 각 도의 농민들에게 물어서 조선의 실정에 맞는 농법을 소개한 이 농서가 편찬되었다. {=현실 세계와 이상 세계를 표현한 몽유도원도 가 그려졌다. ~선종의 입장에서 교종을 통합한 조계종이 성립되었다. ~윤휴는 주자의 사상과 다른 모습을 보여 사문난적으로 몰렸다. ~진경산수화와 풍속화가 유행하였다.} 밑줄 친 ‘이번 문서’를 보낸 조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이전 문서에서는 몽고의 연호를 사용했는데, 이번 문서에서는 연호를 사용하지 않았다. ○ 이전 문서에서는 몽고의 덕에 귀의하여 군신 관계를 맺었다고 하였는데, 이번 문서에서는 강화로 도읍을 옮긴 지 40년에 가깝지만, 오랑캐의 풍습을 미워하여 진도로 도읍을 옮겼다고 한다. -고려첩장(高麗牒狀)- {=최우가 도적을 막기 위해 만든 조직에서 비롯되었다. ~최충헌이 신변 보호와 집권체제 강화를 위해 조직하였다.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기 위한 조직으로 편성되었다. ~쌍성총관부 탈환에 주도적인 역할을 한 조직이었다. } 다음 글을 남긴 국왕의 재위 기간에 일어난 사실로 옳은 것은? 보잘 것 없는 나, 소자가 어린 나이로 어렵고 큰 유업을 계승하여 지금 12년이나 되었다. 그러나 나는 덕이 부족하여 위로는 천명(天命)을 두려워하지 못하고 아래로는 민심에 답하지 못하였으므로, 밤낮으로 잊지 못하고 근심하며 두렵게 여기면서 혹시라도 선대왕께서 물려주신 소중한 유업이 잘못되지 않을까 걱정하였다. 그런데 지난번 가산(嘉山)의 토적(土賊)이 변란을 일으켜 청천강 이북의 수 많은 생령이 도탄에 빠지고 어육(魚肉)이 되었으니 나의 죄이다. -비변사등록- {~최제우가 동학을 창도하였다. =공노비 6만 6천여 명을 양인으로 해방시켰다. ~미국 상선 제너럴 셔먼 호가 격침되었다. ~삼정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삼정이정청을 설치하였다.} 조선 후기 천주교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기해사옥 때 흑산도로 유배를 간 정약전은 그 지역의 어류를 조사한 자산어보를 저술하였다. ~안정복은 성리학의 입장에서 천주교를 비판하는 천학문답을 저술하였다. ~1791년 윤지충은 어머니 상(喪)에 유교 의식을 거부하여 신주를 없애고 제사를 지내 권상연과 함께 처형을 당하였다. ~신유사옥 때 황사영은 군대를 동원하여 조선에서 신앙의 자유를 보장받게 해달라는 서신을 북경에 있는 주교에게 보내려다 발각되었다.} 조선시대의 사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정도전은 성리학에만 국한하지 않고 다양한 사상을 포용하였으며, 특히 춘추를 국가의 통치 이념으로 중요하게 여겼다. ~이황은 16세기 조선사회의 모순을 극복하는 방안으로 통치 체제의 정비와 수취제도의 개혁 등을 주장하였다. =18세기에는 인간과 사물의 본성이 다르다고 주장하는 호론과, 이를 같다고 주장하는 낙론 사이에서 논쟁이 벌어졌다. ~유형원과 이익의 사상을 계승한 김정희는 토지제도 개혁론을 비롯하여 많은 저술을 남겼다.} 다음은 박은식이 저술한 한국독립운동지혈사의 일부분이다. 여기에서 언급된 사건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만세시위가 확산되자, 일제는 헌병 경찰은 물론이고 군인 까지 긴급 출동시켜 시위군중을 무차별 살상하였다. 정주, 사천, 맹산, 수안, 남원, 합천 등지에서는 일본 군경의 총격으로 수십 명의 사상자를 냈으며, 화성 제암리에서는 전 주민을 교회에 집합, 감금하고 불을 질러 학살하였다. {~일제는 무단통치를 이른바 ‘문화통치’로 바꾸었다. ~독립운동의 중요한 분기점이 된 대규모의 만세운동이었다. ~세계 약소 민족의 독립운동에도 커다란 자극을 주었다. =파리강화회의에 신규식을 대표로 파견하여 이 사건의 진상을 널리 알렸다.} 4․19 혁명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5․10 총선거가 남한에서 실시되어 제헌의회가 구성되었다. ~농지개혁이 실시되어 농민들은 자작농으로 발전하게 되었다. ~혁명 이후 남북통일 문제에 대한 논의가 전혀 이루어지지 않았다. =과도 정부가 출범하고, 내각 책임제와 양원제를 골자로 하는 헌법으로 개정되었다.} 다음 유물이 등장한 시기의 생활 모습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팽이처럼 밑이 뾰족하거나 둥글고, 표면에 빗살처럼 생긴 무늬가 새겨져 있다. ∙ 곡식을 담는 데 많이 이용되었다. {~철제 농기구로 농사를 지었다. ~비파형동검을 의식에 사용하였다. =취사와 난방이 가능한 움집에 살았다. ~죽은 자를 위한 고인돌 무덤을 만들었다. ~ 정복전쟁을 거치며 지배계급이 등장하였다.} 다음 보기 중 같은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묶인 것은? ㉠ 간음한 자와 투기가 심한 부인을 사형에 처하는 엄격한 법이 있었다. ㉡ 다른 부족의 경계를 침범할 경우에는 가축이나 노비로 변상해야 하는 풍습이 있었다. ㉢ 전쟁이 일어났을 때 소를 죽여 그 굽으로 점을 치는 풍습이 있었다. ㉣ 남자가 일정 기간 처가에서 살다가 본가로 돌아가는 풍속이 있었다. ㉤ 가족이 죽으면 가매장을 하였다가 뼈만 추려서 목곽에 넣는 풍습이 있었다. {~㉠, ㉡ ~㉡, ㉣ =㉠, ㉢ ~㉢, ㉤ ~ ㉣, ㉤} 백제 근초고왕의 업적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남쪽으로는 마한을 멸하여 전라남도 해안까지 확보하였다. =북쪽으로는 고구려의 평양성까지 쳐들어가 고국천왕을 전사시켰다. ~중국의 동진, 일본과 무역활동을 전개하였다. ~왕위의 부자상속을 확립하였다. ~ 박사 고흥으로 하여금 백제의 역사서인 󰡔書記(서기)󰡕를 편찬하게 하였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기관의 공통된 이름으로 옳은 것은? ∙고려와 조선에서는 왕명 출납, 군사 기무, 숙위의 일을 맡았다. ∙ 대한제국에서는 정부의 자문기구로 개편되었고, 독립협회가 의회로의 개편을 시도하였다. {=중추원 ~홍문관 ~규장각 ~성균관 ~ 집현전} 다음은 고려 시대 불교에 관한 내용이다. 옳은 것으로 묶인 것은? ㉠ 천태종의 지눌은 선종을 중심으로 교종을 포용하는 선교 일치를 주장하였다. ㉡ 의천은 불교와 유교가 심성 수양이라는 면에서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 의천이 죽은 뒤 교단은 분열되고 귀족 중심이 되었다. ㉣ 요세는 참회수행과 염불을 통한 극락왕생을 주장하며 백 련사를 결성했다. {~㉠, ㉢ ~㉡, ㉣ ~㉠, ㉡ ~㉠, ㉣ = ㉢, ㉣}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왕이 실시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충숙왕의 둘째 아들로서 원나라 노국대장공주를 아내로 맞이하고 원에서 살다가 원의 후원으로 왕위에 올랐으나 고려인의 정체성을 결코 잃지 않았다. {=정동행성의 이문소를 폐지하였다. ~수도를 한양으로 옮겼다.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하였다. ~연구기관인 만권당을 설립하였다. ~ 과전법을 공포하였다.} 다음 자료에 나타난 시기의 가족 제도의 특징으로 옳은 것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지금은 남자가 장가들면 여자 집에 거주하여, 남자가 필요로 하는 것은 모두 처가에서 해결하고 있습니다. 그리하여 장인과 장모의 은혜가 부모의 은혜와 똑같습니다. 아아, 장인께서 저를 두루 보살펴 주셨는데 돌아가셨으니, 저는 장차 누구를 의지 해야 합니까. - 󰡔동국이상국집󰡕 - <보기> ㉠ 제사는 불교식으로 자녀들이 돌아가면서 지냈다. ㉡ 부계 위주의 족보를 편찬하면서 동성 마을을 이루어 나갔다. ㉢ 태어난 차례대로 호적에 기재하여 남녀 차별을 하지 않았다. ㉣ 아들이 없을 때에는 양자를 들이지 않고 딸이 제사를 지냈다. {~㉠, ㉡ ~㉡, ㉢ ~㉢, ㉣ =㉠, ㉢, ㉣ ~ ㉡, ㉢, ㉣ } 다음 사건을 일어난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 김종직의 무덤을 파헤쳐 시신을 참수하였다. ㉡ 조광조가 능주로 귀양가서 사약을 받고 죽었다. ㉢ 명종을 해치려 했다는 이유로 윤임 일파가 몰락하였다. ㉣ 연산군은 생모 윤씨의 폐비 사건에 관여한 사림을 몰아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조선의 통치기구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의정부는 최고의 행정집행기관으로 그 중요성에 의해 점차 실권을 강화하였다. ~홍문관은 정치의 득실을 논하고 관리의 잘못을 규찰하고 풍기·습속을 교정하는 일을 담당하였다. ~예문관과 춘추관은 대간(臺諫)이라 불렸는데, 임명된 관리의 신분·경력 등을 심의·승인하는 역할을 담당하였다. ~지방관은 행정의 권한만을 위임받았는데, 자기 출신지에는 임명될 수 없었다. = 지방 양반들로 조직된 향청은 수령을 보좌하고 풍속을 바로 잡고 향리를 규찰하는 등의 임무를 맡았다. } 다음 ㉠, ㉡ 노선을 추구한 각 왕들의 정책으로 올바르게 연결된 것은? ㉠ 준론탕평 - 당파의 옳고 그름을 명백히 가린다. ㉡ 완론탕평 - 어느 당파든 온건하고 타협적인 인물을 등용 하여 왕권에 순종시킨다. {~㉠ - 환국 을 시도하였다. ~㉠ - 서원을 대폭 정리하였다. =㉡ - 신문고 제도를 부활하였다. ~㉡ - 초계문신제를 실시하였다. ~ ㉡ - 화성 건설에 힘썼다. } 조선 시대 과학기술의 발전에 대한 다음의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조선 초기 농업기술의 발전 성과를 반영한 영농의 기본 지침서는 세종대 편찬된 󰡔농가집성󰡕이었다. ~세종대 해와 달 그리고 별을 관측하기 위해 간의대(簡儀臺) 라는 천문대를 운영하였다. ~세종대 동양 의학에 관한 서적과 이론을 집대성한 의학 백과사전인 󰡔의방유취󰡕가 편찬되었다. ~문종대 개발된 화차(火車)는 신기전이라는 화살 100개를 설치하고 심지에 불을 붙이는 일종의 로켓포였다. ~ 조선 초기 140여 명의 인쇄공이 소속된 최대 인쇄소는 교서관이었다.} 다음 중 조선 후기 실학자와 그들이 주장하는 바에 대한 설명이다.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정약용:농업 중심 개혁론의 선구자로 균전론을 제시하였다. ㉡ 홍대용:무역선을 파견하여 청에서 행해지는 국제무역에도 참여해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 유수원:우서를 저술하여 상공업의 진흥을 위한 사농공상의 직업적 평등과 전문화를 주장하였다. ㉣ 유형원:자영농 육성을 위한 토지제의 개혁뿐만 아니라 양반문벌제도, 과거제, 노비제의 모순도 지적하였다. {=㉠, ㉡ ~㉠, ㉢ ~㉡, ㉢ ~㉡, ㉣ ~ ㉢, ㉣ } 다음 정강에 들어갈 내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첫째, 대원군을 가까운 시일 안으로 나라에 돌아오게 하도록 할 것 둘째, 문벌을 없애 인민이 평등한 권리를 갖는 제도를 제정할 것 ⋮ {~혜상공국을 없앨 것 =공사노비법을 혁파할 것 ~전국에 걸쳐 지조법을 개혁할 것 ~각 도의 환곡제도를 영원히 없앨 것 ~ 재정을 모두 호조에서 관할하도록 할 것 } 다음 밑줄 친 제국 에서 추진한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제1조 대한국은 세계만국에 공인되어온 바 자주독립한 제국이니라. {~상무사 조직 ~양전지계사업 ~외국어학교 설립 ~서북철도국 개설 = 군국기무처 설치} 다음 사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3 ․ 1운동 ㉡ 6 ․ 10 만세 운동 ㉢ 광주 학생 항일 운동 ㉣ 소작쟁의 {~㉠은 중국의 5 ․ 4운동, 인도의 비폭력·불복종 운동 등에 영향을 주었다. ~㉡은 순종의 장례일에 대규모 만세 시위를 계획하였다. ~㉡은 준비과정에서 사회주의 계열과 민족주의 계열이 연대 하여 민족유일당을 결성할 수 있는 공감대가 형성되었다. ~㉢은 민족 차별 중지, 식민지 교육 제도 철폐 등을 요구 하며 대규모 가두시위를 벌였다. = ㉣의 대표적인 사례는 암태도 소작쟁의로 1년여에 걸친 투쟁에도 효과가 없었다.} 다음 사건을 순서대로 나열한 것으로 옳은 것은? ㉠ 자유시 참변 ㉡ 봉오동 전투 ㉢ 간도 학살(경신 참변) ㉣ 청산리 전투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활동을 펼친 인물로 옳은 것은? 1915년에는 국혼을 강조한 󰡔한국통사󰡕를, 1920년에는 전세계 민중의 힘에 의한 일본의 패망을 예견한 󰡔한국독립운동지혈사󰡕를 지었다. {~정인보 =박은식 ~안재홍 ~신채호 ~ 백남운 } 다음 사건 이후 전개된 대한민국임시정부의 활동으로 옳은 것은? 대한민국임시정부는 충칭에서 광복군을 창립하였다. 총사령 에는 지청천, 참모장에는 이범석이 임명되었다. {=건국강령을 공포하였다. ~국무령 중심의 내각책임제를 채택하였다. ~구미위원부를 설치하였다. ~국민대표회의를 소집하였다. ~ 기관지로 독립신문을 창간하였다.} 다음 ㉠, ㉡, ㉢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6 ․ 15 남북 공동 선언 ㉡ 7 ․ 4 남북 공동 성명 ㉢ 남북 간의 화해와 불가침 및 교류 협력에 관한 합의서 {~㉠ - 한반도 비핵화를 선언하였다. ~㉠ - 남북한 동시 유엔 가입에 합의하였다. =㉡ - 통일의 3대 원칙을 천명하였다. ~㉢ - 남북정상회담의 성과였다. ~ ㉠ - ㉡ - ㉢ 순으로 발표되었다. } 다음 중 유네스코가 선정한 세계유산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석굴암은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석굴사원이다. ~창덕궁은 조선시대 궁궐의 양식을 잘 보존하고 있다. =남한산성은 축성기술의 발달 단계를 보여준다. ~무령왕릉은 벽돌무덤으로 중국 남조의 영향을 받았다. ~ 해인사 장경판전은 고려인의 호국염원이 담긴 팔만대장경을 보관하고 있다. }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밑줄 친 ‘이 시기’의 생활상으로 옳은 것은? 이 시기에는 뼈바늘을 비롯하여 실을 뽑는 도구인 가락바퀴도 발견되어, 옷을 만들어 입었음을 알 수 있다. {~긁개와 밀개 등을 이용하여 동물을 사냥하였다. ~거대한 무덤인 고인돌을 조성하였다. ~동굴이나 막집 등에서 생활하였다. =농경을 시작하고 생산된 식량을 저장하기도 하였다. ~ 계급이 등장하여 지배와 피지배 관계가 형성되었다. } 다음 중 위만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위만은 왕이 된 후 고조선의 준왕을 한왕(韓王)으로 책봉하였다. ~위만은 고조선에 망명해 올 때 상투를 틀고 왔다. ~위만은 정권을 잡은 후에도 고조선의 전통을 계승하였다. ~위만은 동방의 예, 남방의 진이 한(漢)과 교역할 때 중계무역을 펼쳤다. ~ 위만은 왕위에 오른 후에도 조선이라는 이름을 그대로 사용하였다. } 발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부여의 옛땅을 중심으로 건국하였다.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하기도 하였다. ~북으로는 돌궐, 남으로는 일본과 통교하였다. ~초기에는 당과 대립하였으나 문왕(文王)대에 이르러 국교를 수립하였다. = 10세기 초반 여진족의 침입으로 멸망하였다. } 고구려의 중국에 대한 투쟁을 옳게 설명한 것은? {~양만춘은 수나라의 별동대를 안시성에서 격퇴하였다. ~수 양제의 침략에 대비하기 위해 천리장성을 축조하였다. =고구려가 요서 지역을 선제 공격해 수나라를 견제하였다. ~연개소문은 당과 우호관계를 유지하였다. ~ 을지문덕은 당 태종에 의한 2차 침입 때 살수대첩으로 막아냈다.} 고려시대 토지제도인 전시과에 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시정전시과는 토지의 수조권을 지급한 것이 아니고, 소유권을 지급한 것이다. ~목종대에는 인품을 반영하여 18과로 세분하여 토지를 지급하였다. =무신정변 이후 전시과 체제의 문란이 심화되었다. ~문종대에는 관료에게 지급할 토지가 부족하여 현직 관료에게 경기 지역의 토지를 지급하였다. ~ 왕실에는 공해전, 중앙과 지방의 관청에는 내장전을 지급하여 경비에 충당케 하였다.} 다음에서 설명하고 있는 불교 사상과 관련이 있는 것은? ○ 아미타 신앙을 바탕으로 불교를 널리 전파하는 데 앞장섰다. ○ 불교 경전을 폭넓게 이해하여『대승기신론소』와『금강삼매경론』을 저술하였다. {~의상-화엄 사상 =원효-정토 사상 ~원측-유식 사상 ~혜초-왕오천축국전 ~ 진표-법상종 사상 } <보기>는 한국 근대 독립운동가의 저술에서 인용한 글이다. 이 글을 쓴 인물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보기> 역사란 무엇이뇨? 인류사회의 ‘아(我)’와 ‘비아(非我)’의 투쟁이 시간부터 발전하며 공간부터 확대하는 심적 활동의 상태의 기록이니, 세계사라 하면 세계 인류의 그리 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며, 조선사라면 조선 민족의 그리 되어 온 상태의 기록이니라. 무엇을 ‘아’라 하며 무엇을 ‘비아’라 하느뇨? 깊이 팔 것 없이 얕게 말하자면, 무릇 주관적 위치에 선 자를 아라 하고 그 외에는 비아라 하나니... {~󰡔황성신문󰡕과 󰡔대한매일신보󰡕 등에서 언론활동을 하였다. ~양기탁·이동녕 등과 함께 항일비밀결사인 신민회 활동에 참여하였다. ~국민대표회의에 창조파의 일원으로 참여하였다. =󰡔한국통사󰡕와 󰡔한국독립운동지혈사󰡕 등을 저술하여 일제의 침략을 비판하고 민족정신을 고양하였다. ~ 타협주의를 배격하고, 의열단의 선언인 「조선혁명선언」을 작성하였다.} 조선 후기에 일어난 사회 변화로 옳지 않은 것은? {=향․소․부곡의 소멸 ~농민층의 분화 ~관노비의 해방 ~중인 세력의 성장 ~ 양반 호구의 증가} <보기>에 그 일부를 인용한 장편 서사시에 대하여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보기> 동명왕의 본기를 보니 그 신비한 사적이 세상에서 이야기하는 것보다 더했다. 처음에는 믿지 못하고 귀신이나 환상 이야기로 여겼는데, 반복하여 읽어서 그 근원에 들어가니, 환상과 귀신이 아니고 신성한 것이었다. … 나라를 창시한 신기한 사적이니, 이것을 기술하지 않으면 후세 사람들이 앞으로 무엇을 보고 알 것인가? 그러므로 시를 지어 기록하여 우리나라가 본래 성인(聖人)의 나라라는 것을 천하에 알리려고 한다. {~조선 후기에 실학자가 민족적 자각의식을 바탕으로 쓴 작품이다. ~고구려의 발전 과정에서 왕실의 권위를 높이고 충성심을 고취할 목적으로 썼다. ~대몽항전기에 역사 전통을 내세워 항전의식을 고취할 목적으로 썼다. ~조선 초기에 새 왕조의 정통성에 대한 명분을 밝힐 목적으로 썼다. = 무신집권기의 사회 혼란 속에서 고려의 역사 전통을 고취할 목적으로 썼다.} 밑줄 친 ‘내’가 추진한 정책으로 옳은 것은? 상왕이 나이가 어려 무릇 조치하는 바를 모두 의정부 대신에게 논의하게 하였다. 지금 내가 왕통을 계승하여 국가의 모든 일을 처리하며 우리나라의 옛 제도를 복구하고자 한다. 지금부터 형조의 사형수를 제외한 모든 서무는 6조가 각각 그 직무를 담당하여 직계한다. {~영정법을 시행하고, 호패법을 시행하여 호구 파악에 힘썼다. ~4군 6진을 개척하고 쓰시마 섬을 정벌하였다. ~홍문관을 설치하고『경국대전』을 반포하였다. =경연을 폐지하고 직전법을 실시하였다. ~ 역법서인『칠정산』을 간행하고『농사직설』을 편찬하였다. } 묘청의 난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귀족사회 내부의 족벌과 지역세력 간의 대립 양상이었다. ~풍수사상 등 전통사상과 유학사상의 대립적 성격을 띠었다. =묘청은 거란의 압력에 대항하며 칭제건원(稱帝建元)을 주장하였다. ~민족주의 사학자 신채호는 묘청 세력의 자주적 성격을 높이 평가하였다. ~ 난의 결과 서경파(西京派)가 몰락하고 서경의 분사(分司)제도가 폐지되었다. } 고려 광종의 정책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노비안검법 실시 ~과거제 실시 ~황제로 자칭하고 독자 연호를 사용 ~법안종(法眼宗) 중심으로 교단 통합 시도 = 호족과 결탁하여 문신귀족 탄압 } 다음 지문과 관련된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우리는 운동상 실천으로부터 배운 것이 있으니 우리가 실제로 우리 자체를 위해, 우리 사회를 위해 분투하려면 우선 조선 자매 전체의 역량을 공고히 단결하여 운동을 전반적으로 전개해야 하는 것이다. 일어나라! 오너라! 단결하자! 분투하자! 조선의 자매들아! 미래는 우리의 것이다. {=여성의 지위 향상과 생활 개선 등을 행동강령으로 삼았다. ~평양에서 자기회사, 대구에서 태극서관을 운영하였다. ~청년학생들이 농민을 대상으로 사회계몽활동을 전개하였다. ~백정들이 신분차별 타파를 위한 사회운동을 전개하였다. ~ 일제와 타협하여 자치권과 참정권을 획득하자고 주장하였다. } 대동법에 대하여 올바르게 설명한 것은? {~광해군대에 이원익이 주도하여 전국적으로 시행하였다. =방납의 폐단을 시정하기 위해 공물 대신 쌀로 납입하게 하였다. ~군역의 폐단을 막기 위해 군포를 1필로 경감하였다. ~대동법으로 인해 농민의 부담이 크게 늘었다. ~ 균역청에서 관장하다가 호조로 이관되었다.} 고려의 대외 관계 가운데 거란(요)과 관련된 것은? (가) 서희의 강동6주 획득 (나) 강감찬의 귀주대첩 (다) 윤관의 별무반 설치 (라) 천리장성 축조 (마) 동북 9성 축조 (바) 김윤후의 처인성 전투 {~(가)-(나)-(다) =(가)-(나)-(라) ~(나)-(다)-(라) ~(나)-(다)-(마) ~ (다)-(마)-(바)} 다음의 사건이 발생한 순서대로 올바르게 배열된 것을 고르시오. 가. 봉오동 전투 나. 자유시 참변 다. 정의부 조직 라. 통의부 조직 {~가 – 나 – 다 – 라 =가 – 나 – 라 - 다 ~가 – 라 – 나 – 다 ~나 – 다 – 라 - 가 ~ 나 – 라 – 다 – 가 } 조선 후기 농촌사회의 양상과 관계 없는 것은? {~상업적 농업의 보급 ~수리시설의 발달 ~직파법(直播法)에서 이앙법(移秧法)으로 변화 =도조제(賭租制)에서 타조제(打租制)로 변화 ~ 광작(廣作)의 성행 } 다음의 사건을 시대순으로 올바르게 배열한 것은? ㉠ 대한민국 정부가 수립되었다. ㉡ 일제 잔재를 청산하기 위해 반민족행위특별조사위원회가 구성되었다. ㉢ 자유당의 독재와 부정선거를 규탄하는 대규모 시위가 일어났다. ㉣ 남과 북은 7․4남북공동성명서에서 자주․평화․민족대단결의 통일 원칙에 합의하였다. ㉤ 10월유신을 단행하여 대통령에게 강력한 통치권을 부여하였다. ㉥ 한국군이 베트남전에 참전하였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독도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일제는 청일전쟁 중 독도를 시네마현에 편입시켜 일본의 영토로 만들었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신라 지증왕 때 이사부가 우산국을 정벌하여 울릉도와 독도를 우리 영토로 편입하였다. ~대한제국기 울릉도를 울도군으로 승격시키고 관할구역으로 석도(독도)를 규정하였다. ~조선 숙종대 안용복은 일본으로 가서 울릉도와 독도가 우리의 영토임을 확인받았다. ~ 󰡔고려사󰡕에는 우산국에서 고려 정부에 토산물을 바친 기록이 수록되어 있다. } (가), (나)에 해당하는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가) 가축 이름으로 관직명을 정하여 마가ㆍ우가ㆍ저가ㆍ 구가는 별도로 사출도를 주관하였다. 적군이 침입하면 제가들이 몸소 전투를 하고, 하호는 양식을 져 날라 음식을 만들어준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나) 귀신을 믿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 세워 천신의 제사를 주관하게 하는데, 이를 천군이라 부른 다. 또 여러 나라에는 각각 별읍이 있으니 소도라 한다. 거기에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 다른 지역에서 그 지역으로 도망 온 사람은 누구든 돌려보내지 않았다. - 삼국지 위서 동이전 - {~(가)는 족외혼을 엄격하게 지켰다. =(가)에서는 소 굽으로 길흉을 점쳤다. ~(나)에는 서옥제라는 혼인 풍습이 있었다. ~(나)에서는 12월에 영고라는 제천 행사를 열었다. } 신라 왕호의 변천 과정에서 (가), (나)에 해당하는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거서간 → 차차웅 → (가) → (나) → 왕 {~(가)가 왕호였던 시기에 이르러 독자적 세력을 유지해 오던 6부가 행정 구역으로 재편되었다. ~(가)가 왕호였던 시기에 신라는 낙동강 유역의 가야 세력을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하였다. =(나)는 대군장의 뜻을 지니며 왕권의 성장이 그 이름에 반영되어 있다. ~(나)가 왕호였던 시기에 신라 왕위는 박ㆍ석ㆍ김의 3성이 교대로 차지하였다.} 다음 단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임병찬은 고종의 지시로 독립 의군부를 몰래 조직하였다. 그는 안으로 의롭고 용감한 사람들을 선발하여 기회를 보아 조선의 독립을 선언하고, 밖으로는 문명 열강의 도움을 받아 독립을 회복하려 하였다. {~공화제를 지향하였다. ~민족 자본의 육성을 강조하였다. =의병 운동을 계승한 비밀 결사였다. ~의연금을 받아 군자금을 확보하였다. } 다음 법령이 실시되었던 시기에 일제가 실시한 정책을 <보기> 에서 고른 것은? 제1조 : 국가 총동원이란 전시에 국방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국가의 전력을 가장 유효하게 발휘하도록 인적 및 물적 자원을 운용하는 것이다. 제4조 : 정부는 전시에 국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에는 칙 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제국 신민을 징용하여 총동원 업무에 종사하게 할 수 있다. 제8조 : 정부는 전시에 국가 총동원상 필요할 때에는 칙 령이 정하는 바에 따라 물자의 생산, 수리, 배급, 양도, 기타의 처분, 사용, 소비, 소지 및 이동에 관하여 필요한 명령을 내릴 수 있다. < 보 기 > ㄱ. 한글을 사용하는 신문과 잡지를 강제 폐간시켰다. ㄴ. 소학교 대신 국민 학교라는 명칭을 사용토록 하였다. ㄷ. 조선 태형령과 경찰범 처벌 규칙을 만들어 시행하였다. ㄹ. 사회주의자들을 탄압하기 위해 치안유지법을 만들었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 밑줄 친‘왕’의 업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왕은 여러 가지 과감한 조처를 통하여 왕권을 강화시켰 다. 혁신 정치를 대체적으로 일단락 지은 즉위 11년에 칭 제건원하고, 개경을 황도, 서경을 서도라 칭한 것은 그와 같은 기반 위에서 취한 자부심의 한 표현이라 볼 수 있 다. {~정방과 정동행성 이문소를 폐지하였다. ~광군사를 설치하여 거란의 침입에 대비하였다. ~유교 정치 이념을 채택하고 국자감을 정비하였다. =쌍기의 건의를 받아들여 과거 제도를 도입하였다. } (가), (나) 사이의 시기에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거란의 군사가 귀주를 지나니 강감찬 등이 동쪽 들 에서 맞아 싸웠는데, …(중략)… 죽은 적의 시체가 들판을 덮고 사로잡은 군사와 말, 낙타, 갑옷, 투구, 병기는 이루 다 헤아릴 수가 없었다. (나) 여진의 추장들은 땅을 돌려달라고 떼를 쓰면서 해마 다 와서 분쟁을 벌였다. …(중략)… 이에 왕은 신하 들을 모아 의논한 후에 그들의 요구에 따라 9성을 돌려주었다. {~발해가 멸망하였다. =별무반이 편성되었다. ~쌍성총관부가 폐지되었다. ~묘청이 서경 천도 운동을 벌였다. } 다음 풍속이 유행할 무렵에 있었던 문화적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 증류 방식의 술인 소주가 등장하였다. . 임금의 음식을 가리키는 ‘수라’라는 말이 사용되었다. . 남자들 사이에서 머리의 뒷부분만 남겨놓고 주변의 머리털을 깎아 나머지 모발을 땋아서 등 뒤로 늘어뜨 리는 머리 스타일이 나타났다. {~최충이 9재 학당을 세웠다. ~김부식이 삼국사기를 편찬하였다. ~의천이 해동 천태종을 창시하였다. =개성에 경천사지 십층석탑이 세워졌다.} (가), (나) 사이에 고구려에서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겨울에 왕이 태자와 함께 정예 군사 3만 명을 거느 리고 고구려에 쳐들어가 평양성을 공격하였다. 고구려의 왕 사유가 힘을 다해 싸워 막다가 빗나간 화 살에 맞아 죽었다. 왕이 군사를 이끌고 물러났다. (나) 왕 9년 기해에 백잔(百殘)이 맹서를 어기고 왜와 화 통하였다. 이에 왕이 평양으로 내려갔다. 그 때 신 라가 사신을 보내 아뢰기를 …(중략)… 왕 10년 경자에 보병과 기병 5만을 보내 신라를 구원하게 하 였다. {~천리장성을 쌓았다. =율령을 반포하였다.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낙랑군을 몰아내었다. } (가) 국왕의 경제 정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조선은 개국 후에도 여전히 고려 때 사용하였던 중국의 역법을 썼으나 우리 실정에 맞지 않는 점이 있었다. (가) 이/가 즉위한 후 정인지, 정초 등에게 명하여 한양을 기준으로 천체의 운행을 관측하도록 하고, 수시력 과 회회력을 자세히 살펴 우리의 실정에 맞게 바로잡아 .칠정산 내편 .과 . 칠정산 외편.을 만들게 하였다. {~대동법을 실시하였다. ~과전법을 직전법으로 바꾸었다. ~시전 상인들의 금난전권을 없앴다. =전분6등법과 연분9등법을 실시하였다. } 다음 주장을 한 정치 세력에 대한 옳은 설명을 <보기>에서 고른 것은? . 소격서는 본래 이단이며 예(禮)에도 어긋나는 것이니 비록 수명을 빌고자 해도 복을 얻을 수 없습니다. 소비 가 많고 민폐도 커서 나라의 근본을 손상시키니 어찌 애석하지 않겠습니까. . 지방에서는 감사와 수령이, 서울에서는 홍문관과 육경(六卿), 대간이 등용할 만한 사람을 천거하여, 대궐에 모아 놓고 친히 대책으로 시험한다면 인물을 많이 얻 을 수 있을 것입니다. 이는 이전에 우리나라에서 하지 않았던 일이요, 한(漢)나라 현량과의 뜻을 이은 것입 니다. < 보 기 > ㄱ. 3사에서 언론과 문한을 담당하였다. ㄴ. 왕도 정치와 향촌 자치를 주장하였다. ㄷ. 세조 이후 공신 세력으로서 정권을 장악하였다. ㄹ. 성리학 이외의 학문과 사상에 대해 관용적이었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 다음 사건이 발생했던 시기에 발해에서 있었던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개원 20년 무예가 장수 장문휴를 보내 해적을 이끌고 등주자사(登州刺史) 위준을 공격하자, 당이 문예를 보내 병사를 징발하여 토벌하게 하였다. 이어 김사란을 신라로 보내 병사를 일으켜 발해 남쪽 국경을 공격하게 하였다. - 신당서 - {~부족을 통일한 여진족의 침략으로 멸망하였다. ~중국인들이 해동성국이라 부를 정도로 전성기를 맞이하였다. ~당과 친선관계를 맺었고, 신라도를 통해 신라와 대립관계를 해소하였다. =중국과 대등한 지위에 있음을 과시하기 위해 독자적인 연 호를 사용하였다.} (가), (나) 사이에 일어난 사실로 가장 옳은 것은? (가) 조.명 연합군과 이순신의 활약으로 전세가 불리해 진 왜군은 명에게 휴전을 제의하였다. 이에 따라 명과 왜군의 휴전 회담이 시작되었다. (나) 김류, 이귀, 이괄 등 서인이 광해군을 무력으로 몰아내고 능양군을 추대하여 왕으로 삼았다. 광해군과 대북파는 명을 배신하고 폐모살제(廢母殺弟)의 패륜 을 저질렀다는 죄목으로 쫓겨났다. {~청으로부터 군신 관계의 체결을 요구받았다. =명과 후금 사이에서 신중한 중립 외교를 펼쳤다. ~백두산 정계비를 세워 중국과의 국경선을 정하였다. ~계해약조를 통해 일본과의 제한된 교역을 허가하였다. } 다음과 같은 건의에 따라 실시한 정책으로 볼 수 없는 것은? 당론(黨論)의 폐단이 거의 1백 년이나 되었으니 어찌 갑자기 크게 변할 수 있겠습니까마는 세월을 두고 힘쓰면 혹 줄어드는 보람이 있을 것입니다. 위에서 지극한 정성 으로 탕평하시면, 신하로서 어찌 감동하는 마음이 없겠습니까? {=산림을 중용하였다. ~서원의 수를 대폭 줄였다. ~이조 전랑의 권한을 약화시켰다. ~각 붕당의 인물을 고르게 등용하였다. } 다음 밑줄 친 부분에 해당하는 농민군의 요구 사항으로 가장 옳은 것은? 동학 농민 운동은 안으로 정치와 사회 개혁을 이루고 밖 으로는 외세의 침략을 막으려 했던 대규모 농민 운동이 었다. 비록 정부와 일본군의 공격으로 실패하였지만 농민군의 반봉건적 개혁 요구는 갑오개혁에 영향을 끼쳐 전 통적 봉건 질서의 붕괴를 촉진하였다. 그리고 반침략적 정신은 의병 운동에 투영되어 외세에 저항하는 구국 무장 투쟁으로 이어졌다. {~토지는 평균하여 분작한다. =노비 문서는 불태워 버린다. ~왜적(倭賊)과 통하는 자는 엄징한다. ~지조법을 개혁하여 국가 재정을 넉넉히 한다. } (가) 군대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대한민국 임시정부는 1919년 정부가 공포한 군사 조직법 에 의거하여 중화민국 총통 장개석 원수의 특별 허락으로 중화민국 영토 내에서 (가) 을(를) 창설함을 선포한다. 중화민국 국민과 합작하여 우리 두 나라의 독립을 회 복하고자 공동의 적인 일본 제국주의자들을 타도하기 위 하여 연합군의 일원으로 항전을 계속한다. {~전력을 보전하기 위하여 자유시로 이동하였다. ~중국군과 화북 지방에서 공동 작전을 전개하였다. ~쌍성보와 대전자령 전투에서 커다란 전과를 거두었다. =국내 진공 작전을 계획하였으나 일본의 패망으로 기회가 무산되었다.} 다음 자료와 관련된 민주화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지난 6월 9일 오후 교내 시위 도중 경찰이 쏜 최루탄 파 편에 맞아 중상을 입고 입원중인 연세대생 이한열군은 4 일째 의식을 회복하지 못한 채 중태다. 연세대 상경대 교수 일동은 ‘이한열군 사건에 당하여’라는 제목의 성명서 를 작성하여 “이번 불상사에 대한 책임을 통감하여 학생 시위와 이 같은 불상사를 유발하는 오늘의 현실을 개탄한다.”면서 당국은 최루탄 난사를 포함한 과잉진압을 금 지하고 이 같은 사태의 재발을 방지하기 위한 근본적인 대책을 수립하라고 요구하였다. {~정부의 인권 탄압과 긴급조치를 비판하였다. ~야당 당수를 국회에서 제명한 것이 계기가 되었다. =학생과 시민들이 민주 헌법 쟁취를 구호로 내세웠다. ~학생들은 비상 계엄령 해제와 신군부 퇴진을 요구하였다. } (가), (나) 자료와 관련된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지 않은 것은? (가) 비록 우리 재화가 남의 재화보다 품질상 또는 가격상 으로 개인 경제상 다소 불이익이 있다 할지라도 민족 경제의 이익에 유의하여 이를 애호하며 장려하여 수요하며 구매하지 아니치 못할지라. (나) 민중의 보편적 지식은 보통 교육으로 능히 수여할 수 있으나 심원한 지식과 심오한 학리는 고등 교육 에 기대하지 아니하면 불가할 것은 설명할 필요도 없거니와 사회 최고의 비판을 구하며 유능한 인물을 양성하려면 최고 학부의 존재가 가장 필요하도다. {=(가)는 사회주의자 주도로 전개되었다. ~(나)는 전국적인 모금 운동의 형태로 전개되었다. ~(가)는 조만식, (나)는 이상재를 지도자로 전개되었다. ~(가)와 (나)는 민족의 실력 양성을 목표로 전개되었다.} 자료에 나타난 경제 활동이 이루어지던 시기에 볼 수 있는 사회 모습으로 가장 옳은 것은? 이른 새벽 보슬비에 담배 심기 참 좋다네 담배 모종 옮겨다가 울 밑 밭에 심어 보세 금년 봄엔 가꾸는 법 영양법을 배워 들여 황금 같은 잎담배를 팔아 일 년 살아보세 {~정전을 받아 농사짓는 농민 ~활구로 토지를 사들이는 귀족 =포구에서 물품을 거래하는 객주 ~대식국인에게 향료를 구입하는 상인} 다음 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옳은 것은? 첫째, 통일은 외세에 의존하거나 외세의 간섭을 받음이 없이 자주적으로 해결하여야 한다. 둘째, 통일은 서로 상대방을 반대하는 무력행사에 의거 하지 않고 평화적 방법으로 실현하여야 한다. 셋째, 사상과 이념, 제도의 차이를 초월하여 우선 하나의 민족으로서 민족적 대단결을 도모하여야 한다. {~합의 직후 이산가족 상봉이 실현되었다. =남과 북에서 정치권력의 강화에 이용되었다. ~남북한이 유엔에 동시 가입한 직후 발표되었다.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공동 선언에 남북한이 합의하였다. } 다음 자료를 바탕으로 추론한 독립 협회의 목표로 가장 옳은 것은? 정부에서 일하는 관리는 임금의 신하요 백성의 종이니 위로 임금을 섬기고 아래로는 백성을 섬기는 것이라. … (중략)… 바라건대 정부에 계신 이들은 관찰사나 군수들을 자기들이 천거하지 말고 각 지방 인민으로 하여금 그 지방에서 뽑게 하면, 국민 간에 유익한 일이 있는 것을 불과 1~2년 동안이면 가히 알리라. - 독립신문, 1896. 4. 14. - {~왕도 정치의 구현 ~전제 군주권의 강화 ~민주 공화정의 수립 =국민 참정권의 실현 } (나)는 (가)의 결과이자, (다)의 원인이 되었다. (나)에 들어갈 내용으로 적절한 것은? (가) 위만 왕조는 철기 문화를 기반으로 자신의 세력을 점차 확대하였다. (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다) 한 무제의 대규모 무력 침략을 받아 마침내 왕검성이 함락되었다. {~부왕, 준왕과 같은 강력한 왕이 등장하여 왕위를 세습하였다. ~위만은 준왕의 신임을 얻어 서쪽 변경을 수비하는 임무를 맡았다. ~고조선은 요령 지방을 중심으로 성장하여 점차 한반도까지 발전하였다. =고조선은 중국 대륙과 한반도 남부의 직접 교역을 막아 중계 무역의 이익을 독점하였다.} 한국사의 올바른 이해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조선이 일본의 식민지로 전락하였던 것은 분권적인 봉건제도가 없었기 때문이다. ~한국사는 한국인의 주체적인 역사이며 사회구성원들의 총체적인 삶의 역사이다. ~한국사의 보편성과 특수성의 문제는 세계사 안에서 한국사를 올바르게 보는 관점을 제공한다. ~다양한 기준에 의거해 시대구분을 하더라도 한국사의 발전 양상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 다음 사실이 나타난 시기의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내가 장단 적소에 있을 때 해서 면포 상인의 왕래가 끊이지 않은 것을 보았는데 길 가는 사람들이 통공 발매의 효과라 하였다. 작년 겨울 서울의 면포 가격이 이 때문에 등귀하지 않아 서울 사람들이 생업을 즐길 수 있게 되었다. {=포구에 객주나 여각이 크게 발달하였다. ~벽란도가 국제 무역항으로 크게 발전하였다. ~활구의 제작으로 은의 수요가 크게 늘어났다. ~주점과 다점 등 관영 상점이 크게 늘어났다. } 밑줄 친 ‘이 역서’가 편찬된 시기의 농업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왕께서 학자들에게 명하여 선명력과 수시력 등 여러 역법의 차이를 비교하여 교정하도록 하였다. 또한 정인지, 정흠지, 정초 등에게 명하여 태음통궤와 태양통궤 등 중국 역서를 연구하여 우리 실정에 맞는 이 역서를 편찬하도록 하였다. {~밭농사에 2년 3작의 윤작법이 시작되었다. ~벼와 보리의 이모작이 전국적으로 확대되었다. ~철제 농기구가 점차 보급되고 우경이 시작되었다. =농업기술을 발달시키기 위해 농사직설이 간행되었다. } 다음은 신라 토지제도의 전개에 대한 설명이다. ㉠~㉣에 들어갈 내용을 바르게 나열한 것은? ○ 신문왕 7년, ㉠ 을 차등 있게 지급하였다. ○ 신문왕 9년, 내외관의 ㉡ 을 혁파하였다. ○ 성덕왕 21년, 처음으로 백성에게 ㉢ 을 지급하였다. ○ 경덕왕 16년, 다시 ㉣ 을 지급하였다. ㉠ ㉡ ㉢ ㉣ {~녹읍 식읍 민전 식읍 ~식읍 녹읍 정전 녹읍 =문무관료전 녹읍 정전 녹읍 ~문무관료전 식읍 민전 식읍 } 다음은 조선 건국 후 법령을 집대성한 경국대전 서문의 일부 이다. 이를 반포한 국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천지가 광대하여 만물이 덮여 있고 실려 있지 않은 것이 없으며, 사시의 운행으로 만물이 생육되지 않은 것이 없으며, 성인이 제도를 만드심에 만물이 기쁘게 보이지 않은 것이 없으니, 진실로 성인이 제도를 만드심은 천지․사시와 같은 것이다. {~직전제 실시 이후 심해진 관리들의 수탈을 방지하기 위하여 관수관급제를 시행하였다. =법전 편찬에 심혈을 기울여 조선경국전, 경제육전 등도 간행하였다. ~왕권을 안정시키고 사림정치의 기반을 조성하였다. ~성균관에 존경각을 짓고 서적을 소장하게 하였다. } 다음 중 같은 국왕 대에 일어난 사실들로 바르게 짝지은 것은? (가) 적극적인 북벌운동을 계획하고 어영청을 2만여 명으로 확대하였다. (나) 서인이 송시열을 영수로 하는 노론과 윤증을 중심으로 하는 소론으로 갈라졌다. (다) 대외적으로 명과 후금의 싸움에 휘말리지 않으면서 실리적인 외교정책을 펼쳤다. ㄱ. 하멜이 가져온 조총의 기술을 활용하여 서양식 무기를 제조하였다. ㄴ. 후금의 태종이 광해군을 위한다는 명분으로 황해도 평산까지 쳐들어 왔다. ㄷ. 대동법을 처음으로 경기도에 시행하였다. ㄹ. 백두산정계비를 세워 서쪽으로 압록강, 동쪽으로 토문강을 경계로 삼았다. {~(가)-ㄹ ~(가)-ㄴ ~(나)-ㄱ =(다)-ㄷ} 다음 주장을 한 정치세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 에서 모두 고른 것은? 우와 창은 본래 왕씨가 아니기 때문에 종사를 받들 수 없으며, 또한 천자의 명이 있으니 마땅히 가를 폐하고 진을 세울 것이다. 정창군 왕요는 신종의 7대 손으로 그 족속이 가장 가까우니 마땅히 세울 것이다. <보 기> ㄱ. 전제왕권 중심의 통치체제를 정비하였다. ㄴ. 이색, 정몽주, 윤소종 등을 숙청하였다. ㄷ. 전제 개혁을 추진하여 과전법을 시행하였다. ㄹ. 군제를 개혁하여 삼군도총제부를 설치하였다. {~ㄱ, ㄴ ~ㄴ, ㄷ =ㄷ, ㄹ ~ㄴ, ㄹ } 다음 사건들이 일어난 시기 순서로 보아 (다)에 들어갈 수 있는 내용은? (가) 고구려가 국내성에서 평양으로 천도하였다. (나) 신라가 처음으로 연호를 사용하였다. (다)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라) 백제가 일본에 처음으로 불교를 전하였다. {=백제가 사비성으로 천도하였다. ~고구려가 살수에서 수나라에 크게 승리하였다. ~신라가 불교를 공인하였다. ~백제의 비유왕과 신라의 눌지왕이 나제동맹을 맺었다.} 고려와 조선의 토지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고려는 국초에 역분전을 지급하였고, 경종 때 처음으로 전시과 제도를 시행하였다. ~전시과 체제 하의 민전은 사유지이지만, 수조권의 귀속을 기준으로 하면 공전인 경우도 있다. =과전법에서는 문무 관료들에게 경기지방의 토지에 한해서 과전의 수조권을 지급하였고, 군인들에게는 군전을 지급하였다. ~과전법에서는 토지 수확량의 1/10을 기준으로 1결마다 30말을 거두었으나, 답험손실법을 적용하여 손실에 비례하여 공제해 주도록 하였다.} 다음 서적들에 대한 설명 중 옳지 않은 것은? {=해동고승전은 삼국시대 이래 고려시대까지 승려 30여 명의 계통을 밝힌 책이다. ~동명왕편은 이규보가 쓴 것으로 고구려 건국 영웅인 동명왕의 업적을 칭송한 서사시이다. ~제왕운기는 우리 역사의 서술을 단군부터 시작하여 중국의 역사만큼 유구하다고 보았다. ~동국통감은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의 역사를 편년체로 서술하였다. } 밑줄 친 ‘이 단체’의 운동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이 단체는 본격적으로 자신을 수호하는 운동을 벌이기에 앞서 정부로부터의 허가 과정에서 유배에 처해진 회장의 유배 해제를 주장하는 강경한 상소를 올렸다. 정부의 반응이 소극적이자 이 단체는 독립협회의 민권운동을 적극 지원 하는 것이 그들의 운동에 부합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그리하여 이 단체는 독립협회가 사회운동의 일환으로 전개한 노륙법과 연좌법의 부활 저지운동에 적극 참가 하였다. {~대한매일신보, 만세보 등의 언론기관이 참여하였다. =시전 상인들이 경제적 특권 회복을 요구하였다. ~대한자강회 등의 애국계몽운동 단체가 참여하였다. ~통감부는 양기탁을 횡령 혐의로 구속하는 등 탄압하였다. } 일제강점기 민족해방운동의 전개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3․1운동을 계기로 운동 이념상 복벽주의는 점차 청산되었다. ~1920년대에는 민족주의운동과 사회주의운동으로 분화되었다. =1920년대 중엽에는 신간회가 해소되고 혁명적 농민조합운동이 격렬하게 전개되었다. ~1930년대 후반에는 통일전선운동과 무장투쟁이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 고려시대 음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만을 모두 고른 것은? ㄱ. 공신의 후손을 위한 음서도 있었다. ㄴ. 음서 출신자는 5품 이상의 고위 관직에 오를 수 없었다. ㄷ. 10세 미만이 음직을 받은 사례도 있었다. ㄹ. 왕의 즉위와 같은 특별한 시기에만 주어졌다. {=ㄱ, ㄷ ~ㄱ, ㄴ ~ㄴ, ㄹ ~ㄷ, ㄹ } 우리 문화와 관련된 서적과 그 분야를 바르게 연결한 것은? {~자산어보-의학 =연조귀감-역사학 ~색경-지리학 ~벽온신방-양명학 } 다음은 현존하는 우리나라 족보들 가운데 가장 오래된 족보의 기재 방식을 설명한 것이다. 이 족보가 편찬되었을 무렵의 가족 제도에 대한 추론으로 옳은 것만을 <보기>에서 모두 고른 것은? ○ 자녀는 출생 순서에 따라 기재하였다. ○ 딸이 재혼하였을 경우 후부(後夫)라 하여 재혼한 남편의 성명을 기재하였다. ○ 자녀가 없는 사람은 무후(無後)라 기재하였고, 양자를 들인 사례는 거의 없다. <보 기> ㄱ. 적서의 차별이 없었을 것이다. ㄴ. 친영제도가 일반화되었을 것이다. ㄷ. 형제가 돌아가면서 제사를 지냈을 것이다. ㄹ. 재산 상속에서 아들과 딸의 차별이 없었을 것이다. {~ㄱ, ㄴ ~ㄱ, ㄹ ~ㄴ, ㄷ =ㄷ, ㄹ } 밑줄 친 ‘그의 사상’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그의 사상은 돈오점수와 정혜쌍수로 요약할 수 있다. 이는 인간의 마음이 곧 부처라는 사실을 깨닫고(선 돈오) 이를 바탕으로 수련을 계속해야 하며(후 점수) 그 수행에 있어서는 정과 혜를 함께 닦아야 한다는 것이다. {~고려 무신정권의 비호 아래 천태종의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왕권 우위의 중앙집권적 귀족사회에 적합한 이념 체계를 제공하였다. ~고려 말 신진사대부들의 성장에 사상적 기반이 되었다. =고려 후기의 불교계를 선종 중심으로 혁신하려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남북국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라는 백제와 고구려 옛 지배층에게 관등을 주어 포용하였다. ~신라의 6두품 출신들은 학문과 실무 능력을 바탕으로 정치적 진출을 활발하게 하였다. =발해의 주민 중 다수는 말갈인이었는데 이들은 지배층에 편입되지 못하였다. ~발해는 당의 제도와 문화를 받아들였으나 고구려와 말갈의 전통을 유지하였다.} 다음은 대한민국 정부 수립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가) 시기에 일어난 사실이 아닌 것은?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개최 ➡ (가) ➡ 대한민국 정부 수립 선포 {~미소공동위원회가 결렬되었다. =반민족행위처벌법이 제정되었다. ~김구, 김규식 등이 남북 협상을 추진하였다. ~5․10 총선거가 실시되었다.} 신라의 돌무지덧널무덤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돌로 방을 만들고 외부와 연결되는 통로를 설치하였다. ~황남대총, 장군총, 천마총 등의 사례가 있다. ~무덤 안에 벽돌로 널방을 만들고 그 안에 돌로 덧널을 설치하였다. =무덤 안에서 많은 부장품이 출토되었는데 서봉총 등의 사례가 있다. } 다음은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선원사 시대 유적이다. 해당 유적에서 출토된 유물을 연결한 것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부여 송국리 유적 – 비파형동검 ~양양 오산리 유적 – 뼈 낚시바늘 =여주 흔암리 유적 – 오수전 ~부산 동삼동 유적 – 빗살무늬토기 } 다음 고조선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위만은 고조선으로 들어올 때 상투를 틀고 오랑캐의 옷을 입었다. ~󰡔동국통감󰡕의 기록에 의하면 단군왕검이 고조선을 건국하였다. =기원전 194년 위만은 우거왕을 몰아내고 스스로 왕이 되었다. ~위만조선은 한의 침략에 맞서 1차 접전(패수)에서 대승을 거두기도 했다. } 다음의 자료에 제시된 나라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이 나라는 구릉과 넓은 못이 많아 동이 지역 가운데 가장 넓고 평탄한 곳이다. 토질은 오곡을 가꾸기에 알맞지만, 과일은 생산되지 않는다. 왕이 죽으면 순장을 하는데 많을 때는 백 명을 헤아린다. 수해나 한재를 입어 곡식이 잘 익지 않으면 그 책임을 왕에게 묻기도 하였다. -󰡔삼국지󰡕「위서 동이전」- {~이미 1세기 초에 왕호를 사용하였다. ~만주 길림시 일대를 중심으로 송화강 유역의 평야 지대에서 성장하였다. ~가(加)들은 저마다 따로 행정 구획인 사출도를 다스렸다. =3세기 말 읍루족의 침략을 받아 크게 쇠퇴하였고 결국 고구려에 편입되었다. } 다음 역사적 사건이 시기순으로 바르게 나열된 것은? ㉠ 신라 진흥왕은 북한산을 순행하고 순수비를 세웠다. ㉡ 백제 성왕은 수도를 사비로 옮기고 신라와 연합하였다. ㉢ 고구려 장수왕은 죽령 일대부터 남양만을 연결하는 선까지 판도를 넓혔다. ㉣ 금관가야가 신라에 병합되었다. ㉤ 대가야가 신라에 병합되었다.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다음 중 신라 왕호와 그 역사적 의미가 바르게 연결된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거서간·차차웅 – 정치적 군장과 제사장의 기능 분리 ㉡ 이사금 – 연장자의 의미로, 박·석·김 3부족이 연맹하여 교대로 왕을 선출 ㉢ 마립간 – 김씨가 왕위 계승권을 독점하면서 왕권 강화 ㉣ 왕 – 지증왕이 처음 사용하였고, 중국식 정치 제도를 받아들이기 시작 {~㉡, ㉢ ~㉠, ㉡, ㉣ ~㉠, ㉢, ㉣ =㉠, ㉡, ㉢, ㉣} 다음 중 발해에 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발해는 영역을 확대하여 옛 고구려의 영토를 대부분 차지하였지만 그 영역에는 말갈족이 다수 거주하였다. ㉡ 발해는 이중 기단에 3층으로 쌓는 석탑 양식이 유행하였으며, 흙으로 구워 만든 이불병좌상이 많이 보인다. ㉢ 발해는 지방을 5경 15부 62주로 나누었으며, 지방 행정의 말단 단위인 촌락에 수령을 파견하여 다스렸다. ㉣ 대조영이 698년 길림성 돈화시 동모산 기슭에서 국호를 ‘진(震)’이라 하고 건국하였으며, 2대 무왕에 이르러 ‘발해’로 개칭하였다. {~0개 ~1개 ~2개 =3개 } 다음 중 삼국 시대와 통일신라 시대 경제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삼국은 전쟁에서 공을 세운 사람에게 일정 지역의 토지와 농민을 식읍으로 주었다. ~통일신라 민정문서는 남녀 인구 수와 소·말의 수, 토지 면적 등을 조사하여 3년마다 작성되었다. ~신라에서는 4-5세기를 지나면서 철제 농기구가 점차 보급되었다. =삼국 시대에는 농업 생산력이 발달하여 수도 뿐 아니라 농촌 각지에서도 시장이 번성하였다. } 다음은 고려 성종이 유교적 정치 질서를 강화하기 위해 시행한 정책들이다. 이 중 틀린 것은 모두 몇 개인가? ㉠ 지방관을 파견하고 향리 제도를 마련하여 지방 세력을 견제하였다. ㉡ 국자감을 정비하고, 지방에 경학박사와 의학박사를 파견하였다. ㉢ 과거제도를 정비하고 과거 출신자들을 우대하여 유학에 조예가 깊은 인재들의 정치 참여를 유도하였다. ㉣ 3성 6부제를 중심으로 하는 중앙 관제를 마련하였다. ㉤ 최승로가 올린 시무 10조의 건의를 수용하여 통치 체제를 정비하였다. {~1개 =2개 ~3개 ~4개 } 고려 시대의 무신 정권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신들은 중방을 중심으로 권력을 행사하면서 주요 관직을 독차지하였다. ~최충헌은 최고 집정부 구실을 하는 교정도감을 설치하였고, 도방을 확대하여 군사적 기반을 확립하였다. =최우는 문무 백관의 인사 행정을 담당하는 서방과 능력있는 문신을 등용하기 위한 정방을 설치하였다. ~삼별초는 좌별초와 우별초 및 몽골에 포로로 잡혀갔다가 돌아온 병사들로 조직된 신의군으로 구성되었다. } 다음의 역사서가 저술된 시대에 만들어진 문화유산은? 동명왕의 사적은 변화와 신이로 여러 사람의 눈을 현혹시킬 일이 아니요, 실로 나라를 세운 신의 자취인 것이다. 이러하니 이 일을 기술하지 않으면 앞으로 후세에 무엇을 볼 수 있으리오. {=부석사 무량수전 ~광개토왕릉비 ~석촌동 고분군 ~법주사 팔상전 } 다음 밑줄 친 ‘이 기구’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김익희가 상소하여 말하기를, “요즘 이 기구가 큰 일이건 작은 일이건 모두 취급합니다. 의정부는 한갓 겉 이름만 지니고 육조는 할 일을 모두 빼앗기고 말았습니다. 이름은‘변방을 담당하는 것’이라고 하면서 과거에 대한 판정이나 비빈 간택까지도 모두 여기서 합니다.”라고 하였다. {=명종 때에 을묘왜변을 계기로 처음 만들어진 임시 회의 기구이다. ~세도정치기에도 핵심적인 정치기구로 자리 잡았다. ~의정부의 의정과, 공조판서를 제외한 판서 등 주요 관직자가 참여하는 합좌기관이다. ~고종 때에 흥선대원군에 의해 사실상 폐지되었다.} 다음은 조선 시대 붕당에 대한 설명이다. ㉠-㉣에 대한 내용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사림이 ㉠동인과 서인으로 나뉜 후, 동인이 우세한 가운데 정국이 운영되었다. 동인은 ㉡온건파인 남인과 급진파인 북인으로 나뉘었다. 그 후 ㉢서인과 남인이 격렬하게 대립하였으며, 나중에는 서인에서 갈라져 나온 ㉣노론과 소론이 치열하게 경쟁하였다. {~㉠ - 척신 정치의 잔재 청산 문제에서 주로 소극적인 부류가 서인, 적극적인 부류가 동인으로 형성되었다. ~㉡ - 정여립 모반 사건 등을 계기로 나뉘어져 처음에는 남인이 정국을 주도하였으나 임진왜란 이후 북인이 집권하였다. ~㉢ - 예송논쟁에서 나타난 예론의 차이는 신권을 강화하려는 서인과 왕권을 강화하려는 남인 사이의 정치적 입장과 연결되었다. =㉣ - 노론은 실리를 중시하고 북방개척을 주장하는 경향을 보이며, 소론은 대의명분을 중시하고 민생안정을 강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 다음은 조선 시대 양난 이후 수취 체제의 변화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영정법에서는 연분 9등법을 따르지 않고 풍흉에 관계없이 전세를 토지 1결당 미곡 4두로 고정시켰다. ~대동법의 시행으로 공납이 전세화되어 농민은 대체로 토지 1결당 미곡 12두만 납부하면 되었다. =영정법에 따라 전세의 비율이 이전 보다 다소 낮아져 대다수 농민의 부담이 경감되었다. ~대동법은 부족한 국가 재정을 보완하고 농민의 부담을 경감하기 위한 개혁론으로 제기되었다. } 조선 후기의 가족 제도와 사회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남녀를 구분하지 않고 태어난 순서대로 족보에 기재하였다. =동성마을이 많아지고 부계 중심의 족보가 편찬되었다. ~아들이 없으면 양자를 들이는 대신에 딸과 외손자가 제사를 지냈다. ~혼인은 친영제에서 남귀여가혼으로 변화되었고, 재산은 균등하게 상속되었다. } 다음 역사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일찍이 세조께서, “우리 동방에는 비록 여러 역사서가 있으나 장편으로 되어 귀감으로 삼을 만한 것이 없다.”라고 말씀하시고, 관리들에게 명하여 편찬하게 하셨지만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였습니다. 주상께서 그 뜻을 이어받아 서거정 등에게 편찬을 명하였습니다. (중략) 이 책을 지음에 명분과 인륜을 중시하고 절의를 숭상하여, 난신을 성토하고 간사한 자를 비난하는 것을 더욱 엄격히 하였습니다. {=고조선부터 고려 말까지 역사를 정리하였다. ~세가, 지, 열전 등으로 구성되었다. ~고대사 연구의 시야를 만주지방까지 확대하여 한반도 중심의 협소한 사관을 극복하는 데 힘썼다. ~중국 및 일본의 자료를 참고하여 민족사 인식의 폭을 넓히는데 이바지하였다. } 다음은 조선 시대 의궤에 대한 설명이다.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왕의 행적과 국정 전반을 기록한 것으로 천재지변에 관한 기록까지 소상히 담고 있어 자료적 가치가 매우 높다. ~조선 초기부터 제작되었으나, 임진왜란 이전의 것은 현재 남아 전해지는 것이 없다. ~1866년 프랑스군이 강화도를 침략하였다가 40여 일만에 물러가면서 외규장각에 있던 다수의 의궤를 약탈하였다. ~프랑스국립도서관에 보관되어 있던 외규장각 의궤는 2011년 임대의 형식으로 우리나라에 반환되어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 다음 대한제국기의 개혁 내용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황제권 수호와 절대화에 필요한 대한국 국제 제정 =입헌 군주제와 의회 정치 추진 ~다양한 시책을 통한 황실 재정 확충 ~양전과 지계 발급 사업 실시} 다음 자료와 관련된 역사적 사건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 탐관오리는 그 죄상을 조사하여 엄징한다. · 노비 문서는 모두 소각한다. · 칠반천인(七班賤人)의 대우를 개선하고, 백정이 쓰는 평량갓을 없앤다. · 관리 채용에는 지벌을 타파하고 인재를 등용한다. · 토지는 평균 분작한다. {~고부 농민봉기는 조병갑의 학정에 항거한 사건이며, 정부는 안핵사 이용태를 파견하여 동학교도를 색출하고 탄압하였다. =청이 조선 정부의 요청으로 파병하자, 일본은 임오군란 때 맺은 톈진(천진)조약을 구실로 파병하였다. ~농민군은 전주화약의 체결로 전라도 일대에 집강소를 설치하여 치안과 행정을 담당하였다. ~남접과 북접의 농민군은 우금치 전투에서 패배하였고, 보은 전투에서 대패한 후 해산하였다. } 다음 중 일제의 경제침탈에 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1910년대 시작된 토지조사사업은 토지의 소유권, 토지 가격, 지형 및 용도를 조사한 것으로, 토지에 대한 지주의 권리와 농민의 경작권을 함께 인정하였다. ~1920년대 산미증식계획은 더 많은 쌀을 일본으로 가져가기 위해 추진되었으며, 수리시설의 확대와 품종교체, 화학비료 사용증가 등을 통해 이루어졌다. ~1930년대 이후 일제는 일본을 발전된 공업지역으로, 만주를 농업과 원료 생산 지대로 만들고, 한반도를 경공업 중심의 중간 지대로 만들기 위해 조선공업화 정책을 펼쳤다. ~1940년대 전시동원체제 하에서 세금을 늘리고 저축을 강요하여 마련된 자금은 군수기업에 집중 지원되었다. } 다음 (가), (나)는 해방 후 두 정치인의 발언이다. 아래의 <보기> 중 두 정치인이 발언한 시점 사이에 일어난 사건은 모두 몇 개인가? (가) 이제 우리는 무기 휴회한 미소 공동위원회가 재개될 기색도 보이지 않으며, 통일정부를 고대하나 여의케 되지 않으니, 우리는 남방만이라도 임시정부 혹은 위원회 같은 것을 조직하여 38이북에서 소련이 철퇴하도록 세계 공론에 호소하여야 될 것이니 여러분도 결심하여야 할 것이다. (나) 현시에 있어서 나의 유일한 염원은 3천만 동포와 손을 잡고 통일된 조국의 달성을 위하여 공동 분투하는 것 뿐이다. 이 육신을 조국이 수요(需要)로 한다면 당장에라도 제단에 바치겠다. 나는 통일된 조국을 건설하려다 38도선을 베고 쓰러질지언정 일신에 구차한 안일을 취하여 단독정부를 세우는 데는 협력하지 않겠다. <보기> ㉠ 포츠담선언 ㉡ 제주 4·3 사건 ㉢ 모스크바 3국 외상회의 ㉣ 유엔총회에서 남북총선거 결정 ㉤ 제2차 미소 공동위원회 결렬 ㉥ 남북지도자회의 {~1개 =2개 ~3개 ~4개 } 아래의 풍속을 지닌 나라의 사회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귀신을 믿기 때문에 국읍에 각각 한 사람씩 세워 천신의 제사를 주관하게 하는데, 이를 천군이라 부른다. 또 여러 나라에는 각각 별읍이 있으니, 소도라 한다. 거기에 큰 나무를 세우고 방울과 북을 매달아 놓고 귀신을 섬긴다. (『삼국지』위서 동이전) {~지배자 중에서 세력이 큰 것은 신지, 작은 것은 읍차 등으로 불렸다. ~해마다 씨를 뿌리고 난 뒤인 5월과 곡식을 거두어들이는 10월에 계절제를 열어 하늘에 제사를 지냈다. =혼인을 정한 뒤 신랑은 신부 집 뒤꼍에 조그만 집을 짓고, 함께 살다가 돌아오는 풍속이 있었다. ~제사장의 존재에서 고대 신앙의 변화와 제정의 분리를 엿볼 수 있다. } 신라의 군사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방령은 각각 700~1,200명의 군사를 거느렸다. ~군주는 주 단위로 설치한 부대인 정을 거느렸다. ~전쟁과 사냥에 대한 교육을 받았던 화랑은 직접 전투에 참여하였다. ~8세기 후반 이후 경제기반을 확대한 진골귀족들은 사병을 거느렸다. } 삼국 및 통일신라시대의 신분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통일신라 이후에도 전쟁 포로로, 혹은 진 빚을 갚지 못하여 노비가 되는 경우가 많았다. ~골품제도는 가옥의 규모와 장식물은 물론, 복색이나 수레 등 일상생활까지 규제하는 기준으로서 유지되었다. ~백제의 지배층은 왕족인 부여씨와 8성의 귀족으로 이루어졌다. ~관등제와 관직체계의 운영은 신분제에 의해서 크게 제약을 받았다. } 통일 이후 삼국 불교의 유산을 토대로 하고 중국과의 교류를 더하여 신라 불교는 다양하고 폭넓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의상은 모든 존재가 상호의존적인 관계에 있으면서 서로 조화를 이루고 있다는 화엄사상을 정립하였다. =진표는 법성종 승려로서 현세에서 고난을 구제받고자 하는 관음신앙을 이끌었다. ~원효는 극락에 가고자 하는 아미타신앙을 자신이 직접 전도하며 불교 대중화의 길을 열었다. ~혜초는 자신이 돌아본 인도와 중앙아시아의 풍물을 생생하게 기록한 󰡔왕오천축국전󰡕을 남겼다. } 신라시대의 유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신문왕대에는 국학을 태학으로 고치고, 박사와 조교를 두어 󰡔논어󰡕와 󰡔효경󰡕 등의 유교경전을 가르쳤다. ~임신서기석을 보면 신라에서도 청소년이 유교경전을 공부하였던 사실을 알 수 있다. ~원성왕대에는 유교경전의 이해수준을 시험하여 관리를 채용하는 독서삼품과를 마련하였다. ~최치원은 당나라의 빈공과에 급제하고 문장가로 이름을 떨친 후 귀국하여 개혁안 10여조를 건의하였다. } 발해의 건국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일본에 보낸 국서에 고려 또는 고려 국왕이라는 명칭을 사용한 사실에서 고구려를 계승한 국가임을 알 수 있다. ~수군으로 당의 산둥지방을 공격하는 한편, 요서지역에서 당나라 군대와 격돌하기도 하였다. =선왕대에 지배체제의 정비를 위해서 수도를 중경에서 상경으로 옮기고, 신라와도 상설 교통로를 개설하여 대립관계를 해소하려 하였다. ~전성기를 맞은 발해에 대해서 중국인들은 해동성국이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고려시대 인쇄술의 발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청주 흥덕사에서 간행한 직지심체요절이 현존하는 세계 최고의 금속 활자본으로 공인받고 있다. =일찍부터 금속활자 인쇄술을 발명하였으며, 후기에는 활판 인쇄술의 개발에 힘을 기울였다. ~고려 대장경의 판목은 고려의 목판 인쇄술이 최고의 수준에 이르렀음을 입증해주고 있다. ~몽골과 전쟁 중이던 강화도 피난 시에는 금속활자로 상정고금예문을 인쇄하였다. } 고려시대의 문화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개성의 만월대 궁궐터는 경사진 면에 축대를 높이 쌓고 계단식으로 건물을 배치하고 있어 웅장하게 보였을 것이다. ~영주의 부석사 무량수전은 주심포 양식과 배흘림기둥이 잘 어우러진 건축물이다. ~상감기법을 도자기제작에 응용해서 만들어진 상감청자는 무늬를 다양하고 화려하게 넣을 수 있었기 때문에 청자의 새로운 경지를 열었다. =대리석으로 만든 원각사지 10층 석탑은 이 시기의 중요한 건축물이다. } 고려는 국내 상업이 안정적으로 발전하면서 대외 무역활동도 활발해졌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예성강 입구의 벽란도는 국제 무역항으로 번성하였으며, 송나라 상인뿐만 아니라 아라비아 상인까지 왕래하였다. ~서해안의 해로를 통해 송나라로 종이, 인삼 등 수공업품과 토산물을 수출하는 한편, 왕실과 귀족의 수요품을 수입하였다. ~고려와의 무역을 추구했던 일본은 11세기 후반부터 수은, 황을 가지고 와서 식량, 인삼, 서적과 바꾸어갔다. =북방의 거란과 여진에게는 은, 모피, 말을 수출하고, 고려는 농기구, 곡식을 수입하였다. } 무신정권에 의하여 문벌귀족정치가 붕괴된 이후에 사대부라고 불리는 새로운 정치세력이 등장하였다. 사대부 세력의 성장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이들은 대부분 지방의 향리자제들로, 무신집권기 이래 과거를 통하여 중앙관리로 진출하였다. =사대부의 대표적 인물인 이규보는 원에 설립된 만권당에서 원의 학자들과 교류하였다. ~충선왕대에 사대부와 함께 여러 가지 폐단을 시정하기 위한 개혁이시도되었으나, 원의 간섭으로 제대로 추진되지 못하였다. ~공민왕이 반원 자주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신진사대부들의 등장을 억제하고 있던 정방을 폐지하였다. } 조선 초기에 특별히 기억해야 할 사실은 민족 문화인 한글의 창제와 사용이다. 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한글 창제가 요청된 것은 민본사상이 발달하면서 백성들이 배우기 쉬운 문자를 만들어 국가의 통치이념을 백성들에게 직접 전달할 필요성이 커졌기 때문이다. ~서리들이 행정 실무에 이용할 수 있도록 그들의 채용에 한글을 시험으로 치르게 하였다. ~한글을 보급하기 위해서 왕실 조상의 덕을 찬양하는 󰡔용비어천가󰡕를 편찬하였다. =부처님의 덕을 기리는 󰡔월인천강지곡󰡕과 󰡔석보상절󰡕은 한글로 간행될 수 없었다. } 조선시대 향촌사회의 조직과 운영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사림은 도덕과 의리의 기본 서적인 󰡔대학󰡕을 보급하고, 가묘와 사당을 건립하여 성리학적 사회질서를 유지하고자 하였다. ~유향소는 수령을 보좌하고, 향리를 감찰하며 향촌 사회의 풍속을 바로잡기 위한 기구였다. ~17세기 중엽 이후에는 오가작통제를 통하여 촌락 주민에 대한 지배를 원활히 하고자 하였다. ~지방사족은 향촌사회를 그들 중심으로 운영하기 위해 향약 조직을 만들었다. } 동학의 발생과 전개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최시형은 교세를 확대하면서 󰡔동경대전󰡕과 󰡔용담유사󰡕를 펴내어 교리를 정리하는 한편, 의식과 제도를 정착시켜 교단조직을 ~1860년대에 등장한 동학은 사람이 누구나 평등하다는 사상을 가지고 있었다. ~동학이 농민들에게 환영을 받은 이유로는 교리에 주문과 부적 등 민간신앙의 요소들이 결합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제3대 교주인 손병희는 친일세력을 내쫒고, 단군신앙을 기반으로 창시된 대종교와 통합하여 동학을 천도교로 개편하였다. } 대한제국 말기 제국주의 침략에 맞서 민족문화를 지키려 한 국학연구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국문연구소가 만들어져 국문의 정리와 국어의 이해체계가 확립되기 시작하였다. =백남운에 의해 대두된 사회경제사학은 한국사가 세계사의 보편적인 발전법칙에 입각하여 발전하였음을 강조하면서 식민주의사관의 정체성 이론을 반박하였다. ~신채호는 대한매일신보에‘독사신론’을 연재하여 일본의 식민주의 사관에 대항할 수 있는 민족주의 사학의 발판을 마련하였다. ~외국의 건국과 흥망의 역사서를 번역하여 민족의 독립의지와 역사의식을 높이려 하였다. } 개항 이후 서양 문물의 수용과 발전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박문국에서는 신문을 발간하였고, 기기창에서는 서양무기를 제조하였다. ~근대 교통시설로서 서울에서부터 전차와 기차가 운행되기 시작하였다. =서양의학이 보급되면서 근대의료시설인 광혜원을 설립하여, 지석영에게 책임을 맡겼다. ~서울에는 명동성당과 덕수궁 석조전과 같은 서양식 건축물이 세워졌다.} 일본 제국주의가 한국민족 말살을 위해서 추진한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총독부가 설치한 조선사편수회는 식민주의 사관을 토대로 조선사를 편찬하여 한국사의 왜곡에 앞장섰다. ~식민지 국민으로서 지켜야 할 의무를 강조하면서, 낮은 수준의 실업교육을 통해서 식민지 공업화에 필요한 노동력을 확보하려 하였다. =1930년대에 들어와서 한국인의 반일감정을 무마하기 위하여 조선어를 선택과목으로 규정하고, 최초의 대학기관인 경성제국대학을 설립하였다. ~일제는 대륙 침략을 본격화하면서 신사참배를 강요하였으며, 이에 저항하는 종교 교단과 지도자들을 박해하였다. } 광복 이후 전개된 통일을 위한 노력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1960년에 남북한 유엔 동시가입이 실현되었다. ~1972년에 남북한의 이산가족이 각각 서울과 평양을 처음으로 방문하였다. ~1985년에 서울과 평양에서 7·4 남북공동성명이 동시에 발표되었다. =2000년에 평양에서 남북정상회담이 이루어져 6·15 남북 공동선언이 발표되었다. }